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범주

연구분야 : A1101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094

STNet ID : 1003688

한자 : 文法範疇
영어 : grammatical category

e03-01 언어/문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법 요소 () [ 文法要素 ]

RT (관련어)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문법 기능 [ 文法機能 ]

RT (관련어)

 

 

문법 체계 [ 文法體系 ]

RT_Y (◄관련어)

연구대상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일반 문법 [ 一般文法 ]

서구 철학자들의 언어관과 언어학 발전의 역사적 고찰

Greek Philosophers' Thoughts on Language and Their Contributions to Linguistic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석당논총 | 46 | 2010 | 기타인문학

서구 철학자들의 언어관과 언어학 발전의 역사적 고찰

Greek Philosophers' Thoughts on Language and Their Contributions to Linguistics: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석당논총 | | 46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주어’와 ‘주체’ - 변별을 위한 용어 정립 -

‘Subject’ and ‘Agent’ in the grammatical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 Concerning establishment of Terminology for distinction -

한어문교육 | 26 | 2012 | 국어교육

‘이서’의 문법 범주

The Grammatical Category of Iseo

國語學 | 61 | 2011 | 한국어와문학

학술적 에세이에 나타난 대학생의 문장 구성 양상 연구

A Study on Aspects of College Students’ Sentence Structures in Academic Essay

교양교육연구 | 6 | 3 | 2012 | 학제간연구

“의존명사+‘하다’”에서 ‘의존명사’의 자리 찾기

The status of dependence noun in the “dependence noun + ‘hada’”

형태론 | 12 | 1 | 2010 | 언어학

“의존명사+‘하다’”에서 ‘의존명사’의 자리 찾기

The status of dependence noun in the “dependence noun + ‘hada’”

형태론 | 12 | 1 | 2010 | 언어학

학술적 에세이에 나타난 대학생의 문장 구성 양상 연구

A Study on Aspects of College Students’ Sentence Structures in Academic Essay

교양교육연구 | 6 | 3 | 2012 | 학제간연구

선어말어미 ‘-더-’의 문법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mmatical Function ofNon-final Ending ‘-deo-’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어말어미 ‘-더-’의 문법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mmatical Function ofNon-final Ending ‘-deo-’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서’의 문법 범주

The Grammatical Category of Iseo

國語學 | 61 | 2011 | 한국어와문학

시뮬레이션 모형에 의한 한국어 보조동사의 의미 해석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Korean dependent-verbs based on simulation semantics

한국어 의미학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뮬레이션 모형에 의한 한국어 보조동사의 의미 해석 과정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Korean dependent-verbs based on simulation semantics

한국어 의미학 | 31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의존명사+‘하다’”에서 ‘의존명사’의 자리 찾기

The status of dependence noun in the “dependence noun + ‘hada’”

형태론 | 12 | 1 | 2010 | 언어학

“의존명사+‘하다’”에서 ‘의존명사’의 자리 찾기

The status of dependence noun in the “dependence noun + ‘hada’”

형태론 | 12 | 1 | 2010 | 언어학

선어말어미 ‘-더-’의 문법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mmatical Function ofNon-final Ending ‘-deo-’

우리말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선어말어미 ‘-더-’의 문법 기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Grammatical Function ofNon-final Ending ‘-deo-’

우리말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문법교육방법론의 연구 동향 및 과제

Retrospect and prospect of Studies in Korean Grammar Teaching Methods

이중언어학 | 47 | 2011 | 언어학

지시-한정성의 강도와 문법 기제의 통시적 변화 - 러시아어와 불가리아어 “부활” 텍스트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Referent-Definite Description and It's Grammatical Categories in Russian and Bulgarian

슬라브어 연구 | 17 | 2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문법’과 ‘독서’의 통합성

On the integration of ‘grammar’ a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2 | 2010 | 국어교육

‘문법’과 ‘독서’의 통합성

On the integration of ‘grammar’ and ‘read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문법 교육 | 12 | | 2010 | 국어교육

관용구의 문법범주

Grammatical Categories of Phrasal Idioms

어문논집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관용구의 문법범주

Grammatical Categories of Phrasal Idioms

어문논집 | | 61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교재 분석 - 교재의 구성과 기술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Korean Grammar Textbooks for Chinese learners -Focusing on textbook structure and method of description-

문법 교육 | 14 | 2011 | 국어교육

품사 통용의 감탄사 처리 방안 연구

A study on efficient methods of conversional exclamation in Korean

우리말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교재 분석 - 교재의 구성과 기술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Korean Grammar Textbooks for Chinese learners -Focusing on textbook structure and method of description-

문법 교육 | 14 | 2011 | 국어교육

국어의 범용 어미 발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Two o rMore Functional Finial Endings during the Last Part of the 19th Century

한국언어문학 | 80 | 2012 | 한국어와문학

품사 통용의 감탄사 처리 방안 연구

A study on efficient methods of conversional exclamation in Korean

우리말연구 | 28 | 2011 | 한국어와문학

Formatives in Korean: Their semant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언어학 | 63 | 2012 | 언어학

‘-음’과 ‘-기’의 문법 범주에 대한 일고찰

Grammatical Category of ‘-ɨm' and ‘-gi'

어문연구 | 65 | 2010 | 한국어와문학

‘-음’과 ‘-기’의 문법 범주에 대한 일고찰

Grammatical Category of ‘-ɨm' and ‘-gi'

어문연구 | 65 |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떻게’의 문법 범주에 대하여

On the Grammatical Category of 'Eotteohge'

國語學 | 61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장종결법 재고(再考)- 문장종결법의 범주적 특성과 종류-

Reconsideration for Sentence-final Moods in Korean Language.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종결법 재고(再考)- 문장종결법의 범주적 특성과 종류-

Reconsideration for Sentence-final Moods in Korean Language.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법범주를 활용한 한국어 문법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Korean Grammar Education Using Grammatical Categories

사회언어학 | 19 | 2 | 2011 | 언어학

방언 통사론 연구사

A Review of studies on syntax of regional dialect

방언학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방언 통사론 연구사

A Review of studies on syntax of regional dialect

방언학 |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의 경계

Boundary between Lexical Category and 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의 경계

Boundary between Lexical Category and 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떻게’의 문법 범주에 대하여

On the Grammatical Category of 'Eotteohge'

國語學 | 61 | 2011 | 한국어와문학

借字表記 資料에 나타나는 ‘-齊’의 文法範疇와 意味

Grammatical Category and Meaning of ‘-져’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借字表記 資料에 나타나는 ‘-齊’의 文法範疇와 意味

Grammatical Category and Meaning of ‘-져’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의 경계

Boundary between Lexical Category and 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의 경계

Boundary between Lexical Category and 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종결법 재고(再考)- 문장종결법의 범주적 특성과 종류-

Reconsideration for Sentence-final Moods in Korean Language.

한국어학 | 46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종결법 재고(再考)- 문장종결법의 범주적 특성과 종류-

Reconsideration for Sentence-final Moods in Korean Language.

한국어학 | 46 |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대중국어의 양상(Modality) 관련 표현에 대한 일 고찰

중국인문과학 | 47 | 2011 | 중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