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G010000 예술체육 > 예술일반

클래스 : 유형/양식/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160

STNet ID : 1000776

한자 :
프랑스어 : genre
러시아어 : жанр
일본어 : ジャンル

E01 유형/양식/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음악 장르 [ 音樂--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문학 장르 [ 文學--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장르 소설 [ --小說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장르 차별화 [ --差別化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장르화 [ --化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장르 선호도 () [ --選好度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탈장르 () [ 脫-- ]

16세기 오륜시조 출현의 시기적 조건과 그 정치적 의미

The seasonal conditions of Oryun-sijo's emergence in 16th Century and it's political implication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박문』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Essay and Change of Literary Field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first magazine B'akmoon specialized in essay

비평문학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박문』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Essay and Change of Literary Field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first magazine B'akmoon specialized in essay

비평문학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Searching for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Statements’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의 국어과 전문성 탐색

Searching for the Language-Specific Contents in Korean Education: ‘The Distinction between Fact and Statements’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2009년과 2010년 中等 漢文科 敎師 任用試驗에 대하여 -1차 한문 선택형 시험을 중심으로-

About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of Chinese Literature in 2009 and 2010 -Focused on primary multiple choice test-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2009년과 2010년 中等 漢文科 敎師 任用試驗에 대하여 -1차 한문 선택형 시험을 중심으로-

About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of Chinese Literature in 2009 and 2010 -Focused on primary multiple choice test-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Different from/than/to의 코퍼스 기반 분석

언어학 | 20 | 1 | 2012 | 언어학

생성과 통합의 시학: 러시아 네오리얼리즘

Russian Neorealism as the Poetics of Genesis and Integration

노어노문학 | 23 | 4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정념과 근대: 영화 <기담>의 식민지 시대 재현방식 연구

Sentiments and Modernity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Colonial Period in the Movie Kida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1 | 2012 | 한국어와문학

50년대 『아리랑』 잡지의 ‘명랑’과 ‘탐정’ 코드

The Code of ‘the Detective’ and ‘the Merriness’ of the Popular Magazine Arirang in the 1950’s

현대소설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셜콘텐츠: 방송의 공익성과 시청자 참여

Social Content: Public Interest of Broadcasting and Audience Participation

한국언론학보 | 55 | 5 | 2011 | 신문방송학

한국 방송의 다양성 지수 연구: 나폴리의 소스, 내용, 노출 다양성 측정을 중심으로

A Study of Diversity Index in Korean Broadcasting: Focusing on the Measurement of Napoli’s Source, Content and Exposure diversity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1 | 1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 방송의 다양성 지수 연구: 나폴리의 소스, 내용, 노출 다양성 측정을 중심으로

A Study of Diversity Index in Korean Broadcasting: Focusing on the Measurement of Napoli’s Source, Content and Exposure diversity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1 | 1 | 2010 | 신문방송학

기사 프레임과 장르가 댓글 유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Frame and Genre of Portal News Articles on the Type of Online Replies

한국언론학보 | 54 | 2 | 2010 | 신문방송학

기사 프레임과 장르가 댓글 유형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Frame and Genre of Portal News Articles on the Type of Online Replies

한국언론학보 | 54 | 2 | 2010 | 신문방송학

樣式的 의미의 風개념에 관한 小考

The Origin of the ‘風 Concept’ at the Viewpoint of the Style

고전과 해석 | 9 | 2010 | 국문학사

樣式的 의미의 風개념에 관한 小考

The Origin of the ‘風 Concept’ at the Viewpoint of the Style

고전과 해석 | 9 | | 2010 | 국문학사

생활속요(Частушка)의 기원과 구조적 특성

Origi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astushka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생활속요(Частушка)의 기원과 구조적 특성

Origi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hastushka

노어노문학 | 22 | 3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국내 방송 프로그램 유통현황에 관한 연구

Research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Broadcasting Program Circulation

사회과학연구 | 37 | 1 | 2011 | 사회과학일반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장르 수용 양상과 의미 -『韓國時調大事典』을 중심으로-

Reception Aspects and Meaning of Other Genre of Korean Verse with Dialogic Style -Focused on Dictionary of Korean Sijo-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

