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

연구분야 : A100800 인문학 > 문학 > 운문
A110207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시(국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462

STNet ID : 1003171

한자 : 金春洙
음차어 : Kim Chun-Su
음차어 : Kim Chun-soo
음차어 : Kim Choon-soo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대여 [ 大餘 ]

R1:개념적

RT (관련어)

관련 인물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서술적 이미지 () [ 敍述的-- ]

R2:기능적

advocates (주창 대상)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무의미시 () [ 無意味時 ]

처용 변용을 통해 본 시인의 세계인식 태도

An Attitude of the Poet's World View Shown by Changes of Chuyong

열상고전연구 | 31 | 2010 | 기타국문학

처용 변용을 통해 본 시인의 세계인식 태도

An Attitude of the Poet's World View Shown by Changes of Chuyong

열상고전연구 | | 31 | 2010 | 기타국문학

처용 변용을 통해 본 시인의 세계인식 태도

An Attitude of the Poet's World View Shown by Changes of Chuyong

열상고전연구 | 31 | 2010 | 기타국문학

처용 변용을 통해 본 시인의 세계인식 태도

An Attitude of the Poet's World View Shown by Changes of Chuyong

열상고전연구 | | 31 | 2010 | 기타국문학

자유시의 리듬에 관한 시론(試論) ―김춘수의 시를 예로

An Essay on the Rhythm of Free Verse ―Centered on Kim Chun-soo's Poetry

현대문학이론연구 | 40 | 2010 | 문학이론

자유시의 리듬에 관한 시론(試論) ―김춘수의 시를 예로

An Essay on the Rhythm of Free Verse ―Centered on Kim Chun-soo's Poetry

현대문학이론연구 | | 40 | 2010 | 문학이론

‘전통’ 개념어의 기원과 전통 인식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Tradi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전통’ 개념어의 기원과 전통 인식

The Origin of the concept of ‘Tradi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radition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초기 詩에 내재된 ‘실존주의’에 관한 연구 ― M. 하이데거와 R. M. 릴케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f Existentialism in Kim Chun-soo's Early Poem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of M. Heidegger and R. M. Rilk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김춘수의 초기 詩에 내재된 ‘실존주의’에 관한 연구 ― M. 하이데거와 R. M. 릴케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f Existentialism in Kim Chun-soo's Early Poem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of M. Heidegger and R. M. Rilk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현상학적 몸: 김춘수의 「꽃」과 이청준의 귀향

Body in Phenomenology : Chunsoo Kim's "Flower" and Chungjoon Lee's Home-Com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상학적 몸: 김춘수의 「꽃」과 이청준의 귀향

Body in Phenomenology : Chunsoo Kim's "Flower" and Chungjoon Lee's Home-Comi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재인식

Re-Cognition about Nonsense-Poem Theory of Kim Choon-Soo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함축된 진의 연구

A Study on Real Meaning implied in Kim Choon-Soo’s Nonsense Poem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The Poetics of Gender in W. B. Yeats and Kim Chunsoo

영미어문학 | 97 | 2010 | 영어와문학

The Poetics of Gender in W. B. Yeats and Kim Chunsoo

영미어문학 | | 97 | 2010 | 영어와문학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재인식

Re-Cognition about Nonsense-Poem Theory of Kim Choon-Soo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함축된 진의 연구

A Study on Real Meaning implied in Kim Choon-Soo’s Nonsense Poem

비평문학 | 42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처용단장」에 나타난 시간의식

A Time-Consciousness in Kim Choon-Soo's 「Cheoyongdanjang」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 초기 시의 역사 인식 문제

Kim Chun-Soo’s Early Poems and Their Historical Awareness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치유시학적 연구 - 김춘수·김수영·천상병의 시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Poetic Healing-care of the modern poems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시와 타자의 문제

