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중심 측정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033

한자 :
영어 : characteristics of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d04-02 평가/분석 평가/분석

교육과정중심 평가 () [ 敎育課程中心評價 ]

조기 수학 검사 개발 연구

Development Study for an Early Math Test

교과교육학연구 | 16 | 1 | 2012 | 교과교육학

초등학교 1학년 수학학습장애 위험군 학생과 비장애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비교

A Comparison of Academic Self-Efficacy in First Graders without Disabilities and Graders Who Are at Risk for Mathematics

특수교육학연구 | 46 | 4 | 2012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수학 학습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가능성 탐색 - 잠재성장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Class Analysis for Identifying Students at Risk for Math

특수아동교육연구 | 13 | 2 | 2011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 방안 탐색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for Measuring the Reliability of Curriculum-Based Measurement in Line with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특수교육학연구 | 44 | 4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 방안 탐색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for Measuring the Reliability of Curriculum-Based Measurement in Line with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특수교육학연구 | 44 | 4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을 활용한 읽기장애 위험군의 하위유형 분류 - 잠재성장계층분석을 중심으로 -

Classifying Multiple Subgroups of Students at Risk for Reading Disabilities within An RTI Framwork :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Class Analysi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2 | 1 | 2011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 방안 탐색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for Measuring the Reliability of Curriculum-Based Measurement in Line with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특수교육학연구 | 44 | 4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의 진전도 신뢰도 산출 방안 탐색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ing for Measuring the Reliability of Curriculum-Based Measurement in Line with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

특수교육학연구 | 44 | 4 | 2010 | 교육학

중재반응모형 활용을 위한 수학 CBM 검사의 신뢰도 및 예측 타당도 검사

Examining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CBM Math for Response to Intervention Models

학습장애연구 | 9 | 1 | 2012 | 교육학

교육과정중심측정에 의한 연산능력과 수학 학업성취간 상관에 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bility of Calculation on Curriculum-Based Measur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2 | 2010 | 교육학

교육과정중심측정에 의한 연산능력과 수학 학업성취간 상관에 대한 종단연구

A Longitudin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bility of Calculation on Curriculum-Based Measur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11 | 2 | 2010 | 교육학

측정시간 차이에 따른 수학 CBM 검사 결과의 비교: 학습장애 선별 모형인 중재반응모형에서의 활용을 위하여

Comparing Math CBM Scores with Different Time Administrations: An Application of Response to Intervention

학습장애연구 | 9 | 2 | 2012 | 교육학

수학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 진전도 기울기의 대안적 산출 방안 연구

An Alternative Way of Calculating Growth Rate in Curriculum based Measurement Math for Identify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특수교육학연구 | 45 | 3 | 2010 | 교육학

수학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 진전도 기울기의 대안적 산출 방안 연구

An Alternative Way of Calculating Growth Rate in Curriculum based Measurement Math for Identifying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특수교육학연구 | 45 | 3 | 2010 | 교육학

읽기학습장애 진단을 위한 교육과정중심측정(CBM)의 효율적인 측정주기(Frequency) 분석

An Efficient Frequency Method for Estimating Curriculum based Measurement Reading Aloud for Identifying Students with Reading Disabilities

특수아동교육연구 | 13 | 4 | 2011 | 교육학

측정시간 차이에 따른 수학 CBM 검사 결과의 비교: 학습장애 선별 모형인 중재반응모형에서의 활용을 위하여

Comparing Math CBM Scores with Different Time Administrations: An Application of Response to Intervention

학습장애연구 | 9 | 2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