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정

연구분야 : A020304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근세사(명청)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484

STNet ID : 1003178

한자 : 王世貞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원미

UF (비우선어)

 

엄주산인

UF (비우선어)

 

봉주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후칠자 [ 後七子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고문사파 [ 古文辭派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가정칠재자 [ 嘉靖七才子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의고주의 [ 擬古主義 ]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공안파 [ 公安派 ]

南公轍 文學의 淵源에 대하여-그 家學的 성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Nam Gongcheol's Literature-Mainly on his family tradition-

고전문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南公轍 文學의 淵源에 대하여-그 家學的 성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Background of Nam Gongcheol's Literature-Mainly on his family tradition-

고전문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宣祖 연간 文風의 변화와 壽序

Change of the writing style within the Seonjo(宣祖) period and Su-Seo(壽序: an celebratory writings for longevity)

동방한문학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문인에 대한 농암 김창협의 비평론 특징 연구 ― 한유ㆍ구양수ㆍ증공ㆍ왕세정ㆍ전겸익을 중심으로 ―

중국인문과학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중국문인에 대한 농암 김창협의 비평론 특징 연구 ― 한유ㆍ구양수ㆍ증공ㆍ왕세정ㆍ전겸익을 중심으로 ―

중국인문과학 | | 46 | 2010 | 중국어와문학

宣祖 연간 文風의 변화와 壽序

Change of the writing style within the Seonjo(宣祖) period and Su-Seo(壽序: an celebratory writings for longevity)

동방한문학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rose of Shin Hum and Lee Jung-g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rose of Shin Hum and Lee Jung-g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rose of Shin Hum and Lee Jung-g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신흠의 ‘視古修辭’와 이정구의 ‘隨意抒寫’에 관하여

A Study on the Prose of Shin Hum and Lee Jung-gu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申欽의 散文과 前後七子

Shin Hum’s Prose and reactionary authors in the Ming Dynasty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申欽의 散文과 前後七子

Shin Hum’s Prose and reactionary authors in the Ming Dynasty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申欽의 散文과 前後七子

Shin Hum’s Prose and reactionary authors in the Ming Dynasty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申欽의 散文과 前後七子

Shin Hum’s Prose and reactionary authors in the Ming Dynasty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茅坤과 王世貞의 교유와 그 공통적 지향점-申最의 『皇明二大家文抄』를 통해 본 茅坤과 王世貞-

Friendship between Mao Kun and Wang Shi Zhen and their common literary direc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茅坤과 王世貞의 교유와 그 공통적 지향점-申最의 『皇明二大家文抄』를 통해 본 茅坤과 王世貞-

Friendship between Mao Kun and Wang Shi Zhen and their common literary direc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茅坤과 王世貞의 교유와 그 공통적 지향점-申最의 『皇明二大家文抄』를 통해 본 茅坤과 王世貞-

Friendship between Mao Kun and Wang Shi Zhen and their common literary direc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2010 | 한문비평

茅坤과 王世貞의 교유와 그 공통적 지향점-申最의 『皇明二大家文抄』를 통해 본 茅坤과 王世貞-

Friendship between Mao Kun and Wang Shi Zhen and their common literary direction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1 | | 2010 | 한문비평

王世貞을 바라보는 두 大家의 시각 -金昌協과 錢謙益의 王世貞 이해-

The viewpoint of two masters who understand Wang Shizhen

고전문학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王世貞 散文의 진면목 - 商販 碑誌文을 중심으로

The truth of Wang Shi Zhen's prose through analyzing Kim, Chang-hyup's remark

한국한문학연구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金昌協의 비판을 통해 본 王世貞 散文의 진면목 - 商販 碑誌文을 중심으로

The truth of Wang Shi Zhen's prose through analyzing Kim, Chang-hyup's remark

한국한문학연구 |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