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성권

연구분야 : B130310 사회과학 > 법학 > 사법 > 민법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874

STNet ID : 1003539

한자 : 形成權

d02-02 정치/법률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가능권

N1:종류

hasKind (종류)

 

 

재판상 이혼권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채권자 취소권 [ 債權者取消權 ]

hasKind (종류)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선택권 [ 選擇權 ]

hasKind (종류)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백지보충권 [ 白地補充權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x02-02 기간 기간

법정 제척 기간 [ 除斥 期間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소멸시효 [ 消滅時效 ]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취소권 [ 取消權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항변권 [ 抗辯權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청구권 [ 請求權 ]

RT (관련어)

 

c03-01 상태/상황 상태/상황

시효중단 [ 時效中斷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지배권 [ 支配權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개입권 [ 介入權 ]

白地어음에 의한 裁判上 請求와 時效中斷論의 再解釋 (대법원 2010. 5. 20, 2009다48312 전원합의체 판결)

Re-interpretation on the Suspension of Prescription by the Litigation of the Blank Bill -Supreme Court 20 may 2010., 2009Da48312-

상사판례연구 | 25 | 2 | 2012 | 법학

민법상 권리체계의 정립에 관한 고찰

Eine Ueberlegung des KBGB-Rechtssystems durch die subjektiven Rechte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민법상 권리체계의 정립에 관한 고찰

Eine Ueberlegung des KBGB-Rechtssystems durch die subjektiven Rechte

법학논총 | 17 | 3 | 2010 | 비교법학

백지어음청구에 의한 시효중단과 백지보충권 - 대법원 2010.5.20. 선고 2009다48312 전원합의체판결과 관련하여 -

A Suspension of Prescription by Litigation of Blank Draft and Authority to fill up on Incomplete Instrument

법학논총 | 24 | 2010 | 법해석학

백지어음청구에 의한 시효중단과 백지보충권 - 대법원 2010.5.20. 선고 2009다48312 전원합의체판결과 관련하여 -

A Suspension of Prescription by Litigation of Blank Draft and Authority to fill up on Incomplete Instrument

법학논총 | 24 | | 2010 | 법해석학

타인을 위한 손해보험계약상 피보험자의 권리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Versicherung f__ fremde Rechnung und Versicherter

한양법학 | 33 | 2011 | 법해석학

유류분 반환청구권의 법적 성질과 행사기간

Rechtsnatur und Frist zur Geltendmachung des Pflichtteilsanspruchs

외법논집 | 34 | 2 | 2010 | 법학

유류분 반환청구권의 법적 성질과 행사기간

Rechtsnatur und Frist zur Geltendmachung des Pflichtteilsanspruchs

외법논집 | 34 | 2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