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2064
한자 :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
|
퇴계의 修養學
A Study on T'oegye's self-cultivation
퇴계학보 | 129 | 2011 | 유교학
퇴계의 修養學
A Study on T'oegye's self-cultivation
퇴계학보 | 129 | 2011 | 유교학
17세기 중반 윤선거 역학의 성립 배경
The background on the Yun Seon Geo’s I-Ching theory in 17th Century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17세기 중반 윤선거 역학의 성립 배경
The background on the Yun Seon Geo’s I-Ching theory in 17th Century
한국인물사연구 | 17 | 2012 | 역사학
공자의 열린 유학
孔子的開放儒學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공자의 열린 유학
孔子的開放儒學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여씨춘추』와 『예기』 「악기」에서 “음악은 천지의 조화[和]”가 갖는 의미 비교
The Concept of Cosmic Harmony of Music in Lüshi chunqiu and “Yueji” of Liji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공자의 열린 유학
孔子的開放儒學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공자의 열린 유학
孔子的開放儒學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여씨춘추』와 『예기』 「악기」에서 “음악은 천지의 조화[和]”가 갖는 의미 비교
The Concept of Cosmic Harmony of Music in Lüshi chunqiu and “Yueji” of Liji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Sub-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한국소통학보 | 15 | 2011 | 휴먼커뮤니케이션
중국과 서양에서의 자연의 법칙과 자연법
The Law of Nature and the Natural Law in Europe and China
사회과학연구 | 23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예기』 텍스트의 개념지도 분석을 통한 사회적 덕목으로서 ‘신뢰’ 연구
A Study about Confidence as Social Virtue through the Analysis of Concept Map of the Li Ki Text
동아시아문화연구 | 51 | 2012 | 기타인문학
성리학에서 ‘형식’의 문제 − 朱子 성리학을 중심으로 −
性理学中“形式”的问题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한국형 소통 스타일 하부 차원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f Sub-dimensions of Korean Communication Style
한국소통학보 | 15 | 2011 | 휴먼커뮤니케이션
『예기』 텍스트의 개념지도 분석을 통한 사회적 덕목으로서 ‘신뢰’ 연구
A Study about Confidence as Social Virtue through the Analysis of Concept Map of the Li Ki Text
동아시아문화연구 | 51 | 2012 | 기타인문학
성리학에서 ‘형식’의 문제 − 朱子 성리학을 중심으로 −
性理学中“形式”的问题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중국과 서양에서의 자연의 법칙과 자연법
The Law of Nature and the Natural Law in Europe and China
사회과학연구 | 23 | 2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영화 <축제>에 나타나는 한국의 장례의식(葬禮儀式)과 의미 고찰
A Study that appears in the film "festival" of the funeral rituals and their meanings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영화 <축제>에 나타나는 한국의 장례의식(葬禮儀式)과 의미 고찰
A Study that appears in the film "festival" of the funeral rituals and their meanings
영주어문 | 24 | 2012 | 기타국문학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ays to vitaliz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by making use of an old street - around Sinmunwangno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ays to vitaliz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by making use of an old street - around Sinmunwangno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ays to vitaliz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by making use of an old street - around Sinmunwangno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옛길을 활용한 성년례의 활성화 방안 연구 - 신문왕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ways to vitalize of the coming-of-age ceremony by making use of an old street - around Sinmunwangno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論語>>에 나타난 孔子의 君子論
《论语》中出现的孔子的君子论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 - 성자명출(性自命出)을 중심으로 -
