틈의 구조로 본 전통연희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Structure of ‘Teum(Gap)’
미학예술학연구 |
31 |
2010 |
기타예술체육
틈의 구조로 본 전통연희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through the Structure of ‘Teum(Gap)’
미학예술학연구 |
31 |
|
2010 |
기타예술체육
감로탱에 묘사된 전통연희와 유랑예인집단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Nomadic Entertaining Troupes Depicted in “Nectar of Immortality”
공연문화연구 |
1 |
20 |
2010 |
기타예술일반
감로탱에 묘사된 전통연희와 유랑예인집단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Nomadic Entertaining Troupes Depicted in “Nectar of Immortality”
공연문화연구 |
1 |
20 |
2010 |
기타예술일반
전통 연희의 공연 미학 탐색
Performance-Aesthetics Survey of Traditional Dramatic Entertainments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허규 연출 ‘완판 창극’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anpan Changgeuk’ Written by Heogyu
공연문화연구 |
1 |
20 |
2010 |
기타예술일반
허규 연출 ‘완판 창극’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Wanpan Changgeuk’ Written by Heogyu
공연문화연구 |
1 |
20 |
2010 |
기타예술일반
전통연희의 무대적 수용에 관한 연구 -봉산탈춤에서 창작탈춤으로
A Study of the Stage Adaptation of Traditional Performance; from Bong San Tal Chum to Contemporary Creative Mask Danced Theater.
민족미학 |
10 |
2 |
2011 |
미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