Others in Kim, Chun-Soo's Poems

국어교육연구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시와 타자의 문제

Others in Kim, Chun-Soo's Poems

국어교육연구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How to read Kim Chun-Su's poetry?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How to read Kim Chun-Su's poetry?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 초기시론의 원리 연구 -‘진보와 회귀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A Study of Principle in Kim Chun-Soo' Early-Poetics -Laying Stress on 'Dialectic of Progress and Revolution'-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 초기시론의 원리 연구 -‘진보와 회귀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A Study of Principle in Kim Chun-Soo' Early-Poetics -Laying Stress on 'Dialectic of Progress and Revolution'-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The Study of Kim-Choon soo′s Poems and Outlook on the world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시와 세계관

The Study of Kim-Choon soo′s Poems and Outlook on the world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처용’이라는 화두와 ‘벽사(辟邪)’의 언어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새로운 해독-

‘Che-yong’, As A Topic And The Language of ‘Exorcism’ -A New Interpretation on Insignificant Poetics of Kim Choonsoo-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처용’이라는 화두와 ‘벽사(辟邪)’의 언어 -김춘수의 무의미시론에 대한 새로운 해독-

‘Che-yong’, As A Topic And The Language of ‘Exorcism’ -A New Interpretation on Insignificant Poetics of Kim Choonsoo-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 시의 근원적 시간의식과 전통의 창조적 변용

Consciousness of Fundamental Time and Creative Transformation of Tradition in Kim Chun-su's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 | 2012 | 현대시(국문학)

김춘수의 실존과 양심

The existence and the conscience in Kim Chun Su's literary works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 초기시론의 원리 연구 -‘진보와 회귀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A Study of Principle in Kim Chun-Soo' Early-Poetics -Laying Stress on 'Dialectic of Progress and Revolution'-

어문학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 초기시론의 원리 연구 -‘진보와 회귀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A Study of Principle in Kim Chun-Soo' Early-Poetics -Laying Stress on 'Dialectic of Progress and Revolution'-

어문학 | | 109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 초기 시의 역사 인식 문제

Kim Chun-Soo’s Early Poems and Their Historical Awareness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현대시의 치유시학적 연구 - 김춘수·김수영·천상병의 시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Poetic Healing-care of the modern poems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천사’의 시선을 통해 본 김춘수의 시세계

Reading Kim Chun-su's Poetic World with the Eyes of 'Angel'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김춘수의 「처용단장」에 나타난 시간의식

A Time-Consciousness in Kim Choon-Soo's 「Cheoyongdanjang」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의미’

The Meaning of Kim Chun Soo's Nonsense Poetly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의미’

The Meaning of Kim Chun Soo's Nonsense Poetly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천사’의 시선을 통해 본 김춘수의 시세계

Reading Kim Chun-su's Poetic World with the Eyes of 'Angel'

인문학연구 | 44 | 2012 | 기타인문학

김춘수 시의 근원적 시간의식과 전통의 창조적 변용

Consciousness of Fundamental Time and Creative Transformation of Tradition in Kim Chun-su's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 | 2012 | 현대시(국문학)

김춘수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How to read Kim Chun-Su's poetry?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 문학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How to read Kim Chun-Su's poetry?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초기 詩에 내재된 ‘실존주의’에 관한 연구 ― M. 하이데거와 R. M. 릴케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f Existentialism in Kim Chun-soo's Early Poem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of M. Heidegger and R. M. Rilk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김춘수의 초기 詩에 내재된 ‘실존주의’에 관한 연구 ― M. 하이데거와 R. M. 릴케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f Existentialism in Kim Chun-soo's Early Poem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Relationship of M. Heidegger and R. M. Rilk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의미’

The Meaning of Kim Chun Soo's Nonsense Poetly

인문학연구 | 17 | 2010 | 기타인문학

김춘수의 무의미시에 나타나는 ‘의미’

The Meaning of Kim Chun Soo's Nonsense Poetly

인문학연구 | | 17 | 2010 | 기타인문학

김춘수의 시와 타자의 문제

Others in Kim, Chun-Soo's Poems

국어교육연구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춘수의 시와 타자의 문제

Others in Kim, Chun-Soo's Poems

국어교육연구 | | 47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