Confucianism's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Pre-Qin Days - a study for Xìng Zì Mìng Chū -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 - 성자명출(性自命出)을 중심으로 -
Confucianism's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Pre-Qin Days - a study for Xìng Zì Mìng Chū -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덕 윤리적 관점과 유교 윤리 -『논어』와『맹자』를 중심으로-
Confucian Ethics in Point of View of Virtue Ethics
도덕윤리과교육 | 36 | 2012 | 교육학
<<論語>>에 나타난 孔子의 君子論
《论语》中出现的孔子的君子论
한국학논총 | 37 | 2012 | 역사이론
덕 윤리적 관점과 유교 윤리 -『논어』와『맹자』를 중심으로-
Confucian Ethics in Point of View of Virtue Ethics
도덕윤리과교육 | 36 | 2012 | 교육학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 - 성자명출(性自命出)을 중심으로 -
Confucianism's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Pre-Qin Days - a study for Xìng Zì Mìng Chū -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 - 성자명출(性自命出)을 중심으로 -
Confucianism's Theory of Human Nature In the Pre-Qin Days - a study for Xìng Zì Mìng Chū -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태권도 도복(道服)의 철학적 고찰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aekwondo Do'bok(道服)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2 | 2012 | 체육
孔子 禮 개념의 형성과 그 교육적 함의
孔子"禮"槪念的形成與其敎育內涵
교육사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사학
孔子 禮 개념의 형성과 그 교육적 함의
孔子"禮"槪念的形成與其敎育內涵
교육사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사학
중국 고대의 六藝 교육
Education of Liuyi (六藝) in the ancient China
윤리교육연구 | 22 | 2010 | 윤리교육학
중국 고대의 六藝 교육
Education of Liuyi (六藝) in the ancient China
윤리교육연구 | | 22 | 2010 | 윤리교육학
경국대전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The study of the position of Kyongguk-Taejon(經國大典) in Choson Dynasty
법철학연구 | 13 | 2 | 2010 | 법학
경국대전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The study of the position of Kyongguk-Taejon(經國大典) in Choson Dynasty
법철학연구 | 13 | 2 | 2010 | 법학
중국 고대의 六藝 교육
Education of Liuyi (六藝) in the ancient China
윤리교육연구 | 22 | 2010 | 윤리교육학
중국 고대의 六藝 교육
Education of Liuyi (六藝) in the ancient China
윤리교육연구 | | 22 | 2010 | 윤리교육학
경국대전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The study of the position of Kyongguk-Taejon(經國大典) in Choson Dynasty
법철학연구 | 13 | 2 | 2010 | 법학
경국대전의 성격에 대한 일고찰
The study of the position of Kyongguk-Taejon(經國大典) in Choson Dynasty
법철학연구 | 13 | 2 | 2010 | 법학
孔子 禮 개념의 형성과 그 교육적 함의
孔子"禮"槪念的形成與其敎育內涵
교육사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사학
孔子 禮 개념의 형성과 그 교육적 함의
孔子"禮"槪念的形成與其敎育內涵
교육사학연구 | 20 | 1 | 2010 | 교육사학
태권도 도복(道服)의 철학적 고찰
Philosophical Consideration on Taekwondo Do'bok(道服)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2 | 2012 | 체육
유가 몸공부법의 존재 위상: 격몽요결의 구용법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Topology of The Nine Rules of Self-Propriety[九容法]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유가 몸공부법의 존재 위상: 격몽요결의 구용법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Topology of The Nine Rules of Self-Propriety[九容法]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周公의 ‘德禮觀念’과 그 교육적 함의
周公的 ‘德禮觀念’與其敎育內涵
교육사학연구 | 20 | 2 | 2010 | 교육사학
周公의 ‘德禮觀念’과 그 교육적 함의
周公的 ‘德禮觀念’與其敎育內涵
교육사학연구 | 20 | 2 | 2010 | 교육사학
중학 과학 수업에서 예의 선정, 사용, 역할에 관한 교사의 의견
A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 of Choices, Usages, and Roles of Examples in Middle School Science
교사교육연구 | 51 | 2 | 2012 | 교사교육
유가 몸공부법의 존재 위상: 격몽요결의 구용법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Topology of The Nine Rules of Self-Propriety[九容法]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유가 몸공부법의 존재 위상: 격몽요결의 구용법을 중심으로
