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의지

연구분야 : A000000 인문학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072

한자 : 自由意志
영어 : free will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의지 () [ 意志 ]

한나 아렌트의 ‘자유와 주권의 양립불가능성과 그 가능성’ ― 국민주권의 행위규범성 모색 ―

Hannah Arendt on Incompatibility and Compatibility of Liberty and Sovereignty: Seeking the Nature of Action Norm in Nation-Sovereignty

민주법학 | 47 | 2011 | 법학

훼손된 기억의 구조와 복원 방식 - 정한숙, 『끊어진 다리』의 서술방식을 중심으로

Structure of damaged memory and its restoration method - focusing on the description method of Jeong Han Sook's 『Collapsed Bridge』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데까르뜨의 도덕론에서 관대함과 사랑의 문제

The Problem of Generosity and Love in Descartes’s Moral Theory -Crossing the Border of Stoic ‘Morality without Hope’-

가톨릭철학 | 15 | 2010 | 철학

데까르뜨의 도덕론에서 관대함과 사랑의 문제

The Problem of Generosity and Love in Descartes’s Moral Theory -Crossing the Border of Stoic ‘Morality without Hope’-

가톨릭철학 | | 15 | 2010 | 철학

존 밀턴의 『아레오파기티카』에 나타난 “현명한 독자”와 검열, 그리고 자유의지

“Judicious Reader,” Censorship and Free Will in Milton’s Areopagitica

중세근세영문학 | 21 | 1 | 2011 | 영어와문학

토니 모리슨의『술라』에 나타난 선(善) 이데올로기와 자아추구의 갈등관계

The Conflict between the Pursuit of Goodness and Selfhood in Toni Morrison's Sula

현대영미어문학 | 28 | 4 | 2010 | 영어와문학

토니 모리슨의『술라』에 나타난 선(善) 이데올로기와 자아추구의 갈등관계

The Conflict between the Pursuit of Goodness and Selfhood in Toni Morrison's Sula

현대영미어문학 | 28 | 4 | 2010 | 영어와문학

범죄학과 인간본성론Ⅱ- 다면적(多面的) 인간본성의 범죄학 적용 : 다면적 인간본성의 역동적(力動的) 개념화(槪念化)

Criminology and Human NatureⅡ: Application of Multifaceted Human Nature to Criminology

교정담론 | 4 | 1 | 2010 | 형사정책

범죄학과 인간본성론Ⅱ- 다면적(多面的) 인간본성의 범죄학 적용 : 다면적 인간본성의 역동적(力動的) 개념화(槪念化)

Criminology and Human NatureⅡ: Application of Multifaceted Human Nature to Criminology

교정담론 | 4 | 1 | 2010 | 형사정책

루터의 신정론

Die Theodizee Luthers

한국조직신학논총 | 32 | 2012 | 조직신학

불교에서 업의 결정성과 지각작용

Perception and Karma in Buddhism with Reference to the Problems around the Determinism

인도철학 | 32 | 2011 | 철학

『에덴의 동쪽』에 나타난 선악과 자유의지의 문제

Good and Evil, and Free Will in East of Eden

문학과 종교 | 16 | 3 | 2011 | 기타인문학

과현(科玄) 논쟁과 지적 직각(智的直覺) - 자유의지와 결정론을 중심으로 -

科玄論爭與智的直覺 -以自由意志和決定論爲中心-

철학논집 | 22 | 2010 | 철학

과현(科玄) 논쟁과 지적 직각(智的直覺) - 자유의지와 결정론을 중심으로 -

科玄論爭與智的直覺 -以自由意志和決定論爲中心-

철학논집 | 22 | | 2010 | 철학

'믿음의 시작'에 관한 어거스틴의 은총론

“Initium fidei” and Augustine's View on Grace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3 | 2011 | 기독교신학

사르트르의 <행위>의 존재론

Sartre's Ontology of Action

철학연구 | 115 | 2010 | 철학

사르트르의 <행위>의 존재론

Sartre's Ontology of Action

철학연구 | 115 | | 2010 | 철학

신경과학과 법을 둘러싼 논쟁

Debates on Neuroscience and the Law

법과사회 | 41 | 2011 | 법학

1920년대 ‘과학․현학’ 논쟁과 ‘救亡’ 의식

“Science versus Metaphysics” in the Debate of 1920s and Consciousness of “National Salvation”

대구사학 | 103 | 2011 | 역사학

헤겔의 의지 개념

Der Willensbegriff bei Hegel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헤겔의 의지 개념

Der Willensbegriff bei Hegel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법의 근원의 문제 - 헤겔의 자유의지와 니체의 힘에의 의지

