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윤리법

연구분야 : B130100 사회과학 > 법학 > 법학일반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449

STNet ID : 1003264

한자 : 生命倫理法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생명기본윤리법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인간의 존엄과 가치 () [ 人間--尊嚴--價値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생명 윤리 [ 生命倫理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줄기 세포 연구 [ -- 細胞 硏究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배아 연구 () [ 胚芽硏究 ]

영양유전체학과 맞춤영양의 윤리적ㆍ법적 쟁점과 규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gulatory framework and Ethical and Legal Issues in the Nutrigenomics and Personalized Nutrition

법학논집 | 15 | 1 | 2010 | 기타법학

영양유전체학과 맞춤영양의 윤리적ㆍ법적 쟁점과 규제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gulatory framework and Ethical and Legal Issues in the Nutrigenomics and Personalized Nutrition

법학논집 | 15 | 1 | 2010 | 기타법학

배아연구와 인간의 존엄과 가치 - 헌재 2010.5.27. 선고, 2005헌마346 전원재판부 결정에 대한 검토 -

The Debate on Human Embryo Research and Human Dignity(Human Right to Life) -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on May. 27. 2010, case no. 2005 heonma 346 -

원광법학 | 27 | 1 | 2011 | 기타법학

착상 전 유전자 진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GD method of Embryos

법학논총 | 27 | 2012 | 법해석학

연구윤리위반행위에 대한 법적 규율

Regulation of Research Misconduct in Biomedical Research

법학논총 | 27 | 4 | 2010 | 법학

연구윤리위반행위에 대한 법적 규율

Regulation of Research Misconduct in Biomedical Research

법학논총 | 27 | 4 | 2010 | 법학

배아연구와 형법적 보호법익 - 독일과 한국의 예를 중심으로

Embryonenforschung und strafrechtliche Rechtsgüter - Beispiele von Deutschland und Südkorea

고려법학 | 57 | 2010 | 법학

배아연구와 형법적 보호법익 - 독일과 한국의 예를 중심으로

Embryonenforschung und strafrechtliche Rechtsgüter - Beispiele von Deutschland und Südkorea

고려법학 | | 57 | 2010 | 법학

과학기술 규제 정책의 형성과 변동 과정분석 -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Bioethics Issues and Science & Technology Regulation Policy Formation and Change: The Case of Enactment Process of 'Bioethics & Biosafety Law'

한국정책학회보 | 20 | 1 | 2011 | 정책학

배아연구와 불법행위책임

Human Embryo Research and Tort Liability

의료법학 | 12 | 1 | 2011 | 법학

생명윤리와 생명윤리법- 다원주의 사회에서 학제적 생명윤리학의 학문적 정체성과 미래 -

Bioethics and ‘Bioethics and Law’ - An Academic Identity and Future of Interdisciplinary Bioethics in a Pluralistic Society -

법학논집 | 17 | 1 | 2012 | 기타법학

전부개정된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벌칙규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al Analysis on the Penal Provisions of the Wholly Amended 「Bioethics and Safety Act」

법학연구 | 15 | 1 | 2012 | 법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전부개정안의 내용과 의의:임상연구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posed amendment bill of Bioethics and Safety Law(2010): focusing on the meaning of significant contents related to the clinical research

의료법학 | 12 | 1 | 2011 | 법학

개정생명윤리법에 따른 줄기세포연구의법적 쟁점

Legal issues of stem cell research in revision of Bioethics and Safety Law

법학논집 | 16 | 3 | 2012 | 기타법학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헌법적 문제

Verfassungsrechtliche Probleme im Lebensethikgesetz

헌법학연구 | 16 | 4 | 2010 | 헌법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의 헌법적 문제

Verfassungsrechtliche Probleme im Lebensethikgesetz

헌법학연구 | 16 | 4 | 2010 | 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