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864

한자 : 蔚山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울산광역시 [ 蔚山廣域市 ]

18세기후반~20세기전반 기장지역의 시장권

Market Network of Kijang Area in the Late 18th-Early 20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18세기후반~20세기전반 기장지역의 시장권

Market Network of Kijang Area in the Late 18th-Early 20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1 | 2010 | 역사학

산업 대도시에서의 근린 공동체 관계와 재생의 방향 - 인천, 울산의 주민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Neighborhood Community Relations and the Direction of Regeneration in Industrial Metropolises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the Residents’ Consciousness in Incheon and Ulsan

지역사회학(Korean Regional Sociology) | 13 | 1 | 2011 | 사회학

于尸山國의 형성과 변천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of Usisanguk

신라사학보 | 23 | 2011 | 역사학

울산광역시 CPTED 도입 논의

Arguments for Applying CPTED to Ulsan Metropolitan City

한국범죄심리연구 | 7 | 2 | 2011 | 경찰행정

울산광역시의 SWOT이슈분석과 SWOT전략모델

Exploring the SWOT Strategy of the Ulsan Metropolitan Government with SWOT Analysis

지방정부연구 | 15 | 1 | 2011 | 행정학

울릉도·독도 어로활동에 있어서 울산의 역할과 박어둔 - 조선 숙종조 안용복·박어둔 납치사건의 재조명 -

The Role of Ulsan Area and Park Eo-dun in the Fishery Activity around Ulleungdo․Dokdo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울릉도·독도 어로활동에 있어서 울산의 역할과 박어둔 - 조선 숙종조 안용복·박어둔 납치사건의 재조명 -

The Role of Ulsan Area and Park Eo-dun in the Fishery Activity around Ulleungdo․Dokdo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전략적 사회 공헌: 故정주영회장과 울산지역의 사례

Chung Ju-Yung and the City of Ulsan: A Case of Strategic Philanthropy in Korea

전문경영인연구 | 14 | 2 | 2011 | 경영교육

한국 노동자의 계급의식 결정요인

경제와 사회 | 87 | 2010 | 사회학

한국 노동자의 계급의식 결정요인

경제와 사회 | | 87 | 2010 | 사회학

광역시 도서관의 계획 방향에 관한 연구- 울산광역시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 of Library focused on Ulsan-shi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3 | 2012 | 디자인

근현대 울산지역 장시 변동과 지역질서의 재편

A Study on Changes to Jang-Si system and Reorganization of Local Order in the Ulsan Area in the Modern Era

역사와경계 | 81 | 2011 | 역사학

20세기 울산의 형성과 역사적 변천 — 공업도시, 기업도시, 노동자도시 —

The Formation and Historical Changes of Ulsan in the Twentieth Century ― Industrial City, Company Town, and Workers’ City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5 | 2012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