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군당

연구분야 : B111200 사회과학 > 인류학 > 종교및민속신앙

클래스 : 건축물(시설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141

STNet ID : 1003053

한자 : 府君堂
동의어(UF) : 부근당(付根堂)
동의어(UF) : 부강당(富降堂)
음차어 : Bugundang

a04-07 건축물(시설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부군당굿 () [ 府君堂--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증보문헌비고 [ 增補文獻備考 ]

RT (관련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공동체 의례 [ 共同體儀禮 ]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수호신 [ 守護神 ]

박정희 정부기 문화재정책과 민속신앙 -국사당과 밤섬부군당을 중심으로-

Policy of cultural assets and folk beliefs in the Period of Park Jung-hee -Focused on the Guksadang and Bamseom Bugundang-

역사민속학 | 39 | 2012 | 역사학

광복이후 서울 서빙고 지역사회와 공동체 의례 주도집단의 변화 ―지역·지역사회·의례의 문화지형에 대한 시도

The Study of the Regional Community and the Ritual Group of Bugundang in Seobinggo-dong, Seoul after Independence-The Try of Made Cultual Topography about Region, Community and Ritual

한국민족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광복이후 서울 서빙고 지역사회와 공동체 의례 주도집단의 변화 ―지역·지역사회·의례의 문화지형에 대한 시도

The Study of the Regional Community and the Ritual Group of Bugundang in Seobinggo-dong, Seoul after Independence-The Try of Made Cultual Topography about Region, Community and Ritual

한국민족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

서울지역 불당(火堂)의 건립목적과 기능-마포 불당을 중심으로-

The purpose and functionality of Gut-Dang in Seoul

비교민속학 | 44 | 2011 | 역사학

무신도를 중심으로 한 부군당의 연원 모색

Seeking for the Origin of Bugundang Focused on the Portrait of Shaman God

한국민속학 | 51 | 2010 | 역사학

무신도를 중심으로 한 부군당의 연원 모색

Seeking for the Origin of Bugundang Focused on the Portrait of Shaman God

한국민속학 | 51 |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