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020205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근대사
B110400 사회과학 > 인류학 > 인종및민족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265
한자 : 在日朝鮮人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S:동의 |
Use (우선어) |
|
|
도쿄 도시레짐과 에다가와조선학교의 역사
The History of Tokyo Urban Regime and Edagawa Korean School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85 | 2010 | 사회학
도쿄 도시레짐과 에다가와조선학교의 역사
The History of Tokyo Urban Regime and Edagawa Korean School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85 | 2010 | 사회학
북한 귀국사업의 재조명: ‘원조경제’에서‘인질(볼모)경제’로의 전환
The Rethinking of North Korea’s homecoming project : the change from the‘ hostage economy’to the‘ aid-economy’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북한 귀국사업의 재조명: ‘원조경제’에서‘인질(볼모)경제’로의 전환
The Rethinking of North Korea’s homecoming project : the change from the‘ hostage economy’to the‘ aid-economy’
한국정치학회보 | 44 | 4 | 2010 | 정치외교학
한반도 신탁통치 문제의 로컬리티 -해방직후 재일조선인 사회를 중심으로-
Locality of the Issue with Trusteeship of Korean Peninsula -In Case of Korean Society in Japan soon after the War-end-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70 | 2012 | 역사학
1950년대 일본의 북한문학 소개와 특징 —『新日本文學』과 『人民文學』을 중심으로
The introduction to Japan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its features in the 1950s: - focusing on the magazines, 'Shinnihonbungaku' and 'Zinminbungaku' -
한국근대문학연구 | 25 | 2012 | 한국어와문학
전후 일본 인권제도의 역사적 전환과 모순
The Japanese historical change on Human Rights system and its Controversy : after the 2nd world war 1945-1950s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3 | 2012 | 사회학
귀화의 에스닉 정치와 알리바이로서의 미국 -‘해방’ 이후 장혁주의 선택과 「아, 조선(嗚呼朝鮮)」(1952)-
The Ethnic Politics of Naturalization and America as an Alibi -The Choice of Chang Hyuk-ju after the ‘libertation’ and his novel Alas! Chosun (1952)-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張赫宙(野口赫宙)의 『망향의 살인(望郷の殺人)』론 ―재일동포사회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친일의 합리화
張赫宙(野口赫宙)の 『望郷の殺人』論 ―在日朝鮮人社会に対する作家の認識と親日の合理化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김달수 소설 『태백산맥』에 나타난 해방의 의미 -정체성 문제를 중심으로-
The meaning of liberation appeared in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코리언의 분단․통일 의식과 통일 전망
Korean's Division-Unification Consciousness and Prospects for Unification
북한연구학회보 | 16 | 1 | 2012 | 정치외교학
나카노 시게하루와 조선 ― 연대하는 사유의 모노로그
Shigeharu Nakano and Korea: a monologue of thoughts pursuing solidarit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3 | 2012 | 사회학
경계인의 정체성 연구 -재일조선인 김시종의 시세계
境界人のアイデンティティー -金時鐘の詩を通して-
어문론집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계인의 정체성 연구 -재일조선인 김시종의 시세계
境界人のアイデンティティー -金時鐘の詩を通して-
어문론집 | 45 | | 2010 | 한국어와문학
최승희 춤 활동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반향
Choi Seung-hee in South Korea and Japan repercussions for dance activities
공연문화연구 | 21 | 2010 | 기타예술일반
최승희 춤 활동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반향
Choi Seung-hee in South Korea and Japan repercussions for dance activities
공연문화연구 | | 21 | 2010 | 기타예술일반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 전반기 북한 문학교육교양 매체 『아동문학』의 주제적 경향
Thematic Trends of the Children’s Literature as a Medium of General Literary Education in North Korea, 1960~1965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트랜스내셔널리즘, (불)가능 그리고 재일조선인이라는 예외상태: 재일조선인의 한국전쟁 관련 텍스트를 중심으로
Transnationalism, (im)possiblity and Jainichi Korean as a state of Emergency
동방학지 | 157 | 2012 | 기타인문학
분단과 전쟁의 디아스포라-재일조선인 문제를 중심으로
Korean Division and Korean Diaspora: focusing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역사비평 | 91 | 2010 | 역사학
분단과 전쟁의 디아스포라-재일조선인 문제를 중심으로
Korean Division and Korean Diaspora: focusing on Korean Residents in Japan
역사비평 | | 91 | 2010 | 역사학
전후 일본의 북한문학 소개와 수용 ― 잡지 『民主朝鮮』을 중심으로
The introduction and recogni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s in the postwar Japan - focusing on the journal ‘Minshu Chosen (民主朝鮮)’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정화흠 연구
