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분야 : A030405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근대독일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15
STNet ID : 1000803
한자 : 精神
독일어 : Geist
영어 : spirit
d01-04 개념(정의)
주창자 |
|
시대8 |
|
해당국가 |
용어관계 |
관련용어 |
|||
유형 |
관계명 |
관계속성 |
클래스명 |
용어명 |
N1:종류 |
hasKind (종류) |
|
|
|
R1:개념적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
|
|
헤겔에게서 민족, 국가와 세계사
Hegels Ansicht von Volk, Staat und Weltgeschichte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D. H. 로렌스와 토마스 하디의 만남: 어둠과 빛이 빚어낸 여성주의 −「토마스 하디 연구」와 『테스』를 중심으로−
An Encounter of D. H. Lawrence and Thomas Hardy: Feminism in Which Dark and Light Encounters−focused on “Study of Thomas Hardy” and Tess of the D’Urbervilles
D.H. 로렌스 연구 | 19 | 1 | 2011 | 영어와문학
한국추상미술의 미의식 : 내적 실재로서의 자연과 정신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 Korean Abstract Art : The Nature and The Spirit as the Inner Reality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로렌스, 타자, 그리고 남성의 ‘탄생’
Lawrence, the Other, and the ‘Birth’ of Man
D.H. 로렌스 연구 | 20 | 1 | 2012 | 영어와문학
칸트와 헤겔의 감성관 비교
Die Auffassung der Sinnlichkeit bei Kant und Hegel
칸트연구 | 26 | 2010 | 철학
칸트와 헤겔의 감성관 비교
Die Auffassung der Sinnlichkeit bei Kant und Hegel
칸트연구 | | 26 | 2010 | 철학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이성 비판과 헤겔 철학에 대한 영향
Friedrich Heinrich Jacobi’s Critique of Reason and Effect on Hegel’s Philosophy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이성 비판과 헤겔 철학에 대한 영향
Friedrich Heinrich Jacobi’s Critique of Reason and Effect on Hegel’s Philosophy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김수영 시에 나타난 ‘얼굴’의 의미
The meaning of ‘Face’ appearing in Soo Young, Kim's poems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교과교육의 의미: 칸트와 헤겔의 관점
The Meaning of School Subject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Kant and Hegel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교과교육의 의미: 칸트와 헤겔의 관점
The Meaning of School Subjects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Kant and Hegel
교육사상연구 | 24 | 3 | 2010 | 교육학
내공간의 이론과 『서유기』 해석
Reading Seoyugi by Relying upon the Theory of the Inner Space
우리어문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비추어 본 마음과 교육
Mind and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교육철학연구 | 50 | 2010 | 교육학
헤겔의 『정신현상학』에 비추어 본 마음과 교육
Mind and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교육철학연구 | | 50 | 2010 | 교육학
역사와 치유 – 한국현대사의 트라우마를 중심으로 -
History and Healing - Centered on the modern history of the South Korea -
인문과학연구 | 29 | 2011 | 기타인문학
학자의 사명과 학문의 태도
Die Bestimmung des Gelehrten und sein wissenschaftliches Verhalten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학자의 사명과 학문의 태도
Die Bestimmung des Gelehrten und sein wissenschaftliches Verhalten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헤겔의 역사정신과 엥겔스의 비판적 변용
Hegels Begriff des geschichtlichen Geistes und die Engelsche kritische Auseinandersetzung
헤겔연구 | 31 | 2012 | 철학