The Educational Topology of The Nine Rules of Self-Propriety[九容法]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周公의 ‘德禮觀念’과 그 교육적 함의
周公的 ‘德禮觀念’與其敎育內涵
교육사학연구 | 20 | 2 | 2010 | 교육사학
周公의 ‘德禮觀念’과 그 교육적 함의
周公的 ‘德禮觀念’與其敎育內涵
교육사학연구 | 20 | 2 | 2010 | 교육사학
중학 과학 수업에서 예의 선정, 사용, 역할에 관한 교사의 의견
A Survey of Teachers’ Perception of Choices, Usages, and Roles of Examples in Middle School Science
교사교육연구 | 51 | 2 | 2012 | 교사교육
공자의 인론(仁論)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Theory of Benevolence of Confucius
동서철학연구 | 61 | 2011 | 철학
유학 윤리사상의 현대적 변환에 대한 한 구상
An Idea on the Modern Conversion of Confucian Ethic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공자의 효사상
Filial duty idea of Confucius
인문학논총 | 28 | 2012 | 기타인문학
공자의 인론(仁論)에 관한 소고
A Study on the Theory of Benevolence of Confucius
동서철학연구 | 61 | 2011 | 철학
공자의 효사상
Filial duty idea of Confucius
인문학논총 | 28 | 2012 | 기타인문학
유학 윤리사상의 현대적 변환에 대한 한 구상
An Idea on the Modern Conversion of Confucian Ethic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寒岡 鄭逑의 禮學-禮問答을 中心으로-
Jeong Gu's Lixue -centering around questions & answers about li-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인권 및 프라이버시와 유가철학의 규범체계로서 禮 사이의 통약가능성 문제
An Inquiry on the Commensurability between the Propriety[禮] as Criterion System of Confucian Philosophy and Human Rights, Privacy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중화주의로서의 유학
Confucianism as Sinocentrism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현대 건축에 나타난 공간 개념의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Concepts of Space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현대 건축에 나타난 공간 개념의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Concepts of Space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孟子의 禮論 硏究
A Study on the proprieties theory of Mencius
중국학논총 | 36 | 2012 | 중국문화학
孟子의 禮論 硏究
A Study on the proprieties theory of Mencius
중국학논총 | 36 | 2012 | 중국문화학
현대 건축에 나타난 공간 개념의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Concepts of Space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현대 건축에 나타난 공간 개념의 철학적 고찰
A Philosophical Study on the Concepts of Space in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중화주의로서의 유학
Confucianism as Sinocentrism
철학사상 | 40 | 2011 | 철학
寒岡 鄭逑의 禮學-禮問答을 中心으로-
Jeong Gu's Lixue -centering around questions & answers about li-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인권 및 프라이버시와 유가철학의 규범체계로서 禮 사이의 통약가능성 문제
An Inquiry on the Commensurability between the Propriety[禮] as Criterion System of Confucian Philosophy and Human Rights, Privacy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예(禮)’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rtue of ''Li'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Moral Subject
도덕윤리과교육 | 36 | 2012 | 교육학
한강 정구의 현실인식과 경세관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and the View of Managing the Society by Jeong Gu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가족, 의례, 선정 ― 주희(1130~1200) 예학의 형성과정
Family, Rituals, and Good Government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가족, 의례, 선정 ― 주희(1130~1200) 예학의 형성과정
Family, Rituals, and Good Government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가족, 의례, 선정 ― 주희(1130~1200) 예학의 형성과정
Family, Rituals, and Good Government
국학연구 | 16 | 2010 | 기타인문학
가족, 의례, 선정 ― 주희(1130~1200) 예학의 형성과정
Family, Rituals, and Good Government
국학연구 | | 16 | 2010 | 기타인문학
율곡학파의 예학
栗谷學派的禮學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율곡학파의 예학