담화표지 ‘뭐’의 사용패턴과 기능

Usage Patterns and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wo’

한글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담화표지 ‘뭐’의 사용패턴과 기능

Usage Patterns and Functions of Discourse Marker ‘mwo’

한글 | | 288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설가소설 교육의 실천 방법

The Practical Method of Novelist-novel Education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설가소설 교육의 실천 방법

The Practical Method of Novelist-novel Education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Thematic Analysis of Textual Genres in Lower Secondary Education for More Effective Language Learning

언어학 연구 | 24 | 2012 | 기타언어학

다채널 환경에서의 지상파 텔레비전 시청 행태 변화 : 2000년과 2008년의 시청률과 시청 충실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Changes in Television Viewing Patterns ina Multichannel Environment : Ratings and Program Viewing Fidelity between 2000 and 2008

한국언론학보 | 54 | 1 | 2010 | 신문방송학

다채널 환경에서의 지상파 텔레비전 시청 행태 변화 : 2000년과 2008년의 시청률과 시청 충실도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Changes in Television Viewing Patterns ina Multichannel Environment : Ratings and Program Viewing Fidelity between 2000 and 2008

한국언론학보 | 54 | 1 | 2010 | 신문방송학

1930년대 수필의 장과 장르의 역학

A Study on the Field of Essays and Genre Dynamics in the 1930s

반교어문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수필의 장과 장르의 역학

A Study on the Field of Essays and Genre Dynamics in the 1930s

반교어문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포기와 베스》, 장르의 이중적 수용사

Porgy and Bess, the Reception History and the Genre Problems

서양음악학 | 15 | 3 | 2012 | 음악학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데올로기적 현실 구성과 비판적 성찰의 이중성: 연예인 구혼 리얼리티 프로그램 <골드미스가 간다>의 텍스트 및 수용 분석

The Two Faces of Reality TV: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Ideological Discourse of Love and Marriage on Reality Program

한국방송학보 | 24 | 3 | 2010 | 신문방송학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이데올로기적 현실 구성과 비판적 성찰의 이중성: 연예인 구혼 리얼리티 프로그램 <골드미스가 간다>의 텍스트 및 수용 분석

The Two Faces of Reality TV: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Ideological Discourse of Love and Marriage on Reality Program

한국방송학보 | 24 | 3 | 2010 | 신문방송학

A Corpus-based Comparison of British Professional Writers’ L1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L2 Argumentative Texts on Environmental Issues in Terms of Heteroglossic ENGAGEMENT in Appraisal

응용언어학 | 27 | 2 | 2011 | 언어학

윤치호의 문화횡단적(transcultural) 글쓰기 – 초기 일기(1883~1895)에 나타나는 언어, 장르, 주체구성을 중심으로

Transcultural Writing of Tchi Ho Yun — focused on language, genre, and subjectivity of the early diary(1883~1895)

비교문학 | 56 | 2012 | 인문학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에 나타난 선정성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in Korean Network Televisions

한국방송학보 | 24 | 1 | 2010 | 신문방송학

한국 지상파 텔레비전에 나타난 선정성의 유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exuality in Korean Network Televisions

한국방송학보 | 24 | 1 | 2010 | 신문방송학

역사추리소설의 장르적 성격과 영화화 전략: 소설 『열녀문의 비밀』과 영화 <조선명탐정>을 중심으로

Genre Characteristics and Filming Strategies of Historical Detective Novel: The Secret of Virtuous Women Gate and Detective K

문학과 영상 | 13 | 2 | 2012 | 영상문학

3DTV 영상의 장르별 프레젠스 인식 특성 연구

A Study of Presence Perception Tendency by Genres on 3DTV

한국방송학보 | 24 | 4 | 2010 | 신문방송학

3DTV 영상의 장르별 프레젠스 인식 특성 연구

A Study of Presence Perception Tendency by Genres on 3DTV

한국방송학보 | 24 | 4 | 2010 | 신문방송학

공감의 시학, 웹툰과 영화의 장르 뛰어넘기 - 『그대를 사랑합니다』웹툰과 영화 비교

Poetics of Compathy

비교문학 | 54 | 2011 | 인문학

빌헬름 부쉬의 그림이야기에 나타난 장르화 연구

Das Genrebild in den Bildgeschichten Wilhelm Busches

카프카 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자기소개 연구

A study on self-introduction using storytelling

작문연구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쓰기 영역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The study on the subsections and criticizing of 2000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the writing area-

