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수학여행의 실태와 사회적 인식
The realities of a school trip in 1920s and Social recognition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움직이는 중심들, 가능성과 선택으로서의 로컬리티(locality) : 한반도 서북 지역의 민족주의 문화운동을 사례로
Shifting Centers: Locality as Possibility and Choice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레이놀즈의 목회 사역
Pastoral Ministry of William D. Reynolds
한국기독교와 역사 |
33 |
2010 |
교회사
레이놀즈의 목회 사역
Pastoral Ministry of William D. Reynolds
한국기독교와 역사 |
|
33 |
2010 |
교회사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연동(嬋娟洞)’ 시 연구 -기생의 무덤을 소재로 한 시가 중심으로-
Study on a Chinese Poetry Based upon Sunyeondong, the Graveyard for Gisaengs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기 한민족 형성기의 차자 표기 자료를 통해 살펴본 한민족어
The Korean language reflected in character-loan spelling(借字表記) materials of the Early Korean family formative period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기 한민족 형성기의 차자 표기 자료를 통해 살펴본 한민족어
The Korean language reflected in character-loan spelling(借字表記) materials of the Early Korean family formative period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 소설에 나타난 6.25전쟁 전후 서울과 평양의 도시 이미지
Comparison of the Images of Seoul and Pyeongyang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as Manifested in the North Korean Novels
북한연구학회보 |
15 |
2 |
2011 |
정치외교학
19세기 한강 이북 도읍의 문학적 형상화와 의미
The literary figuration of capitals on the north of the Han river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its meaning
동방학 |
24 |
2012 |
기타인문학
「모란봉」에 나타난 근대 도시의 표상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Modern City Represented of Mo Ran Bong
국어문학 |
50 |
50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한양의 수도성 - 도시의 위계와 공간표현을 중심으로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Dynasty's Capital City of Hanyang
역사학보 |
209 |
2011 |
역사학
고소설 속 관서․관북 지역의 형상화와 그 의미
Figuration of Northwestern-Northeastern Region and Its Implication in the Ancient Korean Novels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김학수의 트라우마, 그 기억 속의 역사
Kim Hak-su's Trauma, History in his Memory
한국근현대미술사학(구 한국근대미술사학) |
22 |
2011 |
미술
高句麗 國內城 硏究
The study the Guknaeseong of the Koguryo's Capital
백산학보 |
87 |
2010 |
역사학
高句麗 國內城 硏究
The study the Guknaeseong of the Koguryo's Capital
백산학보 |
|
87 |
2010 |
역사학
고구려 도읍지 천도에 대한 재검토
The Transfer of the Seat of Government, Ko-gu-ryu
단군학연구 |
22 |
2010 |
기타역사학
고구려 도읍지 천도에 대한 재검토
The Transfer of the Seat of Government, Ko-gu-ryu
단군학연구 |
22 |
|
2010 |
기타역사학
不安의 문학과 轉向時代의 균형 감각 - 1930年代 平壤의 학생운동과 『斷層』派의 문학 -
A Literature of Anxiety & An Introspection in the Age of Conversion - Student Activism & Literature of Group of the 1930s in Pyeongyang -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구려의 한강 유역 진출과 서울지역의 동향
Goguryo’Advance to the Han River Basin and Trends in the Capital Area
서울학연구 |
39 |
2010 |
기타인문학
고구려의 한강 유역 진출과 서울지역의 동향
Goguryo’Advance to the Han River Basin and Trends in the Capital Area
서울학연구 |
|
39 |
2010 |
기타인문학
남한과 유엔의 북한지역 점령정책 구상과 통치 ― 타협과 현실의 괴리 ―
UN and the ROK’s Military Administration in the Occupied Area of North Korea, 1950
한국근현대사연구 |
62 |
2012 |
역사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The Meaning of Pyeongyang Images in Korean Modern Novels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서북계 개신교 엘리트 문화의 시론적 고찰-
The Meaning of Pyeongyang Images in Korean Modern Novels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부용의 상사곡」에 나타난 평양의 문화적 현상과 그 의미
The Cultural Phenomenon and Its Significance of Pyungyang that Appear on Buyong-sangsagok
人文科學硏究 |
30 |
2012 |
기타인문학
억압된 자기와 古都 평양의 표상
Self-repression and representation of Pyeongyang, an old capital
동아시아문화연구 |
50 |
2011 |
기타인문학
5世紀 前後 國際情勢와 高句麗 平壤遷都의 배경
The international landscape of around the 5th century and the transfer of capital to Pyongyang(平壤) by Koguryo(高句麗)
한국고대사연구 |
61 |
2011 |
한국고대사
평양의 지역극장 금천대좌(金千代座) 연구
A study on Geumcheondaejwa in Pyeongya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구려의 평양 천도에 대한 신라의 양단책
Goguryeo's Relocation of the Capital and Silla's Equidistance Diplomacy
사림 |
40 |
2011 |
역사학
고구려의 평양 천도에 대한 신라의 양단책
Goguryeo's Relocation of the Capital and Silla's Equidistance Diplomacy
사림 |
40 |
2011 |
역사학
평양 토포필리아와 고도의 재장소화 -이효석의 「은은한 빛」을 중심으로-
Pyeongyang topophilia and replacement of an ancient city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평양 토포필리아와 고도의 재장소화 -이효석의 「은은한 빛」을 중심으로-
Pyeongyang topophilia and replacement of an ancient city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평양 토포필리아와 고도의 재장소화 -이효석의 「은은한 빛」을 중심으로-
Pyeongyang topophilia and replacement of an ancient city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평양 토포필리아와 고도의 재장소화 -이효석의 「은은한 빛」을 중심으로-
Pyeongyang topophilia and replacement of an ancient city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평양의 경향 - 김동인과 최명익의 소설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Propensity of Pyungyang(평양)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평양의 경향 - 김동인과 최명익의 소설을 중심으로
The Literary Propensity of Pyungyang(평양)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朝鮮後期 平壤名勝圖 연구 –《平壤八景圖》를 중심으로 -
A Study on Landscape Paintings of Scenic Spots of Pyongy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Eight-view Paintings of Pyongyang
민족문화 |
39 |
39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