1950~60년대 서정주 시 연구 - ‘신라’의 신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A study on Suh Jung-Joo's poetry in the 1950~60s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박용철의 시론 연구 - ‘존재’와 ‘무명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ark, Yong-Cheol's Poetics:On the Focus with the Problem of an ‘Existence’ and an ‘Obscure Flame’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데카르트 실체 개념의 문제점과 후대 합리론자들의 해결방안
The Problem of Descartes' Substance Concept and the Solution of Rationalists in Coming Generations
철학논집 | 20 | 2010 | 철학
데카르트 실체 개념의 문제점과 후대 합리론자들의 해결방안
The Problem of Descartes' Substance Concept and the Solution of Rationalists in Coming Generations
철학논집 | 20 | | 2010 | 철학
스피노자의 심신론-스트로슨의 인격설과 연관지어-
A Study of the Mind-Body Theory in Spinoza -Related to Strawson’s Person Theory-
인문과학 | 48 | 2011 | 기타인문학
주자(朱子) 기(氣) 사상과 한국춤 사상과의 유관성(有關性)에 관한 연구
Study about the relation with the Idea of Korean dance in the view of Chu Hsi’ idea. -With ‘Idea of Spirit’ as the center-
무용예술학연구 | 36 | 36 | 2012 | 무용
장자의 정신론
莊子的精神論
동서철학연구 | 64 | 2012 | 철학
한국무용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 기능의 차원과 정신의 차원
What is the content of Korean Dance Education? - The Technical and the Spiritual
무용역사기록학 | 24 | 2012 | 무용
養生과 한의학 :『黃帝內經』의 순환론을 중심으로
Self-Cultivation and Oriental Medicine : Centering around the Circulating System of『Huang-di Nei Jing(黃帝內經)』
도교문화연구 | 32 | 2010 | 종교학
養生과 한의학 :『黃帝內經』의 순환론을 중심으로
Self-Cultivation and Oriental Medicine : Centering around the Circulating System of『Huang-di Nei Jing(黃帝內經)』
도교문화연구 | | 32 | 2010 | 종교학
장자의 정신론
莊子的精神論
동서철학연구 | 64 | 2012 | 철학
北村透谷의 文學과 運命
北村透谷の文学と運命
일본언어문화 | 22 | 2012 | 기타일본어학
전통 사상의 구현 관점에서 바라 본 태권도 정신
The Spirit of Bara Martial Art from the Viewpoint of the Implementation of Eastern Traditional Thoughts
한국문화연구 | 22 | 2012 | 기타인문학
정지용 산수시에서 자연과 정신의 감각적 매개 양상 -'차다'라는 신체 감각을 중심으로
Sensual intermediation between Nature and Spirit in Jeong Jiyoung's 'Mountain-Water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산수시에서 자연과 정신의 감각적 매개 양상 -'차다'라는 신체 감각을 중심으로
Sensual intermediation between Nature and Spirit in Jeong Jiyoung's 'Mountain-Water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헤겔에게서 절대자와 역사
The Absolute and History in Hegel's Philosophy
철학논집 | 21 | 2010 | 철학
헤겔에게서 절대자와 역사
The Absolute and History in Hegel's Philosophy
철학논집 | 21 | | 2010 | 철학
심신문제를 통해 본 메를로-퐁티의 몸 이론
Merleau-Ponty’s Theory of Body Viewed in terms of the Mind-body Problem
철학사상 | 39 | 2011 | 철학
莊子사상에 나타난 미적 범주와 동양예술 — 氣를 중심으로 —
The Esthetic Category found in Chuangtzu' thought and Oriental Art : focused on Chi(氣)
동양문화연구 | 10 | 2012 | 기타인문학
앙토냉 아르토의 내적 드라마
Le drame intime d'Antonin Artaud
프랑스 문화 연구 | 21 | 2010 | 프랑스문화학
앙토냉 아르토의 내적 드라마
Le drame intime d'Antonin Artaud
프랑스 문화 연구 | | 21 | 2010 | 프랑스문화학
태권도수련과 정신수양: 스피노자의 정신 개념을 중심으로
Taekwondo Training und Mental Discipline: Focused on Spinoza's Concept of Spirit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9 | 4 | 2011 | 체육
쿠사누스의 정신(mens)의 형이상학
Metaphysics of mind (mens) by Nicholas of Cusa
중세철학 | 17 | 2011 | 철학
통섭 비판-칸트의 ‘이성비판’의 관점에서
Critique of Consillience-In the perspective of ‘Critique of pure reason’