A Study on the Poet Jung hwa-hum, the Korean-Japanese Diaspora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정화수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 The Focusing Jeong Hwa-su's poetry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 정화수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 The Focusing Jeong Hwa-su's poetry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총련>계 재일 디아스포라 시문학 연구 -김학렬의 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Japanese Diaspora Poetry ― The Focusing Kim hak―ryeol‘s poetry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인 사형수’를 둘러싼 전유의 구도: 고마쓰가와 사건(小松川事件)과 일본/‘조선’
Appropriation of 'Korean Condemned Prisoner' Identity: A Study of Discourse on Komatsugawa Incident
동방학지 | 158 | 2012 | 기타인문학
식민제국과 전쟁, 그리고 디아스포라의 삶 - ‘우토로’ 지역 재일조선인 1세 여성의 정착과 생활 -
한국사회학 | 45 | 4 | 2011 | 사회학
재일 한인문학의 특장(特長)과 균열의 틈새 - ‘문예동’ 소설의 전개 양상과 특성을 중심으로
Japanese korean literature's forte and a gap of crack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남시우 연구
A Study on the Poet Nam Si-woo, the Korean-Japanese Diaspora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일 디아스포라 시인 남시우 연구
A Study on the Poet Nam Si-woo, the Korean-Japanese Diaspora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의 『한양』에 실린 소설의 문제의식 ―― 『 한양』의 매체사회학적 위상을 중심으로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Novel in 『Hanyang(한양)』 in the 1960s - On the Media Sociological Position of 『Hanyang(한양)』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대의 『한양』에 실린 소설의 문제의식 ―― 『 한양』의 매체사회학적 위상을 중심으로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Novel in 『Hanyang(한양)』 in the 1960s - On the Media Sociological Position of 『Hanyang(한양)』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의 다문화교육정책과 역사교육
The Polic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History Education in Japan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鄭承博文学 硏究 ―「쫓기는 나날(追われる日々)」을 중심으로 ―
A Syudy on Jung Sung-Bak's Literatur-Focusing on 「Owareruhibi」-
일본근대학연구 | 30 | 2010 | 일본문화학
鄭承博文学 硏究 ―「쫓기는 나날(追われる日々)」을 중심으로 ―
A Syudy on Jung Sung-Bak's Literatur-Focusing on 「Owareruhibi」-
일본근대학연구 | | 30 | 2010 | 일본문화학
북한춤의 해외전파 : 일본과 중국을 중심으로
North Korea’s Overseas Transfer Dance- Focusing on Japan and China -
공연문화연구 | 22 | 2011 | 기타예술일반
영화
映画<GO>、<血と骨>、<バッチギ>におけるヴァリエーションと収斂
日本學硏究 | 36 | 2012 | 일본어와문학
鄭承博文学 硏究 -「地點」과「전등이 켜져 있다」를 중심으로-
A Syudy on Jung Sung-Bak's Literature -Focusing on「Chiten」「Dentougathuiteiru」-
일어일문학 | 52 | 2011 | 일본어와문학
關東大地震과 日本軍憲兵隊― 在日朝鮮人虐殺과의 關聯性을 中心으로 ―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the Japanese Military Police(1923)
일본학보 | 91 | 2012 | 일본어와문학
이양지 소설에 나타난 경계인 양상 연구 - <나비타령>과 <유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rginal man in the Lee Yang-ji's novels - Focused on the Butterfly Taryung and Yuhee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근대적 시․공간 경험의 해체와 탈주 욕망-이양지 「각(刻)」을 중심으로-
Dispersion of experiences on modern spacial time and Desire of escape -With a central focus on Engraving by Yang-Ji Lee-
국제어문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적 시․공간 경험의 해체와 탈주 욕망-이양지 「각(刻)」을 중심으로-
Dispersion of experiences on modern spacial time and Desire of escape -With a central focus on Engraving by Yang-Ji Lee-
국제어문 |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일조선인 정체성 연구 현황과 과제
Diagnosis and Task of The Zainichi Korean's identity study in the South Korea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본 재일조선인 여성의 결혼문제: 30대 여성들의 결혼활동을 중심으로
Changing Marriage Patterns among Korean Women in Japan in the Era of Diaspora: With an Emphasis on the Activities for Marriage (‘Konkatsu’) among those in their 30s.
재외한인연구 | 25 | 2011 | 기타인문학
재일조선인과 디아스포라 담론
在日朝鮮人とディアスポラ言説
사이間SAI | 12 | 2012 | 기타국문학
‘탈냉전’기 재일조선인의 한국이동과 경계 정치
Remigration of Zainichi Koreans and Boundary Politic in Post-Cold War Period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1 | 2011 | 사회학
‘민족주체’를 호출하는 ‘재일조선인’
「民族主体」を呼び出す在日朝鮮人の民族言説
日本學(일본학) | 32 | 2011 | 기타인문학
‘자이니치’ 담론과 아이덴티티
Identi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the 'Zainichi' Discourse
일본연구 | 17 | 2012 | 일본어와문학
재일한국인 문학에 나타난 ‘여성상’ -2·3세 작가들의 작품을 중심으로-
在日韓国人文学における'女性像’ -二·三世作家の作品を中心に-
일본문화연구 | 39 | 2011 | 일본어와문학
재일조선인과 디아스포라 담론
在日朝鮮人とディアスポラ言説
사이間SAI | 12 | 2012 | 기타국문학
재일조선인운동과 지식의 정치성, 1945-1960
Zainichi Choseonjin’s movement and The politics of knowledge, 1945-1960
日本思想 | 22 | 2012 | 철학
Zainichi Chōsenjin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Everyday Life
재일조선인, 생활 속의 독립운동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17 | 2 | 2012 | 기타역사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