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불합치결정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결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5879

STNet ID : 1003543

한자 : 憲法不合致決定

x03-05-02 결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헌법 불합치 [ 憲法不合致 ]

UF (비우선어)

 

 

불합치결정 [ 不合致決定 ]

N1:종류

hasKind (종류)

 

 

단순 헌법불합치결정

hasKind (종류)

 

 

경과규정부 헌법불합치결정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부성주의 [ 父姓主義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법 적용자 [ 法適用者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적용중지 [ 適用中止 ]

RT (관련어)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변형결정 [ 變型決定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개선 입법 의무 [ 改善立法義務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토지 초과 이득세 [ 土地超過利得稅 ]

헌법재판소법 개정방향 - 특별심판절차와 관련하여 -

Aenderungsrichtung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gesetzes - bezueglich besonderer Pruefungsverfahren -

헌법학연구 | 17 | 4 | 2011 | 헌법

헌법재판소의 결정유형 선택기준 - 위헌법률심판의 본안결정을 중심으로

Wahlmaßstab des verfassungsgerichtlichen Entscheidungsausspruchs in der konkreten Normenkontrolle

헌법학연구 | 17 | 1 | 2011 | 헌법

집회의 자유의 제한과 그 한계 : 헌재 2009. 9. 24. 2008헌가25에 대한 평석

A Restriction and Its Limitation in the Freedom of Assembly

공법학연구 | 11 | 4 | 2010 | 법학

집회의 자유의 제한과 그 한계 : 헌재 2009. 9. 24. 2008헌가25에 대한 평석

A Restriction and Its Limitation in the Freedom of Assembly

공법학연구 | 11 | 4 | 2010 | 법학

헌법 제21조 제2항의 ‘집회에 대한 허가 금지’의 의미 - ‘제2차 야간옥외집회금지 결정’에 대한 판례 평석을 겸하여 -

Der Sinn des Verbots des Erlaubnisvorbehalts für Versammlungen in dem Art. 21 Abs. 2 Koreanische Verfassung

인권과 정의 | 419 | 2011 | 법학

헌법불합치결정의 성격 및 유형과 법적 효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nature, type and legal effect of the “Unconformable to Constitution” decision.

고려법학 | 60 | 2011 | 법학

헌법재판소의 법률에 대한 위헌여부 결정과 국회의 입법과의 관계 ― 헌법재판소 결정의 효력을 중심으로 ―

Die Verhaeltnisse zwischen den verfassungsgerichtlichen Entscheidungen, die das Gesetz als verfassungsmaessig od –widrig erklaerten, und den Gesetzgebungen von dem Parlament – insbesondere in Hinblick auf die verfassungsgerichtlichen Entscheidungenwirkungen -

헌법학연구 | 18 | 3 | 2012 | 헌법

현행 재외선거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A Critical Study on the Present System for Voting from Abroad

공법연구 | 40 | 2 | 2011 | 법학

형벌에 관한 법률(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 ― 필요성과 허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Unvereinbarkeitserklärung eines Gesetzes oder einer Bestimmung des Gesetzes in Bezug auf kriminelle Strafen

공법연구 | 38 | 4 | 2010 | 법학

형벌에 관한 법률(조항)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 ― 필요성과 허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Unvereinbarkeitserklärung eines Gesetzes oder einer Bestimmung des Gesetzes in Bezug auf kriminelle Strafen

공법연구 | 38 | 4 | 2010 | 법학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을 정당화하는 사유

Die die Unvereinbarkeitserklärung des Verfassungsgerichts rechtfertigende Begründung

안암법학 | 31 | 2010 | 법학일반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을 정당화하는 사유

Die die Unvereinbarkeitserklärung des Verfassungsgerichts rechtfertigende Begründung

안암법학 | | 31 | 2010 | 법학일반

헌법불합치결정과 함께 내려진 계속적용결정의 효력: 집시법 제10조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 평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Decision of Continuous Application with the Decision Incompatible with the Constitution: Focusing on the Decision by Korean Constitutional Court on the Article 10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헌법불합치결정과 함께 내려진 계속적용결정의 효력: 집시법 제10조에 대한 헌법재판소 결정 평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Decision of Continuous Application with the Decision Incompatible with the Constitution: Focusing on the Decision by Korean Constitutional Court on the Article 10 of the Assembly and Demonstration Act

세계헌법연구 | 16 | 1 | 2010 | 법학

헌법재판소 제4기 재판부 전반기의 헌법불합치결정 주문 사례의 검토

Die Tenorierungsvariante bei den Unvereinbarentscheidungen vom KVG von vierter Amtszeit

공법학연구 | 11 | 1 | 2010 | 법학

헌법재판소 제4기 재판부 전반기의 헌법불합치결정 주문 사례의 검토

Die Tenorierungsvariante bei den Unvereinbarentscheidungen vom KVG von vierter Amtszeit

공법학연구 | 11 | 1 | 2010 | 법학

헌법불합치결정에 있어 기한설정의 실태분석

Zur Fristensetzung bei den Unvereinbarkeit-Entscheidungen in Wirklichkeit

법과정책연구 | 10 | 2 | 2010 | 법학

헌법불합치결정에 있어 기한설정의 실태분석

Zur Fristensetzung bei den Unvereinbarkeit-Entscheidungen in Wirklichkeit

법과정책연구 | 10 | 2 | 2010 | 법학

헌법불합치결정에서 제시된 입법시한의 도과와 그에 따른 불합치법률의 효력상실

Die Fristensetzung für den Gesetzgeber bei der Unvereinbarkeit-Entscheidung und das Ausser- Kraft-Treten des betreffenden Gesetzes bei ihrem Ablauf

공법학연구 | 11 | 3 | 2010 | 법학

헌법불합치결정에서 제시된 입법시한의 도과와 그에 따른 불합치법률의 효력상실

Die Fristensetzung für den Gesetzgeber bei der Unvereinbarkeit-Entscheidung und das Ausser- Kraft-Treten des betreffenden Gesetzes bei ihrem Ablauf

공법학연구 | 11 | 3 | 2010 | 법학

헌법불합치결정의 원인별 유형화에 따른 결정주문의 사례검토

Die Tenorierungsvariante des KVG nach dem Entscheidungstypus in Bezug auf die Gründe bei den Unvereinbarentscheidungen

한양법학 | 29 | 2010 | 법해석학

헌법불합치결정의 원인별 유형화에 따른 결정주문의 사례검토

Die Tenorierungsvariante des KVG nach dem Entscheidungstypus in Bezug auf die Gründe bei den Unvereinbarentscheidungen

한양법학 | | 29 | 2010 | 법해석학

헌법불합치결정과 그에 대한 국회 및 법원의 반응 - 2006년 6월 이후의 위헌법률심판(“헌가” 및 “헌바”)사건을 중심으로 -

Die Reaktion von Parlament und Gerichten auf die Unvereinbarerklärung des Verfassungsgerichts

헌법학연구 | 17 | 4 | 2011 | 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