작문연구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생의 글쓰기에서 고쳐쓰기 양상 분석 - 초등학교 2학년 학생 3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revision patterns in elementary students' writing

작문연구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등학생의 글쓰기에서 고쳐쓰기 양상 분석 - 초등학교 2학년 학생 3명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revision patterns in elementary students' writing

작문연구 | | 10 | 2010 | 한국어와문학

느와르 장르에서 반영웅 캐릭터의 변화 양상 - <택시 드라이버>(1976) ‘트레비스 비클리’를 중심으로 -

The Change Aspect of the Anti-Hero Character in Film Noir: Focusing on Travis Bickle of Taxi Driver(1976)

씨네포럼 | 12 | 2011 | 영화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Teaching KFL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Applying genre-based approach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장르 기반 접근법으로-

Teaching KFL Writing for Academic Purposes; Applying genre-based approach

한국어교육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기문의 장르 관습과 교육적 적용

Genre Conventions of Biographical Literature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5 | 2 | 2011 | 국어교육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교육을 위한장르 분류와 분석의 틀 - 장르기반 접근법 적용을 위하여 -

On Genre Analysis and a Framework for KAP Writing Classroom. -For the Application of Genre-Based Approach-

텍스트언어학 | 29 | 2010 | 언어학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교육을 위한장르 분류와 분석의 틀 - 장르기반 접근법 적용을 위하여 -

On Genre Analysis and a Framework for KAP Writing Classroom. -For the Application of Genre-Based Approach-

텍스트언어학 | 29 | | 2010 | 언어학

The Existential Ego in the Space of the Others : Chinatown, Generic Renovation and Inheritance

타자의 공간에 선 존재론적 자아 : <차이나타운>의 장르 혁신과 유산에 대해

씨네포럼 | 12 | 2011 | 영화

<아바타>, 정보 네트워크 사회의 재현

Avatar as a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Network Society

언론과학연구 | 10 | 3 | 2010 | 신문방송학

<아바타>, 정보 네트워크 사회의 재현

Avatar as a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Network Society

언론과학연구 | 10 | 3 | 2010 | 신문방송학

지상파 TV 뉴스와 보도 시청행태의 변화 ― 2000-2009

An Analysis of News Genre Watching Behavior and Rating Trends of Terrestrial Broadcasting from 2000 to 2009

언론과학연구 | 12 | 3 | 2012 | 신문방송학

멜로드라마 보는 남자들: 중년 남성의 여성 장르 시청 경험에 관한 연구

Men Watching Melodrama: The Middle-Aged Male’s Viewing Experience of Women’s Genre

