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전이야기 연행과 공동체 경계의 재구성
Th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Re-constructing the Border of Community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비밀전, 스파이, 유언비어 -『新時代』에 나타난 통합과 배제의 논리-
Covert War, Spy and Canard
동악어문학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상 시의 아이러니에 나타난 환상의 실패와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에 관한 소고 - 정신분석의 관점으로 읽은 「꽃나무」·「絶壁」·「空腹」에 대한 주석
The Study on a failure of the phantasy and a possibility of a ethical subject in the poetic irony of LeeSang.
우리어문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상 시의 아이러니에 나타난 환상의 실패와 윤리적 주체의 가능성에 관한 소고 - 정신분석의 관점으로 읽은 「꽃나무」·「絶壁」·「空腹」에 대한 주석
The Study on a failure of the phantasy and a possibility of a ethical subject in the poetic irony of LeeSang.
우리어문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청년문화론에서의 ‘문화/정치’의 경계 문제
A Study on the boundary line of ‘culture/politics’ in Youth Culture’s theo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
내선일체의 멜로드라마와 식민주의의 균열 - 이광수의 내선 연애⋅결혼 소설을 중심으로
All in one Korea-Japan(Nae-sun-il-che) Melodrama and the Rupture of Colonialism in Lee Kwang-su's Works of Korea-Japan Love and Marriage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손창섭 『落書族』의 ‘껍데기/알맹이’의 상징성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sm ‘empty/substance’ Son Chang-seob's 『Nak-se-jok』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언어의 위계와 어법의 균열 -해방기~1960년대, 한국의 언어적 혼종상태와 문학자의 자의식
Hierarchy of Languages and Rupture of Grammar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보편주의’와 ‘보편성’의 사이 : 스코틀랜드 계몽과 국민문학
「普遍主義」と「普遍性」のあいだ : スコットランド啓蒙と「国民文学」
한국학연구 |
27 |
2012 |
기타인문학
전장의 기억과 학병의 감수성
Memory of Battlefield and Sensitivity of Student Soldiers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임화의 ‘신성한 잉여’의 세 가지 의미 -임화의 비평에 나타난 시차(視差, parallax) 1-
Three Meaning of Im Hwa‘s ‘Divine Surplus' - Parallax 1 indicated in Im Hwa's criticism -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의 ‘신성한 잉여’의 세 가지 의미 -임화의 비평에 나타난 시차(視差, parallax) 1-
Three Meaning of Im Hwa‘s ‘Divine Surplus' - Parallax 1 indicated in Im Hwa's criticism -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존재와 사유의 비원리적 동일성에 관하여 ― 들뢰즈의 존재론이 데카르트로부터 라캉에 이르는 주체 철학에 대하여 보여주는 대립과 전략적 제휴를 중심으로
A propos de la thèse de "Identité non principielle de la pensée et de l'Etre"
대동철학 |
57 |
2011 |
철학
1920년대 『조선문단』과 여성문학 섹션의 탄생
The magazine 『The Joseon Literary Circles(조선문단)』 in 1920s & the appearance of ‘women's literature’ section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古代中國 器物精怪敍事의 발생과 그 의미 -『太平廣記』精怪部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ccurrence of The Utensil Spirit Narratives in the Ancient Chinese and its Meaning : Focusing on Tai Ping Guang Ji Jingguai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Changes of the Skin in Rats after Inducement of Dry Skin
건성피부 유발 쥐에서의 피부 증상 변화 연구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
8 |
1 |
2010 |
미용
Changes of the Skin in Rats after Inducement of Dry Skin
건성피부 유발 쥐에서의 피부 증상 변화 연구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
8 |
1 |
2010 |
미용
재만 조선인 시에 나타난 디아스포라 인식과 만주성 연구
A Study on Korean diaspora poetry in Manchukuo about Manchusung
한국문학논총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임화의 시비평에 나타난 해석과 평가의 시차(視差, parallax)- 김기림, 이상, 백석, 오장환의 시에 대한 임화의 비평을 중심으로 -
Parallax of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Represented in Imhwa's Poem Criticism - Mostly referring to Imhwa's Poem Criticism of Kim Ki-rim, Lee Sang, Baek Seok & Oh Jang-whan -
한국문예비평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화의 시비평에 나타난 해석과 평가의 시차(視差, parallax)- 김기림, 이상, 백석, 오장환의 시에 대한 임화의 비평을 중심으로 -
Parallax of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Represented in Imhwa's Poem Criticism - Mostly referring to Imhwa's Poem Criticism of Kim Ki-rim, Lee Sang, Baek Seok & Oh Jang-whan -
한국문예비평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만 조선인 시문학의 만주성 재현 연구 - 만주국 시기 디아스포라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poetry in Manchuria about Manchusung's representation - Focusing on the viewpoint of diaspora during the time of Manchukuo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에서 정치 균열 구조의 역사적 기원: 립셋-록칸 모델의 적용
Formation of Political Cleavage in South Korea: Application of the Lipset-Rokkan Model
한국과 국제정치 |
27 |
3 |
2011 |
정치외교학
대의민주주의의 균열 구조와 발전 구조 : 정보사회에서의 정부와 정당 대표성 간극을 중심으로
Cleavage Structure and Development Conditi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 : Representing Gap of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y in Information Society
사회이론 |
37 |
2010 |
사회학
대의민주주의의 균열 구조와 발전 구조 : 정보사회에서의 정부와 정당 대표성 간극을 중심으로
Cleavage Structure and Development Conditi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 : Representing Gap of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y in Information Society
사회이론 |
|
37 |
2010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