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어

연구분야 : A090000 인문학 > 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0683

한자 : 古語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언어변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고언

UF (비우선어)

 

 

옛말

N1:종류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한글 고어 () [ --古語 ]

R1:개념적

RT (관련어)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어휘사 () [ 詞彙史 ]

고유어 인명의 명명 특징

Characteristics of Naming Original Korean Names

인문학연구 | 38 | 4 | 2011 | 기타인문학

골 어(La langue gauloise)와 골(Gaule) 주변 언어 간 혼효 현상 연구: 고대 및 중세 초 골 지역을 중심으로

La diversité des inscriptions entre la langue gauloise et les langues voisines: le cas de la Gaule dans l'antiquité et le haut moyen âge

프랑스학연구 | 61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오규 소라이와 다자이 슌다이의 『논어』 주석 - 『논어징』에서 『논어고훈』, 『논어고훈외전』으로

the Analects of Confucius annotation of Ogyu sorai and Dazai Shundai - from 『Noneojin』 to 『Noneogohun』 and 『Noneogohunwejun』

대동문화연구 | 78 | 2012 | 기타인문학

Од „штете“ до „срамоте“ и назад Ка старом српском етичком кодексу

Von ,,šteta“ (dem Schaden) bis zu ,,sramota“ (der Schande) und zurück Zum alten serbischen etischen Kodex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옛말과 현대어의 기준 설정

An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Between Archaic Korean and Present-day Korean.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옛말과 현대어의 기준 설정

An Establishment of the Standard Between Archaic Korean and Present-day Korean.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