한국언론정보학보 | 58 | 2 | 2012 | 신문방송학

‘아이돌 장르’의 부상에 따른 아이돌 스타덤 연구: KBS 드라마 <드림하이> 사례를 중심으로

Studying ‘Idol Stardom’ and ‘Idol Genre’: A Case Study of KBS Drama

한국방송학보 | 25 | 6 | 2011 | 신문방송학

창발적 장소의 변주들: 비디오게임 장르의 공간성에 대하여

Variations of Emergent Places-On Spatiality of Video Game Genre

영상예술연구 | 18 | 2011 | 기타예술체육

Yeats’s Poems on Pictures

예이츠의 시 속의 회화

한국 예이츠 저널 | 38 | 2012 | 영어와문학

Genre Awareness in Two Undergraduates' Graduate School Statement of Purpose

언어과학 | 17 | 4 | 2010 | 언어학

Genre Awareness in Two Undergraduates' Graduate School Statement of Purpose

언어과학 | 17 | 4 | 2010 | 언어학

김기영 <하녀>와 임상수 <하녀>의 사운드 비교분석

The sound analysis and comparison of by Kim Ki-Young and by Im Sang-Soo

씨네포럼 | 11 | 2010 | 영화

김기영 <하녀>와 임상수 <하녀>의 사운드 비교분석

The sound analysis and comparison of by Kim Ki-Young and by Im Sang-Soo

씨네포럼 | | 11 | 2010 | 영화

The Monstrosity of Form: Patterns in the Yeatsian Lyric

예이츠의 서정시의 수욕적 형식

한국 예이츠 저널 | 37 | 2012 | 영어와문학

장르 중심의 쓰기교육 연구 - ‘자서전 장르’를 대상으로 -

A Study on a writing education based on genre theory

작문연구 | 14 | 2012 | 한국어와문학

여성국극의 장르적 성격과 이미지로서의 역사

The Character as Genre and History as Image of Female Gugguek

한국연극학 | 40 | 2010 | 연극

여성국극의 장르적 성격과 이미지로서의 역사

The Character as Genre and History as Image of Female Gugguek

한국연극학 | | 40 | 2010 | 연극

The Gnädiges Fräulein에 나타난 이미지, 공연 그리고 리얼리티

The Study on the Images, Performances, and Realities in The Gnädiges Fräulein

현대영미드라마 | 23 | 3 | 2010 | 현대영미희곡

The Gnädiges Fräulein에 나타난 이미지, 공연 그리고 리얼리티

The Study on the Images, Performances, and Realities in The Gnädiges Fräulein

현대영미드라마 | 23 | 3 | 2010 | 현대영미희곡

TV 포맷의 유형화 탐색

An Alternative Typology of TV format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1 | 1 | 2010 | 신문방송학

TV 포맷의 유형화 탐색

An Alternative Typology of TV format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 11 | 1 | 2010 | 신문방송학

The Gospel of Mark As Christian Biographical Tragedy

기독교 위인적 비극으로서 마가복음

신약연구 | 11 | 2 | 2012 | 신약학

Reframing learning transfer across composition and content classes

응용언어학 | 26 | 1 | 2010 | 언어학

Reframing learning transfer across composition and content classes

응용언어학 | 26 | 1 | 2010 | 언어학

장르 기반 텍스트, 문법 통합 모형에 대한 연구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를 대상으로-

A Study of an Integrated Model of Text and Grammar Based on the Genus - on the self-introduction for employment -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장르 중심 통합 단원의 학습활동 전개 양상과 개선 방안 - 8학년 자서전 읽기와 쓰기 단원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phase and improvement methods of learning activity for genre based unit ― Focusing on unit of reading and writing autobiography ―

국어교육 | 1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장르의 작문 교육과정 실행 방안

A Method for Genre Instruction in Writing Curriculum

작문연구 | 14 | 2012 | 한국어와문학

해방 전 이른바 ‘시’를 지칭하는 용어 고찰 -학교 잡지를 중심으로

The historic studies of the regulating poem's genre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전 이른바 ‘시’를 지칭하는 용어 고찰 -학교 잡지를 중심으로

The historic studies of the regulating poem's genre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확장된 장르 개념을 활용한 비평문 쓰기와 서사교육

The writing of critical essay and the narrative teaching using the expanding genre concept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확장된 장르 개념을 활용한 비평문 쓰기와 서사교육

The writing of critical essay and the narrative teaching using the expanding genre concept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르와 맥락: “소넷 94번”과 공자적 인간상의 연극적 변용

Genre and Context: “Sonnet 94” and the Dramatic Transfiguration of a Confucian Idea of Man

Shakespeare Review | 47 | 4 | 2011 | 영어와문학

서사의 장르적 특성에 기초한 고전소설의 재창조 모형 연구 ―「홍길동전」과 「흥부전」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creation Model of the Traditional Novels based o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Epics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1 | 2010 | 기타인문학

서사의 장르적 특성에 기초한 고전소설의 재창조 모형 연구 ―「홍길동전」과 「흥부전」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Recreation Model of the Traditional Novels based o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Epics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1 | 2010 | 기타인문학

현대시의 장르 해체적 징후와 표지

The genre de-constructing sings and marks in Modern poetry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고골 중편소설의 장르적 특성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Gogol’s Short Sovels

노어노문학 | 23 | 2 | 2011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