Vom Ursprung des Rechts - der Freie Wille bei Hegel und der Wille zur Macht bei Nietzsche

니체연구 | 18 | 2010 | 철학

법의 근원의 문제 - 헤겔의 자유의지와 니체의 힘에의 의지

Vom Ursprung des Rechts - der Freie Wille bei Hegel und der Wille zur Macht bei Nietzsche

니체연구 | | 18 | 2010 | 철학

스피노자의 욕망 윤리학과 정신분석

Spinoza‘s Ethics of Desire and Psychoanalysis

근대 철학 | 7 | 2012 | 철학

자유와 책임에 관한 인식 : 신경과학과 하이에크

Understanding of Freedom and Responsibility: Neurscience and Hayek

과학철학 | 14 | 2 | 2011 | 철학

도산 안창호의 역사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ical View of Do San Ahn Chang-Ho

민족사상 | 6 | 3 | 2012 | 한국정치사상

웨슬리안 신인협력설에서 성화경험을 향한 자유의지의 유효적 작용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1 | 2010 | 기독교신학

웨슬리안 신인협력설에서 성화경험을 향한 자유의지의 유효적 작용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71 | 2010 | 기독교신학

자유의지에 대한 Libet의 연구와 후속 연구들- 신경과학적 발견이 형법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

A Critical Review on Libet’s Work and Follow-up Studies on Free Will- Implications of Neuroscientific Research on Criminal Law -

서울대학교 법학 | 52 | 3 | 2011 | 법학

어거스틴의 원죄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현대적 의미 - 그의 자유의지론을 중심으로 -

한국개혁신학 | 33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여장군소설의 개화기적 변화상 -『대한일보』 연재소설 <女英雄>을 대상으로-

The transformation of the female-general novel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운영전>에 나타난 규범과 일탈의 변증법

The dialectics of norms and departure o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The Compatibility of public common responsibility with private free will

공공책임과 개인적 자유의지의 양립가능성 연구

윤리교육연구 | 27 | 2012 | 윤리교육학

데카르트적 철학의 범형과 다산의 유학이념

Descartes's Paradigm of Philosophy & Dasan's Ideas of Confucianism

온지논총 | 25 | 2010 | 기타인문학

데카르트적 철학의 범형과 다산의 유학이념

Descartes's Paradigm of Philosophy & Dasan's Ideas of Confucianism

온지논총 | | 25 | 2010 | 기타인문학

아우구스티누스 행복론의 종교교육적 의의

Augustine’s Eudemonics and Religious Education

종교교육학연구 | 35 | 2011 | 종교학

Doubting the Folk: A Critique of Experimental Philosophy as it pertains to the Problem of Free Will

민중에 대한 회의: 자유의지 문제와 관련된 실험철학에 대한 비평

철학 | 109 | 2011 | 철학

행위유형과 책임문제- 행위분석도를 통해 본 책임부여문제 -

Action Types and Responsibility

철학연구 | 116 | 2010 | 철학

행위유형과 책임문제- 행위분석도를 통해 본 책임부여문제 -

Action Types and Responsibility

철학연구 | 116 | | 2010 | 철학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론과 교육사상

St. Augustinus’s Human-view and Educational thoughts

인문학논총 | 25 | 2011 | 기타인문학

쇼펜하우어의 윤리개념에 대한 고찰

Eine Untersuchung über die Bedeutung der Ethik bei Schopenhauer

동서철학연구 | 59 | 2011 | 철학

Achievements in Natural Science, the Possibility of the Free Will and Autonomous Morality: With Consideration of Moral Psychology and its Educational Implementation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에 기초한 자유의지와 자율적 도덕성의 가능성 탐구: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 31 | 2010 | 교육학

Achievements in Natural Science, the Possibility of the Free Will and Autonomous Morality: With Consideration of Moral Psychology and its Educational Implementation

자연과학의 연구 성과에 기초한 자유의지와 자율적 도덕성의 가능성 탐구: 도덕심리학과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도덕윤리과교육 | | 31 | 2010 | 교육학

헤겔의 자유 개념의 구조와 의미

Die Struktur und der Sinn des Hegelschen Freiheitsbegriffs

사회와 철학 | 19 | 2010 | 철학일반

헤겔의 자유 개념의 구조와 의미

Die Struktur und der Sinn des Hegelschen Freiheitsbegriffs

사회와 철학 | | 19 | 2010 | 철학일반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자유의지와형사책임론의 문제

Free Will in View of Cognitive Science and the Problem of Penal Responsibility

서울대학교 법학 | 51 | 4 | 2010 | 법학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자유의지와형사책임론의 문제

Free Will in View of Cognitive Science and the Problem of Penal Responsibility

서울대학교 법학 | 51 | 4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