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 변화

연구분야 : A090300 인문학 > 언어학 > 음운론(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1582

STNet ID : 1003001

한자 : 音韻變化
기타 : 음운변동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x03-06-01 통합/결합/제휴 통합/결합/제휴

모음 융합 () [ 母音融合 ]

hasKind (종류)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b02-04 변천/과정 /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자음 변화 () [ 子音變化 ]

R1:개념적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이중 모음 () [ 二重母音 ]

近代漢語 구개음화 연구 (Ⅱ) ― 변화의 양상과 원인을 중심으로

중국언어연구 | 33 | 2010 | 중국어와문학

近代漢語 구개음화 연구 (Ⅱ) ― 변화의 양상과 원인을 중심으로

중국언어연구 | | 33 | 2010 | 중국어와문학

『인어대방(隣語大方)』의 국어학적 고찰 -「츠쿠바대본」과 「조선간본」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by South korea linguistics of 「Ringotaihou(隣語大方)」

국어사연구 | 11 | 2010 | 국어사

『인어대방(隣語大方)』의 국어학적 고찰 -「츠쿠바대본」과 「조선간본」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by South korea linguistics of 「Ringotaihou(隣語大方)」

국어사연구 | | 11 | 2010 | 국어사

≪병학지남≫ 이판본의 계통과 신자료 ≪병학지남육조언해≫(兵學指南陸操諺解) 연구

A Study on lineage of Byeonghak jinam and a new Korean material Byeonghak jinam Yukjo eonhae

國語學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Mun Hyeonto(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Translation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치문현토와 번역의 연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hiMun Hyeonto(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Translation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

韓國漢字音의 聲類에 나타나는 慣用音的 要素 -日本漢字音과의 比較를 中心으로-

韓國漢字音の聲類における慣用音的要素について - 日本漢字音との比較を中心に -

일본연구 | 49 | 2011 | 일본어와문학

19세기 초기 전라 방언 자료 『수운정비회유록』(睡雲亭悲懷遺錄) 연구

A study on “Suunjeongbihoeyurok” reflected Jeolla dialect in the early period of 19th Century

한국문화 | 53 | 2011 | 기타인문학

철자 정보 산출에서 노화의 영향

The effect of Aging on Retrieval of Orthographic Knowledg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23 | 4 | 2011 | 심리과학

국어 로마자 표기의 사용상 혼란 원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auses of Confusion and Inconsistency in Using Korean Romanization

언어과학 | 19 | 2 | 2012 | 언어학

언어적 변천에 따른 지명 유형과 문화정치적 의의

Types of Place Names According to the Linguistic Changes and Those Cultural-Political Meanings

한국학 | 34 | 3 | 2011 | 기타인문학

Representation on the Diachronic Change of English kn-cluster in Optimality Theory

영어영문학연구 | 53 | 4 | 2011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