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연구분야 :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723

STNet ID : 1003110

한자 : 朴婉緖
기타 : Park Wanseo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Work (창작물)

 

 

저문 날의 삽화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소설가 [ 小說家 ]

R1:개념적

RT (관련어)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여성 정체성 () [ 女性正體性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노년 소설 () [ 老年小說 ]

RT_Y (◄관련어)

수상자

 

한국문학작가상

박완서 노년소설의 시학과 문학적 함의(II)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완서 노년소설의 시학과 문학적 함의(II)

국어문학 | 49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노년 담론의 소설적 형상화-박완서의 「마른 꽃」을 중심으로

The Fictional Figuration of Discourse on Old Age -Focused on Park Wan-seo's 「Ma-reun Kkot」

인문사회과학연구 | 13 | 1 | 2012 | 기타인문학

비밀과 거짓말, 폭로와 발설의 쾌락 -국가 근대화기 여성대중소설의 선정성 기획을 중심으로-

Secrets and lies, the pleasure of exposure and revealing -Based on the obscenity on the national modernized women’s popular novels-

여성문학연구 | 26 | 2011 | 한국어와문학

1960~70년대 한국의 대중사회화와 대중문화의 정치적 의미

The Process of Becoming Mass Society and the Political Meaning of Popular Culture in 1960s~1970s' Korea

상허학보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낙태 담론과 페미니즘 욕망의 문학적 형상화 - 아이힝어의 『거울이야기』와 박완서의 『그 가을의 사흘동안』을 중심으로

Ein Diskurs über die Abtreibung und deren literarische Darstellungweise - Ilse Aichingers Spiegelgeschichte und Park Wan Seos Der Herbst Drei Tage lang

헤세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낙태 담론과 페미니즘 욕망의 문학적 형상화 - 아이힝어의 『거울이야기』와 박완서의 『그 가을의 사흘동안』을 중심으로

Ein Diskurs über die Abtreibung und deren literarische Darstellungweise - Ilse Aichingers Spiegelgeschichte und Park Wan Seos Der Herbst Drei Tage lang

헤세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마르그리트 뒤라스와 박완서 작품 속에 나타난 유년의 정체성과 장소

Identité de l'enfance et Lieux dans les oeuvres de Marguerite Duras et de Pak Wanso

비교문학 | 53 | 2011 | 인문학

La relation mère-fille dans les écrits autobiographiques de Gabrielle Roy et Pak Wanso

가브리엘 루아와 박완서의 자전적 작품에 나타난 모녀관계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2010 | 프랑스문화학

La relation mère-fille dans les écrits autobiographiques de Gabrielle Roy et Pak Wanso

가브리엘 루아와 박완서의 자전적 작품에 나타난 모녀관계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 2010 | 프랑스문화학

한영문학 번역에서 문체의 반영 -박완서의 「그 살벌했던 날의 할미꽃」의 분석에 근거해서-

Reflecting the Style in Korean-English Literary Translation -Focusing on "Pasqueflowers in those Heartless Days" written by Park Wanso-

겨레어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가족과 여성성, 그리고 모성: 박완서의 『나목』과 에이미 탠의『조이럭클럽』비교 연구

Family,  Feminity  and Motherhood: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ked  Tree  by  Park, Wan  Seo  and     The  Joy  Luck  Club  by  Amy  Tan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가족과 여성성, 그리고 모성: 박완서의 『나목』과 에이미 탠의『조이럭클럽』비교 연구

Family,  Feminity  and Motherhood: A Comparative  Study  on  The  Naked  Tree  by  Park, Wan  Seo  and     The  Joy  Luck  Club  by  Amy  Tan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에 나타난 ‘존재론적 모험’의 양상

Aspects of ‘Ontological Adventure’ in Park, Wan-seo

우리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완서의 자전적 소설에 나타난 ‘존재론적 모험’의 양상

Aspects of ‘Ontological Adventure’ in Park, Wan-seo

우리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완서 노년소설의 젠더시학

Gender Poetics found in Park Wan Seo's Old age novel - Focusing on a collection of her short stories -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완서 노년소설의 젠더시학

Gender Poetics found in Park Wan Seo's Old age novel - Focusing on a collection of her short stories -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밖의식’으로 바라본 도시화 -박완서 문학과 서울-

The Urbanization seen from a Suburbanite Consciousness -Seoul and the Park Wanseo's Literary Representation-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완서 문학의 여성성 -‘집’과 ‘밥’의 기억을 통한 여성들 간의 소통-

Politics of 'Jib' and 'Bab'- Park Wan-Seo's novel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완서와 근대문학사 -서사의 힘으로 1990년대에 맞선 작가-

Park Wan-suh and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ture -Challenging the 1990s' Post-Modernism with the Power of Narrative-

여성문학연구 | 25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완서의 장편소설과 비평 이데올로기 - <도시의 흉년>과 <살아있는 날의 시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spects of the acceptance of critical ideology of 1970's in the novel of Park Wan-seo.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완서의 『한 말씀만 하소서』에 나타난 ‘신의 흔적’

Trace of God Found in Novelist Park Wan-seo's Writing

문학과 종교 | 16 | 3 | 2011 | 기타인문학

박완서 소설의 오빠 표상 연구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brother in Park Wan Seo's novels

우리문학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