자아 분열

연구분야 : B120600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심리학

클래스 : 인식/의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043

한자 : 自我分裂
영어 : self-split

c02-02 인식/의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c02-02 인식/의식 /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자아 통합 [ 自我統合 ]

분단희곡에 있어서 ‘경계인’의 위상과 의미

Study on the Status and the Meaning of the 'Marginal Man' in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한국극예술연구 | 32 | 2010 | 예술체육학

분단희곡에 있어서 ‘경계인’의 위상과 의미

Study on the Status and the Meaning of the 'Marginal Man' in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한국극예술연구 | | 32 | 2010 | 예술체육학

완적(阮籍): 전환기 지식인의 자아분열과 봉합

阮籍: 歷史的轉變時期知識分子的自我分崩離析和縫合

동서철학연구 | 65 | 2012 | 철학

물질적 욕망과 역사의식 - 「소시민의 7가지 죽을 죄」에 나타난 브레히트의 소시민 비판

Habsucht und Geschichtsbewusstsein - Brechts Kritik am Kleinbürgertum in Die sieben Todsünden der Kleinbürger

독어교육 | 51 | 51 | 2011 | 독일어와문학

E. 후설 현상학에서의 “자아분열”의 문제

“Ichspaltung” in der Husserls Phaenomenologie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E. 후설 현상학에서의 “자아분열”의 문제

“Ichspaltung” in der Husserls Phaenomenologie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