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추鄒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401

한자 : 鄒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고골의 『아라베스크(Арабески)』와 자볼로츠키의『컬럼(Столбцы)』 비교 : 그로테스크 기법에 나타난 ‘미’의 개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Gogol's and Zabolotsky's : on the Basis of 'Grotesque' in Their Esthetics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고골의 『아라베스크(Арабески)』와 자볼로츠키의『컬럼(Столбцы)』 비교 : 그로테스크 기법에 나타난 ‘미’의 개념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between Gogol's and Zabolotsky's : on the Basis of 'Grotesque' in Their Esthetics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아도르노의 고통의 미학에서 바라본 현대예술에서의 ‘폭력의 이미지’

'Image of violence' in modern art from the perspective of Adorno's aesthetics of pain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빅토르 위고 연극과 그로테스크 미학 - 『크롬웰Cromwell』 서문과 『뤼 블라스Ruy Blas』를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 69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빅토르 위고 연극과 그로테스크 미학 - 『크롬웰Cromwell』 서문과 『뤼 블라스Ruy Blas』를 중심으로

한국프랑스학논집 | 69 |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아도르노의 미학에서 추의 변증법 : 『미학 이론』의 한 해석

Die Dialektik des Häßlichen in der Ästhetik Adornos : Eine Analyse von Ästhetische Theorie

미학예술학연구 | 35 | 2012 | 기타예술체육

미와 추의 변증법 - 숭고와 코믹

Dialektik vom Schönen und Hässlichen: das Komische und das Erhabene

헤세연구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미와 추의 변증법 - 숭고와 코믹

Dialektik vom Schönen und Hässlichen: das Komische und das Erhabene

헤세연구 | | 23 | 2010 | 독일어와문학

꼭두각시놀음의 ‘추’(醜) 연구

A Study on ‘Ugliness(醜)’ of Puppet Show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발저의 라디오 방송극과 ‘추(醜)’

Das Hässliche im Hörspiel von Martin Walser

독일어문학 | 18 | 1 | 2010 | 독일어와문학

발저의 라디오 방송극과 ‘추(醜)’

Das Hässliche im Hörspiel von Martin Walser

독일어문학 | 18 | 1 | 2010 | 독일어와문학

‘추’의 가치전도와 ‘추한’ 예술

Die Umwertung des Häßlichen und die häßliche Kunst

뷔히너와 현대문학 | 36 | 2011 | 독일어와문학

‘추한 현실’의 대두와 추의 심미적 범주화

Auftritt der ‘hässlichen Wirklichkeit’ und die ästhetische Kategorisierung des Hässlichen

독일언어문학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

‘추한 현실’의 대두와 추의 심미적 범주화

Auftritt der ‘hässlichen Wirklichkeit’ und die ästhetische Kategorisierung des Hässlichen

독일언어문학 |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