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 미술

연구분야 : G030105 예술체육 > 미술 > 미술일반 > 미술사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45

STNet ID : 9003313

한자 : 傳統美術
영어 : traditional art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전통미 [ 傳統美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미술 () [ 美術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전통 종교 미술 [ 傳統宗敎美術 ]

R1:개념적

hasPhenomenon (현상)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전통 () [ 傳統 ]

한국메세나협의회의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례 -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을 위한 미술교육 -

A Study on the Cases of Supporting Cultural Arts Education by KBCA

미술교육연구논총 | 30 | 0 | 2011 | 예술교육학

미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 연구신장 연구

Improving Creativity through Art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a Culturally Isolated Region

미술교육연구논총 | 27 | 0 | 2010 | 예술교육학

미술교육을 통한 문화예술 소외지역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 연구신장 연구

Improving Creativity through Art Education for the Students in a Culturally Isolated Region

미술교육연구논총 | 27 | 0 | 2010 | 예술교육학

초등미술교육에서 동양신화의 교육적 의미와 가능성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for the Orient Myth's Educational Meaning and Possibility in Elementary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초등미술교육에서 동양신화의 교육적 의미와 가능성에 관한 고찰

Consideration for the Orient Myth's Educational Meaning and Possibility in Elementary Art Education

미술교육논총 | 24 | 3 | 2010 | 미술

문제중심학습(PBL)을 기반으로 한 미술과와 타 교과의 통합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Plans for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Art and Other Subjects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PBL)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문제중심학습(PBL)을 기반으로 한 미술과와 타 교과의 통합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Plans for Integrated Education between Art and Other Subjects based on Problem Based Learning(PBL)

미술교육논총 | 24 | 1 | 2010 | 미술

2007 개정 초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전통문화에 관한 내용 분석 연구

Analysis of Contents Regarding Traditional Korea Culture in the Elementary School Art Textbooks based on the National Art Curriculum, Revised in 2007

미술교육논총 | 26 | 2 | 2012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