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제

연구분야 : B121211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윤리교육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483

한자 : 節制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섭식 절제 [ 攝食節制 ]

아시아의 근대화와 불교사회주의의 등장 - 붓다다사의 불교사회주의를 중심으로-

Modernization of Asia and the Appearance of Buddhist Socialism - Focus on Buddhadasa's Dhammic Socialism -

禪學(선학) | 25 | 2010 | 응용불교학

아시아의 근대화와 불교사회주의의 등장 - 붓다다사의 불교사회주의를 중심으로-

Modernization of Asia and the Appearance of Buddhist Socialism - Focus on Buddhadasa's Dhammic Socialism -

禪學(선학) | | 25 | 2010 | 응용불교학

독일 생태 시인과 박영근 생태시 비교

The comparison of ecological poems between German ecological poets and Park Youngkeun

한민족문화연구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독일 생태 시인과 박영근 생태시 비교

The comparison of ecological poems between German ecological poets and Park Youngkeun

한민족문화연구 | | 35 | 2010 | 한국어와문학

‘箴’장르의 效用性 연구

A Study on Efficiency of Jam(箴) Genre

동양문화연구 | 11 | 2012 | 기타인문학

이라크 전쟁의 레오 스트라우스 책임론에 대한 정치철학적 비판

A Political Philosophy-based Critique of Leo Strauss’s Responsibility for the Iraq War

국제.지역연구 | 21 | 1 | 2012 | 정치외교학

김종삼 시의 형식과 음악적 공간 연구

A Study on the Form and Musical Space of Kim Jong-sam's poems

어문론총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종삼 시의 형식과 음악적 공간 연구

A Study on the Form and Musical Space of Kim Jong-sam's poems

어문론총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박노갑의 「歡」과 우메자키 하루오의 「櫻島」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 of Remembering ‘the War’ in Korean and Japanese Novels just after the Pacific War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태평양전쟁직후 한일(韓日) 소설에서 ‘전쟁’을 기억하는 방식 비교 연구 - 박노갑의 「歡」과 우메자키 하루오의 「櫻島」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Way of Remembering ‘the War’ in Korean and Japanese Novels just after the Pacific War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플라톤의 『법률』에 나타난 절제와 시민교육

Temperance and Civil Education on Plato's Nomoi

교육철학연구 | 33 | 3 | 2011 | 교육학

태권도 정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aekwondo Spirit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20 | 1 | 2012 | 체육

What do you know when you know yourself? – Knowing oneself in Plato’s Charmides 165a7 ff.

플라톤 『카르미데스』편에서의 ‘자기를 앎’ - 당신이 자기자신을 알 때 당신은 무엇을 아는가?

서양고전학연구 | 40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What do you know when you know yourself? – Knowing oneself in Plato’s Charmides 165a7 ff.

플라톤 『카르미데스』편에서의 ‘자기를 앎’ - 당신이 자기자신을 알 때 당신은 무엇을 아는가?

서양고전학연구 | | 40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