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응의 「高等朝鮮語會話」의 사회언어학적 분석 - 1920년대 서울의 풍속과 서울지역어의 대우법을 중심으로
The Sociolinguistic study of 1920s' Customs and Honorific System in Seoul; on Yi Wanung’s “Advanced Korean Conversation”
한국어학 |
55 |
2012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말 우하영의 『千一錄』 편찬과 農法 정리
Compilation of Cheonilrok by Wu Ha-Young and His Arrangement of Agricultural Technic in the Late 18th Century
한국민족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18세기 말 우하영의 『千一錄』 편찬과 農法 정리
Compilation of Cheonilrok by Wu Ha-Young and His Arrangement of Agricultural Technic in the Late 18th Century
한국민족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Proposals for the Right Education of Korean Honorific Form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국어 높임법의 올바른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제언
Proposals for the Right Education of Korean Honorific Forms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10 |
1 |
2010 |
교과교육학
‘먹다’류 어휘적 대우의 통시적 연구
A historical study on the lexical honorifics of ‘먹다’ type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