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

연구분야 : B121202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과학교육학
B121206 사회과학 > 교육학 > 교과교육학 > 수학교육학

클래스 : 측정/척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635

STNet ID : 1003368

한자 :
영어 : graph

d03-03 측정/척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다이어그램 [diagram]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도해력 [ 圖解力 ]

RT (관련어)

 

 

자료 읽기

R5:물리적

isFormOf (형태/외형의 대상개념)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호흡 표기 [ 呼吸表記 ]

외부로부터의 격발들, 고유한 연구의 지정학에 대하여 ―한국현대문학연구와 이론, 예비적 고찰 혹은 그래프·지도·수형도

Inbursts from the Outside, Geopolitics of the Vernacular Studies ― Korean modern literature studies, graphs, maps and trees on the problematics

상허학보 | 35 | 2012 | 한국어와문학

그래프 활용 초등 과학 탐구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s of Graph -based Elementary Science Inquiry Program

현장과학교육 | 6 | 2 | 2012 | 과학교육학

MIC 교과서를 활용한 줄기와 잎 그래프 지도가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eaching Stem and Leaf Plots using the MIC Textbook on Student Understanding of Stem and Leaf Graphs

교과교육학연구 | 16 | 1 | 2012 | 교과교육학

그래프의 경로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방식과 학생들의 이해 분석

A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Method and Students' Understanding for Graph's Trail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3 | 2 | 2010 | 교육학

그래프의 경로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방식과 학생들의 이해 분석

A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Method and Students' Understanding for Graph's Trail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3 | 2 | 2010 | 교육학

그래프와 부등식 영역의 소집단 그림그리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수학에 대한 흥미변화 및 전략적 사고분석 : Grafeq 활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hanging interests in mathematics and strategic thinking reflected in small group drawing activities using graphs and inequations : With Grafeq software

수학교육 논문집 | 26 | 2 | 2012 | 수학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