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산별곡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262

STNet ID : 1003244

한자 : 靑山別曲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악장가사 () [ 樂章歌詞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시용향악보 () [ 時用鄕樂譜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남여상열지사 [ 男女相悅之詞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서경별곡 [ 西京別曲 ]

<黃鷄詞>의 연원

The Origin of Hwanggyesa(黃鷄詞)

국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黃鷄詞>의 연원

The Origin of Hwanggyesa(黃鷄詞)

국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산별곡(靑山別曲)> 8연의 의미 재론

Reargument of the meanings of the eighth line in

민족문화논총 | 45 | 2010 | 기타인문학

<청산별곡(靑山別曲)> 8연의 의미 재론

Reargument of the meanings of the eighth line in

민족문화논총 | | 45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Classic poems, inside Joseon Writings&Language textbooks distributed to High Schools for Korean-Chinese living in China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Classic poems, inside Joseon Writings&Language textbooks distributed to High Schools for Korean-Chinese living in China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Classic poems, inside Joseon Writings&Language textbooks distributed to High Schools for Korean-Chinese living in China

새국어교육 | 84 | 2010 | 국어교육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 <청산별곡>을 중심으로

Classic poems, inside Joseon Writings&Language textbooks distributed to High Schools for Korean-Chinese living in China

새국어교육 | | 84 | 2010 | 국어교육

고려 청산별곡(靑山別曲)의 현대적 습용(襲用)

Heredity of Chungsanpyulgok(靑山別曲) of Koryo Music

단군학연구 | 26 | 26 | 2012 | 기타역사학

<靑山別曲>의 語釋에 대한 再考

Translating :A Reconsideration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

<靑山別曲>의 語釋에 대한 再考

Translating :A Reconsideration

한국시가연구 | 3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