王夫之 『連珠二十八首』의 明朝에 대한 志操⋅忠貞사상과 反淸의식 고찰
A Study on Principle and Belief, Loyalty and Steadfastness to the Ming-dynasty And Disobedience to the Qing-dynasty in Wang Fu-zhi’s Twenty eight pieces of Lian Zhou
중국학보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王夫之 『連珠二十八首』의 明朝에 대한 志操⋅忠貞사상과 反淸의식 고찰
A Study on Principle and Belief, Loyalty and Steadfastness to the Ming-dynasty And Disobedience to the Qing-dynasty in Wang Fu-zhi’s Twenty eight pieces of Lian Zhou
중국학보 |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명대 후기 유람의 대중화와 여행정보
Popularization of Sightseeing and Travel Information in the Later Ming Dynasty
동북아관광연구 |
8 |
2 |
2012 |
기타관광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王夫之『 ?倣符命⋅绎思?』에 대한 考釋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n Wang Fu-zhi’s Fang-Fu-Ming(倣符命)⋅Yi- Si(绎思)
중국학보 |
65 |
2012 |
중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서해 북단 해역의 경계와 島嶼 문제 ― 海浪島와 薪島를 중심으로 ―
The Maritime Border Issue of the North-western Coast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Offshore Islands - Focused on the Case of the Haerangdo Island and the Sindo Island -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조선시대 서해 북단 해역의 경계와 島嶼 문제 ― 海浪島와 薪島를 중심으로 ―
The Maritime Border Issue of the North-western Coast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Offshore Islands - Focused on the Case of the Haerangdo Island and the Sindo Island -
명청사연구 |
36 |
2011 |
역사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複數의 路程 - 明代 후기의 교통로
Multiple Paths – Travel Routes in Late Ming Dynasty
대구사학 |
107 |
2012 |
역사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승려들의 압록강 越境事件
Choseon's(朝鮮) Buddhist Priests Who Crossed the Border of the Yalu River(鴨綠江)
한국사상과 문화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明代 學校敎育의 普及과 政治․社會的 機能 -明初 洪武․永樂期를 中心으로-
明代學校敎育的普及和其政治․社會的功能 -以明初洪武、永樂期爲中心-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明代 學校敎育의 普及과 政治․社會的 機能 -明初 洪武․永樂期를 中心으로-
明代學校敎育的普及和其政治․社會的功能 -以明初洪武、永樂期爲中心-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明初 宦官의 外交 活動 實態와 그 特性
明初宦官外交活动的实态及其特性
중국사연구 |
77 |
2012 |
동양사
明初與高麗、朝鮮有關遼東流人的交涉問題 — 讀朝鮮文獻《吏文》劄記
Journal of korean Culture |
16 |
2011 |
현대시(국문학)
明初 宦官의 外交 活動 實態와 그 特性
明初宦官外交活动的实态及其特性
중국사연구 |
77 |
2012 |
동양사
明代 學校敎育의 普及과 政治․社會的 機能 -明初 洪武․永樂期를 中心으로-
明代學校敎育的普及和其政治․社會的功能 -以明初洪武、永樂期爲中心-
중국사연구 |
69 |
2010 |
동양사
明代 學校敎育의 普及과 政治․社會的 機能 -明初 洪武․永樂期를 中心으로-
明代學校敎育的普及和其政治․社會的功能 -以明初洪武、永樂期爲中心-
중국사연구 |
|
69 |
2010 |
동양사
明末 山東礦稅太監 陳增의 鑛稅 활동과 그 餘震
Eunuch Jin Jung’s activities and his influences as tax commissioner in Shan-tung province during the late Ming dynasty period
동국사학 |
52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