栗谷學派的禮學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우암 송시열의 의리적 예론
Song Siyeol's righteousness centered arguments on the ritual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한강 정구의 현실인식과 경세관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and the View of Managing the Society by Jeong Gu
한국학논집 | 48 | 2012 | 기타인문학
禮의 實定法的 성격에 대한 고찰 -禮․法의 體用적 관계 모델 정립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礼の実定法的性格についての考察 -礼・法の体用的関係モデルの確立のための先行研究の分析
동서철학연구 | 59 | 2011 | 철학
禮의 實定法的 성격에 대한 고찰 -禮․法의 體用적 관계 모델 정립을 위한 선행연구 분석
礼の実定法的性格についての考察 -礼・法の体用的関係モデルの確立のための先行研究の分析
동서철학연구 | 59 | 2011 | 철학
畿湖禮學의 形成과 學風 -栗谷・龜峯의 特徵과 傳承을 중심으로-
Kiho-Lixue's Formation and Academic Feature - centering around Yulgok, Gubong‘s feature and Sakye's transmission -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우암 송시열의 의리적 예론
Song Siyeol's righteousness centered arguments on the ritual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율곡학파의 예학
栗谷學派的禮學
율곡학연구 | 20 | 2010 | 기타인문학
율곡학파의 예학
栗谷學派的禮學
율곡학연구 | 20 |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가 예교의 우주적 이상(理想)과 그 교육적 함의: 천(天), 성인(聖人), 예(禮)의 관념을 중심으로
儒家禮敎的宇宙的理想與其敎育內涵 - 以“天”、“聖人”、“禮”爲中心-
교육사학연구 | 21 | 2 | 2011 | 교육사학
동아시아적 법개념론은 가능한가?-이른바 동아시아 법학(East Asian Jurisprudence)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비판적 시론-
East Asian Jurisprudence and the Theory of Li and Fa
법학연구 | 31 | 2010 | 법학교육
동아시아적 법개념론은 가능한가?-이른바 동아시아 법학(East Asian Jurisprudence)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비판적 시론-
East Asian Jurisprudence and the Theory of Li and Fa
법학연구 | 31 | | 2010 | 법학교육
畿湖禮學의 形成과 學風 -栗谷・龜峯의 特徵과 傳承을 중심으로-
Kiho-Lixue's Formation and Academic Feature - centering around Yulgok, Gubong‘s feature and Sakye's transmission -
유학연구 | 25 | 2011 | 철학
『左傳』에 나타난 禮 의식의 변화 고찰
A Study on Changes to Courtesy Consciousness in Zuo Zhuan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左傳』에 나타난 禮 의식의 변화 고찰
A Study on Changes to Courtesy Consciousness in Zuo Zhuan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유가 예교의 우주적 이상(理想)과 그 교육적 함의: 천(天), 성인(聖人), 예(禮)의 관념을 중심으로
儒家禮敎的宇宙的理想與其敎育內涵 - 以“天”、“聖人”、“禮”爲中心-
교육사학연구 | 21 | 2 | 2011 | 교육사학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예(禮)’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rtue of ''Li' in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Moral Subject
도덕윤리과교육 | 36 | 2012 | 교육학
동아시아적 법개념론은 가능한가?-이른바 동아시아 법학(East Asian Jurisprudence)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비판적 시론-
East Asian Jurisprudence and the Theory of Li and Fa
법학연구 | 31 | 2010 | 법학교육
동아시아적 법개념론은 가능한가?-이른바 동아시아 법학(East Asian Jurisprudence)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비판적 시론-
East Asian Jurisprudence and the Theory of Li and Fa
법학연구 | 31 | | 2010 | 법학교육
禮治主義의 법실증주의적 전개 ―禮 형식의 의미와 ‘법제화’를 중심으로
礼治主義の法実証主義的な展開 ―礼の形式の意味と「法制化」を中心にして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예학과 실학, 그리고 詩樂 —문체반정과 악풍반정—
Poetry and Music of Orthodox Neo-Confucianism(朱子學) and practical science(實學) in the latter term Joseon Dynasty(朝鮮)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禮治主義의 법실증주의적 전개 ―禮 형식의 의미와 ‘법제화’를 중심으로
礼治主義の法実証主義的な展開 ―礼の形式の意味と「法制化」を中心にして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左傳』에 나타난 禮 의식의 변화 고찰
A Study on Changes to Courtesy Consciousness in Zuo Zhuan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左傳』에 나타난 禮 의식의 변화 고찰
A Study on Changes to Courtesy Consciousness in Zuo Zhuan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