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주의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059

한자 : 自然主義
영어 : naturalism
프랑스어 : naturalisme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표현주의 연극 [ 表現主義演劇 ]

affects (영향)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쓸쓸한 사람들 () [외로운 사람들]

affects (영향)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사소설 [ 私小說 ]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신론 [ 理神論 ]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사회 귀족주의 () [ 社會貴族主義 ]

affects (영향)

소설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백조 [ 白潮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자연주의적 오류 () [ 自然主義的誤謬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비환원 주의 [ 非還元主義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클라라 피비히 [Viebig, Clara]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클라라 피비히 [Viebig, Clara]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자연주의 문학 () [ 自然主義文學 ]

isAppliedTo (적용 대상)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자연주의 화장품 () [ 自然主義化粧品 ]

한국추상미술의 미의식 : 내적 실재로서의 자연과 정신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 Korean Abstract Art : The Nature and The Spirit as the Inner Reality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논어』에 나타난 공자(孔子)의 세계관

The World View of Confucius in the Book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윤리연구 | 1 | 80 | 2011 | 학제간연구

Carnap’s Compartmentalized Ontology and Quinean Naturalism

카르납의 구획된 존재론과 콰인적 자연주의

철학 | 112 | 2012 | 철학

현대사회와 분석철학 -과학문명과 철학의 역할에 관하여-

Modern Society and Analytic Philosophy

철학논집 | 30 | 2012 | 철학

형이상학 이후의 인권이론 모색 - 루만과 하버마스로부터

Über die Möglichkeit einer nachmetaphysishen Theorie der Menschenrechte - Ein Versuch im Anschluß an Niklas Luhmann und Jürgen Habermas

고려법학 | 58 | 2010 | 법학

형이상학 이후의 인권이론 모색 - 루만과 하버마스로부터

Über die Möglichkeit einer nachmetaphysishen Theorie der Menschenrechte - Ein Versuch im Anschluß an Niklas Luhmann und Jürgen Habermas

고려법학 | | 58 | 2010 | 법학

『에덴의 동쪽』에 나타난 선악과 자유의지의 문제

Good and Evil, and Free Will in East of Eden

문학과 종교 | 16 | 3 | 2011 | 기타인문학

1920년대 초기 김동인-염상섭 논쟁의 의미와 ‘자연’ 개념의 의미적 착종 양상

The meaning of the argument between Kim dong-in and Yeom sang-sub and the semantic confusion of the concept of ‘nature’ in early 1920’s

서강인문논총 | 28 | 2010 | 기타인문학

1920년대 초기 김동인-염상섭 논쟁의 의미와 ‘자연’ 개념의 의미적 착종 양상

The meaning of the argument between Kim dong-in and Yeom sang-sub and the semantic confusion of the concept of ‘nature’ in early 1920’s

서강인문논총 | | 28 | 2010 | 기타인문학

동아시아 리얼리즘문학론의 형성 과정 비교 연구

東アジアのリアリズム文学論の形成過程の比較研究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존재-당위(IS-OUGHT) 논쟁과 도덕에 대한 정의(定義)

The Is-Ought Debate and the Definition of Moral

윤리교육연구 | 24 | 2011 | 윤리교육학

1920年代初期金瓚永의 藝術論과 그 意味

Achievement and meaning of Kim chan-young's artistic criticism in the early 1920's

대동문화연구 | 71 | 2010 | 기타인문학

1920年代初期金瓚永의 藝術論과 그 意味

Achievement and meaning of Kim chan-young's artistic criticism in the early 1920's

대동문화연구 | | 71 | 2010 | 기타인문학

소설의 시간성에 관한 연구 - 졸라의 『목로주점』과 주브의 『파울리나 1880』

Temporalité narrative dans L'Assommoir et Paulina 1880

불어불문학연구 | 91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기술주의 윤리설에 대한 헤어의 비판

R. M. Hare’s Criticism of Ethical Descriptivism

철학논총 | 66 | 4 | 2011 | 철학

La première réception du Naturalisme en Corée dans et par la pratique de la double-traduction

한국 최초의 자연주의 문학 수용 : 중역의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 77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Los caracteres finiseculares de El bachiller de Amado Nervo

