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체 언어

연구분야 : A1103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교육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057

STNet ID : 1003676

한자 : 媒體言語
영어 : media language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문자체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R] 영상매체 언어 ()

hasKind (종류)

 

 

인쇄광고 언어

hasKind (종류)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인터넷 언어 () [ --言語 ]

R1:개념적

RT (관련어)

 

 

매체 텍스트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매체 언어 교육 () [ 媒體言語敎育 ]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실천적 원리 탐색 -애니메이션 교수․학습 재구성 사례를 토대로-

An Empirical Study on Problems of Reconstructions of Multimodal Literacy Teaching and Learning Curriculum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과 매체 언어 이해 교육

The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Comprehensio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과 매체 언어 이해 교육

The Study 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Language Comprehension Education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소셜 미디어의 소통 구조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 트위터, 미투데이 등의 마이크로 블로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social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 on analysis of analysis of ‘Twitter’ and ‘me2DAY’-

국어교육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셜 미디어의 소통 구조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 트위터, 미투데이 등의 마이크로 블로그를 중심으로 -

A study on communication structure of the social medi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cus on analysis of analysis of ‘Twitter’ and ‘me2DAY’-

국어교육 | | 1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교육에서 ‘전자말’이라는 개념 세우기

The Reification of the Concept of ‘Electric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2 | 2010 | 국어교육

국어교육에서 ‘전자말’이라는 개념 세우기

The Reification of the Concept of ‘Electric Langua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우리말교육현장연구 | 4 | 2 | 2010 | 국어교육

매체 언어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교육

The education of critical reading based on media language

독서연구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매체 언어를 활용한 비판적 읽기 교육

The education of critical reading based on media language

독서연구 | | 2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교육과 매체 언어 문화

Teaching Grammar focusing on Media, Language, Culture

국어교육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교육과 매체 언어 문화

Teaching Grammar focusing on Media, Language, Culture

국어교육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국어 선택과목과 매체언어 교육

The Curriculums of Elective Subjects and Media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등학교 국어 선택과목과 매체언어 교육

The Curriculums of Elective Subjects and Media Language Education

국어교육 | | 131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교육과 시각 매체

Classic Poetry Education and Visual Media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교육과 시각 매체

Classic Poetry Education and Visual Media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서의 영화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A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 Film Educatio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ar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청람어문교육 | 42 | 2010 | 국어교육

국어 교과서의 영화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A Critical Investigation of the Film Educatio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ar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for the First Grade

청람어문교육 | | 42 | 2010 | 국어교육

인쇄 광고 매체언어의 사용 양상 연구 -학원 광고를 중심으로-

The Aspects of Language Use in Printed Advertising Language

한국어 의미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쇄 광고 매체언어의 사용 양상 연구 -학원 광고를 중심으로-

The Aspects of Language Use in Printed Advertising Language

한국어 의미학 | 33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쇄 광고 표제 표현의 형식과 기능 연구 - 교육 광고 표제 표현을 중심으로 -

The Form and Function of Headline Expression in Printed Advertising Language

국어교육 | 135 | 2011 | 한국어와문학

인쇄 광고 표제 표현의 형식과 기능 연구 - 교육 광고 표제 표현을 중심으로 -

The Form and Function of Headline Expression in Printed Advertising Language

국어교육 | 135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