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화사족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3965

STNet ID : 1003139

한자 : 京華士族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a01-04-04 인간(사회계층) 인간(사회계층)
a01-04-04 인간(사회계층) /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경화세족 [ 京華世族 ]

시조에 나타난 조선후기 風俗圖 - 李鼎輔 시조를 중심으로-

A Cultural landscape(風俗圖) of the Latter Joseon-Dynasty appears in Sijo - Focusing on the Lee, Jeong-bo's Sijo-

온지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赴燕日記』에 나타난 19세기초 中人 醫官의 淸 文物 認識

Perception on the Qing Civilization by the Middle Caste (Jungin) Doctor in the Early 19th Century Described in Buyeon Ilgi

역사교육논집 | 45 | 2010 | 역사학

『赴燕日記』에 나타난 19세기초 中人 醫官의 淸 文物 認識

Perception on the Qing Civilization by the Middle Caste (Jungin) Doctor in the Early 19th Century Described in Buyeon Ilgi

역사교육논집 | | 45 | 2010 | 역사학

유만주의 일상과 玩月

A Study on Yu Man-Ju’s Daily Life and Moon Watching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

유만주의 일상과 玩月

A Study on Yu Man-Ju’s Daily Life and Moon Watching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5 | 2012 | 한문비평

옥국재 『영미편(尾編)』의 자료적 특징과 가치

The value of OkGukJae's YoungMiPyen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옥국재 『영미편(尾編)』의 자료적 특징과 가치

The value of OkGukJae's YoungMiPyen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초의선사의 차문화 중흥의 의미와 그 영향

The meaning and influence of Master Cho-ui's tea culture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6 | 2011 | 정토학

玉所 權燮의 紀行詩文 연구

The Study on the Kwon Seop's Travel Notes and Poetry

한국한시연구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玉所 權燮의 紀行詩文 연구

The Study on the Kwon Seop's Travel Notes and Poetry

한국한시연구 | | 18 | 2010 | 한국어와문학

『치원소고』를 통해 본 황상의 차 생활과 19세기 차 문화

The study on whang-Sang’s tea life and 19's century's tea culture from view of 『Chi-won-so-go』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

정조의 문체반정과 京華文化

Munchebanjeong of King Jeongjo and the culture of the nobilities who lived in Hanyang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남아가>에 투영된 이상적 삶과 그것의 문화사적 의미

Ideal Life Projected in Namaga(남아가) and Its Meanings in Cultural History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남아가>에 투영된 이상적 삶과 그것의 문화사적 의미

Ideal Life Projected in Namaga(남아가) and Its Meanings in Cultural History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전반 京華士族의 人的關係網 -《 世舊錄》의 분석을 중심으로 -

Human network of Kyunghwasajok(京華士族) in the early 17th century of Chosun dynasty - Laying stress on analysis of《Segurok(世舊錄)》-

서울학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전반 京華士族의 人的關係網 -《 世舊錄》의 분석을 중심으로 -

Human network of Kyunghwasajok(京華士族) in the early 17th century of Chosun dynasty - Laying stress on analysis of《Segurok(世舊錄)》-

서울학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18세기 京·郊 지역 시조 향유의 일단과 京華士族

An Aspect of the Enjoyment of Sijo at the Gyeong-Gyo Area in the 18th Century and Gyeonghwasajok(京華士族)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17세기 전반 京華士族의 人的關係網 -《 世舊錄》의 분석을 중심으로 -

Human network of Kyunghwasajok(京華士族) in the early 17th century of Chosun dynasty - Laying stress on analysis of《Segurok(世舊錄)》-

서울학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17세기 전반 京華士族의 人的關係網 -《 世舊錄》의 분석을 중심으로 -

Human network of Kyunghwasajok(京華士族) in the early 17th century of Chosun dynasty - Laying stress on analysis of《Segurok(世舊錄)》-

서울학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18세기 경화사족의 소설 향유

Noble of Seoul in 18th century and Reading novel.

국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경화사족의 소설 향유

Noble of Seoul in 18th century and Reading novel.

국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