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체와 현상의 공속 - 원효와 하이데거 대화의 접점 -
Togetherness of Noumenon and Phenomenon - A Starting Point of Dialogue between Wonhyo and Heidegger -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
용수의 연기설 재검토 및 중도적 이해 ─『중송』 및 그에 대한 청목과 월칭의 주석을 중심으로
A Reconsideration of Nāgārjuna’s Theory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It’s Understanding through the Middle Way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샨따락시따의 세속과 유식설
Śāntarakṣita's Explanation of the Conventional Truth and Its Relation to Yogācāra Theory
한국불교학 |
63 |
2012 |
종교학
불교의 ‘무아(無我)’에 비추어 본 휘트먼의 ‘자아(自我)’
Whitman’s ‘Myself’ in the Light of ‘No-self’ in Buddhism
영어영문학연구 |
53 |
4 |
2011 |
영어와문학
천태 중도의 도덕교육적 이해
The Moral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Tientai Madhyama-Pratipad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천태 중도의 도덕교육적 이해
The Moral Educational Understanding of Tientai Madhyama-Pratipad
도덕교육연구 |
21 |
2 |
2010 |
교육학
『반야심경』 명상과 심리치료
Mediation and Psychotherapy through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a
禪學(선학) |
27 |
2010 |
응용불교학
『반야심경』 명상과 심리치료
Mediation and Psychotherapy through The sūtra of the heart of prajña
禪學(선학) |
|
27 |
2010 |
응용불교학
위빠사나 명상 수행을 통한 공성의 이해
Comprehension of the doctrine of Voidness(suññata) in the Light of the Vipassanā Meditation
인도철학 |
28 |
2010 |
철학
위빠사나 명상 수행을 통한 공성의 이해
Comprehension of the doctrine of Voidness(suññata) in the Light of the Vipassanā Meditation
인도철학 |
|
28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