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인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2542

STNet ID : 1003016

한자 : 境界人
영어 : marginal man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a01-05-03 인간(성향) 인간(성향)

주변인 [ 周邊人 ]

1980년대 북한 소설과 동원의 정치학 - 1980년대 단편선 수록 사회주의 현실주제 작품을 중심으로 -

The Novels of North Korea in the 1980s and Politics of Mobilization : Focused on the Works of Socialist Reality Theme included “A Collection of 1980s Short Stories”

인문연구 | 62 | 2011 | 기타인문학

재일한인 시문학의 변화 양상 연구 —정주기와 공생기의 시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f mutational phase in Korean-Japanese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일한인 시문학의 변화 양상 연구 —정주기와 공생기의 시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f mutational phase in Korean-Japanese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만주망명가사와 디아스포라

Manchurian Exile Gasa and Diaspora

한국시가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경리 소설의 인물 성격과 ‘초인론’

A Study on the Character of Park, Kyung-ri’s Novels and her ‘Choinron’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백신애 소설 연구 -여성 작가와 정체성 탐색의 글쓰기

A Study on the Paik Shin-ae's novel -Female Author and Writing of the Quest for Identity-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백신애 소설 연구 -여성 작가와 정체성 탐색의 글쓰기

A Study on the Paik Shin-ae's novel -Female Author and Writing of the Quest for Identity-

여성문학연구 | 24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계인”으로서의 까자끼: 까자끼의 역사적 기원과 형성에 대한 소고

Cossacks as Eurasian Borderers: Reflections on the Early History of the Cossackdom

러시아연구 | 20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경계인”으로서의 까자끼: 까자끼의 역사적 기원과 형성에 대한 소고

Cossacks as Eurasian Borderers: Reflections on the Early History of the Cossackdom

러시아연구 | 20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목란언니>에 나타난 경계 넘기의 미학

Ästhetik der Grenzüberschreitung von Schwester Mokran

드라마 연구 | 37 | 2012 | 연극이론

이양지 소설에 나타난 경계인 양상 연구 - <나비타령>과 <유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rginal man in the Lee Yang-ji's novels - Focused on the Butterfly Taryung and Yuhee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경계인의 공간 – 앗시아 제바르의 『스트라스부르의 밤들』을 중심으로

L’espace des hommes transfrontaliers – Autour des Nuits de Strasbourg par Assia Djebar

불어불문학연구 | 91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申在孝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物慾의 表出 樣相과 그 意味

Expression and the meanings of Shin Jaehyo's earthly desire shown in the pansori texts

어문연구(語文硏究) | 40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분단을 사유하는 경계인의 철학: 송두율의 통일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Borderer's Philosophy thinking about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Critical Review on Song Doo-Yul's Philosophy for Unification

철학연구 | 114 | 2010 | 철학

분단을 사유하는 경계인의 철학: 송두율의 통일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Borderer's Philosophy thinking about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Critical Review on Song Doo-Yul's Philosophy for Unification

철학연구 | 114 | | 2010 | 철학

분단희곡에 있어서 ‘경계인’의 위상과 의미

Study on the Status and the Meaning of the 'Marginal Man' in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한국극예술연구 | 32 | 2010 | 예술체육학

분단희곡에 있어서 ‘경계인’의 위상과 의미

Study on the Status and the Meaning of the 'Marginal Man' in Dramas on the Division of Korea

한국극예술연구 | | 32 | 2010 | 예술체육학

국외 한인소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양상 -이민, 재이민, 역이민 경우를 중심으로-

Diaspora in Korean Novels Outside the Country

현대소설연구 | 4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