아마도 네르보의 『신학생』에 나타난 세기말적 특징

중남미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Los caracteres finiseculares de El bachiller de Amado Nervo

아마도 네르보의 『신학생』에 나타난 세기말적 특징

중남미연구 | 28 | 2 | 2010 | 지역학

한국 전통색을 적용한 자연주의적 화예조형 작품 연구

A Study on Work of the Naturalistic Floral Art and Design Appling Korean Traditional Colors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24 | 2011 | 기타예술체육

김훈 소설의 자연주의적 맥락 ― 장편 역사소설을 중심으로

The Context of Naturalism in Kim Hoon's Novel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훈 소설의 자연주의적 맥락 ― 장편 역사소설을 중심으로

The Context of Naturalism in Kim Hoon's Novel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규범윤리학의 생물학의 한 분야로의 환원

Reduction of Normative Ethics to a Field of Biology

과학철학 | 15 | 1 | 2012 | 철학

한국적 미의식의 다양성과 유형별 분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versity of Korea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 Classification Through its Types

미학예술학연구 | 34 | 2011 | 기타예술체육

결과논변과 수반논변

The Consequence Argument and the Supervenience Argument

논리연구 | 13 | 2 | 2010 | 철학

결과논변과 수반논변

The Consequence Argument and the Supervenience Argument

논리연구 | 13 | 2 | 2010 | 철학

훈데르트바서(Hundertwasser)의 자연주의(自然主義)적 예술과 건축 특성

Naturalistic art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Hundertwasser

기초조형학연구 | 12 | 6 | 2011 | 예술일반

숲유치원에서의 놀이와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Forest Kindergarten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15 | 3 | 2011 | 교육철학/사상

자연법칙의 실현과 객관적 진실 ― 독일 자연주의 소설에 나타난 ‘법칙의 실현’으로서의 세계

Die objektive Wahrheit und die Verwirklichung der Gesetze ― Die Welt als Verwirklichung der Gesetze im deutschen Naturalismus

독어독문학 | 52 | 1 | 2011 | 독일어와문학

암스트롱의 자연주의와 인과력의 원리

Armstrong’s Naturalism and the Principle of Causal Power

철학사상 | 35 | 2010 | 철학

암스트롱의 자연주의와 인과력의 원리

Armstrong’s Naturalism and the Principle of Causal Power

철학사상 | | 35 | 2010 | 철학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The Practice of Naturalism Early Childhood Education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14 | 1 | 2010 | 교육철학/사상

자연주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실제

The Practice of Naturalism Early Childhood Education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 14 | 1 | 2010 | 교육철학/사상

La Regenta에서 그려지는 등장인물의 이중성

The duality of doña Ana and don Fermín in La Regenta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3 | 2 | 2012 | 스페인어와문학

다야마 가타이(田山花袋)와 염상섭의 소설 비교 -「이불(蒲団)」과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중심으로-

Tayama, Katai and Novel Comparison of Yum, Sang-Seop

일어일문학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다야마 가타이(田山花袋)와 염상섭의 소설 비교 -「이불(蒲団)」과 「표본실의 청개구리」를 중심으로-

Tayama, Katai and Novel Comparison of Yum, Sang-Seop

일어일문학 | | 45 | 2010 | 일본어와문학

자연주의 패션경향과 대나무 모티프의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Naturalism and Fashion Designs using Bamboo Motifs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0 | 4 | 2010 | 의상

자연주의 패션경향과 대나무 모티프의 패션디자인 연구

A Study on Naturalism and Fashion Designs using Bamboo Motifs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10 | 4 | 2010 | 의상

현대 일본 섬유미술의 자연주의적 특성 분석

Analysis on Properties of Naturalism in Contemporary Japanese Textiles

기초조형학연구 | 13 | 4 | 2012 | 예술일반

눈의 세계관, 귀의 세계관?: 자연주의 세계관을 넘어서

Eye-Weltanschauung, Ear-Weltanschauung?: Beyond the Natural World View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눈의 세계관, 귀의 세계관?: 자연주의 세계관을 넘어서

Eye-Weltanschauung, Ear-Weltanschauung?: Beyond the Natural World View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