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혁주

연구분야 :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211

STNet ID : 1003062

한자 : 張爀宙
일본어 : 野口稔

y01-01 실존인물

출생지

대구광역시 (大邱廣域市)

직업

소설가 (小說家)

생몰년_t

1905.10.13 - 1998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노구치 [ 野口稔 ]

UF (비우선어)

본명

 

은중 [ 恩重 ]

UF (비우선어)

필명

 

노구치 카쿠츄우 [ 野口赫宙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친일파 [ 親日派 ]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말기의 작가의식과 ‘나’의 형상화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Construction of “I” in the Late Colonial Period: Revaluation of the Cultural Politics of Writing in Japanese.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한국전쟁’ 혹은 ‘분열/분단’ ― 기억의 승인을 둘러싸고

'Chosun War/Korean War' or 'Split/Partition' ― in regard to approval of memory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장소로서의 동경(東京) - 1930년대 식민지 조선작가의 동경표상

Tokyo as Place - Tokyo representation of the colonial korean writers in 1930's

한국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장소로서의 동경(東京) - 1930년대 식민지 조선작가의 동경표상

Tokyo as Place - Tokyo representation of the colonial korean writers in 1930's

한국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귀화의 에스닉 정치와 알리바이로서의 미국 -‘해방’ 이후 장혁주의 선택과 「아, 조선(嗚呼朝鮮)」(1952)-

The Ethnic Politics of Naturalization and America as an Alibi -The Choice of Chang Hyuk-ju after the ‘libertation’ and his novel Alas! Chosun (1952)-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대만문학 맥락 속의 장혁주

Hyuk-Ju Chang in the Context of Taiwanese Literature of the 1930s

사이間SAI | 11 | 2011 | 기타국문학

일제 말기 극단 신협(新協)의 <춘향전> 공연양상과 문화횡단의 정치성 연구

日帝末期劇団新協の<春香伝>公演様相と文化横断の政治性研究

한국연극학 | 40 | 2010 | 연극

일제 말기 극단 신협(新協)의 <춘향전> 공연양상과 문화횡단의 정치성 연구

日帝末期劇団新協の<春香伝>公演様相と文化横断の政治性研究

한국연극학 | | 40 | 2010 | 연극

野口赫宙(張赫宙)의 새로운 작가적 모색으로서의 추리소설에 대한 고찰

Noguchi Gakuchu’s (Jang Hyeokju) new unfulfilled objectives in his detective stories

人文科學硏究 | 28 | 2010 | 기타인문학

野口赫宙(張赫宙)의 새로운 작가적 모색으로서의 추리소설에 대한 고찰

Noguchi Gakuchu’s (Jang Hyeokju) new unfulfilled objectives in his detective stories

人文科學硏究 | 28 | | 2010 | 기타인문학

張赫宙(野口赫宙)의 『망향의 살인(望郷の殺人)』론 ―재일동포사회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친일의 합리화

張赫宙(野口赫宙)の 『望郷の殺人』論 ―在日朝鮮人社会に対する作家の認識と親日の合理化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순문학(純文學)에 대한 張赫宙의 염원 ―일제의 패전 이후의 순문학적 단편을 중심으로

純文学に対する張赫宙の熱意とその作品

인문학연구 | 37 | 1 | 2010 | 기타인문학

순문학(純文學)에 대한 張赫宙의 염원 ―일제의 패전 이후의 순문학적 단편을 중심으로

純文学に対する張赫宙の熱意とその作品

인문학연구 | 37 | 1 | 2010 | 기타인문학

어느 피식민자의 자기성찰 —장혁주(張赫宙)의 『나의 풍토기(わが風土記)』를 중심으로—

An Introspective Writing of the Colonized ― Focused on My Topological Record(『わが風土記』), written by Jang Hyeok-ju(張赫宙)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어느 피식민자의 자기성찰 —장혁주(張赫宙)의 『나의 풍토기(わが風土記)』를 중심으로—

An Introspective Writing of the Colonized ― Focused on My Topological Record(『わが風土記』), written by Jang Hyeok-ju(張赫宙)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하나의 해방, 두 개의 시선

One Liberation and Two Points of View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하나의 해방, 두 개의 시선

One Liberation and Two Points of View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