인문과학연구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우리나라 한국의 정신에 관한 연구
关于韩国精神的研究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리나라 한국의 정신에 관한 연구
关于韩国精神的研究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예술작품의 존재론적 토포스 -딜타이와 하이데거의 예술 철학을 중심으로-
The Ontological Topos of the Artwork -In the Viewpoint of Dilthey and Heidegger-
현대유럽철학연구 | 25 | 2011 | 서양철학
헤겔의 ‘불행한 의식’과 인문적 주체의 역설
Hegelian Unhappy Consciousness and Paradoxes of Humanistic Subject
철학사상 | 36 | 2010 | 철학
헤겔의 ‘불행한 의식’과 인문적 주체의 역설
Hegelian Unhappy Consciousness and Paradoxes of Humanistic Subject
철학사상 | | 36 | 2010 | 철학
블라봐츠키의 신지학 이론의 수용에 관한 연구 - 20세기 초의 추상미술의 정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cceptance of Blavasky' theosophic theory - Focusing on the spirit of abstract arts in the beginning of 20 Century -
예술과 미디어 | 10 | 2 | 2011 | 기타예술일반
우리나라 한국의 정신에 관한 연구
关于韩国精神的研究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우리나라 한국의 정신에 관한 연구
关于韩国精神的研究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플로티누스의 세계제작자 -플라톤의 『티마이오스』의 탈신화적 해석-
Plotinus on the World-Maker: A Demythologizing Reading of Plato’s Timaeus
철학사상 | 42 | 2011 | 철학
칸딘스키 미술에서 정신의 종교적 의미와 그 재현의 미학
The Aesthetic of the Spirit as a Religious Concept in Kandinsky’s Art
미술사와 시각문화 | 11 | 2012 | 미술
애니쉬 카푸어와 볼프강 라이프의 작품에 나타난 철학적 의미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in the works by Anish Kapoor and Wolfgang Laib
기초조형학연구 | 13 | 2 | 2012 | 예술일반
„SCHWANGER GEHT DIE MENSCHHEIT“ - Nietzsches Philosophie des Leibes und der Zukunft
니체연구 | 19 | 2011 | 철학
헤겔 철학에서 양심의 의미와 위상
Die Deutung und der Status des Gewissens bei G.W.F. Hegel
윤리교육연구 | 24 | 2011 | 윤리교육학
정신의 국소성 -틸만 슈펭글러의 소설 레닌의 뇌를 중심으로
Die Lokalität des Geistes. Über den Roman Lenins Hirn von Tilman Spengler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從「志」至「節」: 逸民的精神教育
Title: From ‘zhi ’ to ‘jie’: - The Education of the Spirit of ‘Yimin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마음의 실천철학— 우리는 자유로운 마음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
Practical Philosophy of the Mind. How can we get the free mind?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0 | 2011 | 원불교학
쇼펜하우어의 세계개념에 대한 고찰
Eine Physiologische Untersuchung über den Weltbegriff bei Schopenhauer
동서철학연구 | 61 | 2011 | 철학
헤겔의 주관정신론에서 인식론
Epistemologie in Hegels Lehre vom subjektiven Geist
철학연구 | 121 | 2012 | 철학
경호무도 정신특성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평가
Priority Order of Decisional Factors and Conceptual Construct of Security Martial Arts' Spirit
시큐리티연구 | 32 | 2012 | 기타행정학
정신으로서의 이성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이성에서 정신으로의 이행의분석을 통한 헤겔의 이성 개념의 계보학적 해명-
Reason as Spirit - A Genealogical Exposition of the Hegel’s Concept of Reas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nsition from Reason to Spirit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철학사상 | 38 | 2010 | 철학
정신으로서의 이성 -『정신현상학』에 나타난 이성에서 정신으로의 이행의분석을 통한 헤겔의 이성 개념의 계보학적 해명-
Reason as Spirit - A Genealogical Exposition of the Hegel’s Concept of Reas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ransition from Reason to Spirit in the Phenomenology of Spirit-
철학사상 | | 38 | 2010 | 철학
关于死亡的沉思
죽음에 관한 사유
생명연구 | 22 | 2011 | 서양철학
역사에서 새로운 것의 출현에 대한 헤겔의 행위이론적인 이해
Die Entstehungszüge des geschichtlichen Neuen in der Handlungstheorie Hegels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역사에서 새로운 것의 출현에 대한 헤겔의 행위이론적인 이해
Die Entstehungszüge des geschichtlichen Neuen in der Handlungstheorie Hegels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從「志」至「節」: 逸民的精神教育
Title: From ‘zhi ’ to ‘jie’: - The Education of the Spirit of ‘Yimin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
关于死亡的沉思
죽음에 관한 사유
생명연구 | 22 | 2011 | 서양철학
헤겔의 ‘예술의 과거성’ 명제의 해석과 비판을 위한 예비적 고찰
A preliminary observation for accurate interpretation and critique of Hegel's doctrine of 'the end of art'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헤겔의 ‘예술의 과거성’ 명제의 해석과 비판을 위한 예비적 고찰
A preliminary observation for accurate interpretation and critique of Hegel's doctrine of 'the end of art'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沙溪 金長生의 정신과 우리나라 정신
The Spirit of Sagye Kim, Jang-Sang and Korean Spirit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沙溪 金長生의 정신과 우리나라 정신
The Spirit of Sagye Kim, Jang-Sang and Korean Spirit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헤세의 『나르치스와 골드문트』에 나타난 양극성의 이념과 의지의 문제
Der Polaritätsgedanke und das Willensproblem in Hesses Narziß und Goldmund
헤세연구 | 25 | 2011 | 독일어와문학
沙溪 金長生의 정신과 우리나라 정신
The Spirit of Sagye Kim, Jang-Sang and Korean Spirit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신에 대한 중국불교계의 이해 - 이념과 현실의 이중주
人間の精神に対する中国仏教界の理解
범한철학 | 61 | 2 | 2011 | 철학
정신에 대한 중국불교계의 이해 - 이념과 현실의 이중주
人間の精神に対する中国仏教界の理解
범한철학 | 61 | 2 | 2011 | 철학
유가철학에서 정신세계의 영역 그리고 상호 교류와 운용에 관한 고찰 -도덕주체・지성주체・감성주체를 중심으로-
關於儒家哲學的精神領域與互相交流以及運用的考察 -以道德主體與知性主體及感性主體爲中心-
범한철학 | 62 | 3 | 2011 | 철학
스피노자의 철학에 있어 신체의 문제
Le problème du corps dans la philosophie de Spinoza
범한철학 | 62 | 3 | 2011 | 철학
철학, 정신을 말하다 ― 그 실체성, 기능성, 유기성
Minds understood in terms of properties substancial, functional, organic
범한철학 | 62 | 3 | 2011 | 철학
숨가쁜 정신 -형이상학의 정신을 둘러싼 데리다와 레비나스의 논쟁-
The Breathlessness of the Spirit: Polemics between Derrida and Levinas on the Spirit of the Metaphysics
현상학과 현대철학 | 50 | 2011 | 철학
透谷가 본 物質文明의 危機
The View on the Crisis of Material Civilization by Tokoku
일본어문학 | 55 | 2011 | 일본어와문학
유가철학에서 정신세계의 영역 그리고 상호 교류와 운용에 관한 고찰 -도덕주체・지성주체・감성주체를 중심으로-
關於儒家哲學的精神領域與互相交流以及運用的考察 -以道德主體與知性主體及感性主體爲中心-
범한철학 | 62 | 3 | 2011 | 철학
透谷가 본 物質文明의 危機
The View on the Crisis of Material Civilization by Tokoku
일본어문학 | 55 | 2011 | 일본어와문학
「줄리어스 시저」에 나타난 정신에 대해서
Of Spirit in Shakespeare's Julius Caesar
Shakespeare Review | 48 | 3 | 2012 | 영어와문학
최승자의 <이 時代의 사랑>에 나타난 시적 언술의 정신병리적 고찰-‘몸’ ‘꿈’을 중심으로-
Seungja's “The Age of Love" Appeared in Poetic Discourse, Study of the Psychopathology
한국언어문학 | 81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지 허버트 미드와 정신의 사회적 구성
George Herbert Mead and the Social Construction of Mind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