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석학

연구분야 : E150200 의약학 > 정신과학 > 정신분석학/분석심리학

클래스 : 분과학문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23

한자 : 精神分析學
영어 : Freudianism

d01-03 분과학문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관련 학문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현실 원리 () [ 現實原理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연합주의 [ 聯合主義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승화 [ 昇華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원시주의 () [ 原始主義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2 원칙/법칙 원칙/법칙

쾌락 원칙 () [ 快樂原則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집단 무의식 [ 集團無意識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자기심리학 () [ 自己心理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c02-02 인식/의식 /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콤플렉스 [complex]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분석 심리학 [ 分析心理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인본주의 심리학 () [ 人本主義心理學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관련 학문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페르조나 [Persona]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a01-06-01 인간(직업) 인간(직업)

정신분석학자 [ 精神分析學者 ]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쿠레레 [Currere]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관련 학문

d03-02 분석방법 분석방법

꿈의 분석 () [ --分析 ]

폴 리쾨르의 에두르기 철학 : 자기이해의 문제를 중심으로

La philosophie du détour chez Paul Ricoeur : autour du problème de la compréhension de soi

불어불문학연구 | 84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양심 이해: 융의 관점을 중심으로

The Meaning of Conscience in Psychological Views: focused on C. G. Jung’s Psychology

도덕윤리과교육 | 34 | 2011 | 교육학

백석 시의 은유와 환유 구조 ―시 「모닥불」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structure of metaphor and metonymy of poems of Baek, Seok ― Centered on the poem「Bonfire」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분단의 사회적 신체와 심리 분석에서 제기되는 이론적 쟁점들

Theoretical Issues Raised in the Social Body and Psychological Analysis of Division

시대와 철학 | 23 | 1 | 2012 | 철학

예술치료를 위한 ‘은유’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소고

Etude sur la notion et la fonction de la métaphore dans l’art thérapy

드라마 연구 | 37 | 2012 | 연극이론

묵인하고 방관하는 자, 그는 죄인인가? -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쥐스킨트의 『좀머 씨 이야기』에 나타난 죄책감

Ist der ein Schuldiger, wer ein unmenschliches Geschehen stillschweigend durchgehen lässt und gleichgültig zuschaut? – Das Schuldbewusstsein in Bernhard Schlinks Der Vorleser und Patrick Süskinds Die Geschichte von Herrn Sommer

독일어문학 | 18 | 1 | 2010 | 독일어와문학

묵인하고 방관하는 자, 그는 죄인인가? - 슐링크의 『책 읽어주는 남자』와 쥐스킨트의 『좀머 씨 이야기』에 나타난 죄책감

Ist der ein Schuldiger, wer ein unmenschliches Geschehen stillschweigend durchgehen lässt und gleichgültig zuschaut? – Das Schuldbewusstsein in Bernhard Schlinks Der Vorleser und Patrick Süskinds Die Geschichte von Herrn Sommer

독일어문학 | 18 | 1 | 2010 | 독일어와문학

Lacan 거울단계 이론의 교육철학적 함의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Mirror Stage of Jacques Lacan

교육사상연구 | 25 | 2 | 2011 | 교육학

A Psychoanalytic Reading of Love in Chaucer’s Knight’s Tale and Shakespeare’s The Two Noble Kinsmen

초서의 『기사 이야기』와 셰익스피어의 『두 귀족 사촌 형제』에 나타난 사랑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읽기

Shakespeare Review | 46 | 2 | 2010 | 영어와문학

A Psychoanalytic Reading of Love in Chaucer’s Knight’s Tale and Shakespeare’s The Two Noble Kinsmen

초서의 『기사 이야기』와 셰익스피어의 『두 귀족 사촌 형제』에 나타난 사랑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읽기

Shakespeare Review | 46 | 2 | 2010 | 영어와문학

영화와 관객론 — 들뢰즈 이론을 중심으로

Le film et son spectateur

불어불문학연구 | 90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종교사회학과 ‘사회종교학’: 기독교사회학의 사회 변혁적 관점

Sociology of Religion and "Sociology of Society": Social Transformative Aspect of Christian Sociology

기독교사회윤리 | 22 | 2011 | 기독교신학

귀신들림 현상에 관한 치유상담적 고찰: -정신의학과 분석심리학적 관점-

Reflection on Demonic Possession from the Perspectives of Psychiatry and Analytical Psychology and Its Applications in Healing Counseling

신학과 실천 | 26 | 2011 | 기독교신학

손창섭 소설의 미의식과 정신병리 양상 고찰

A Study on the Aspects in Psychopathology From the aesthetics in Son Chang-Seob's Novels

우리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팻 바커의『갱생』삼부작—정신병리학과 사회비판

Pat Barker’s Regeneration Trilogy: Psychopathology and Social Criticism

영어영문학 | 56 | 4 | 2010 | 영어와문학

팻 바커의『갱생』삼부작—정신병리학과 사회비판

Pat Barker’s Regeneration Trilogy: Psychopathology and Social Criticism

영어영문학 | 56 | 4 | 2010 | 영어와문학

서바이벌 게임과 현실 담론의 만남 그리고 재미와 판타지: 리얼리티 TV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를 중심으로

Meeting of Survival Game and Realistic Discourse, Pleasure and Fantasy: Focusing on the Reality TV Program ‘I am a Singer’

미디어, 젠더 & 문화 | 22 | 2012 | 신문방송학

시니피앙의 미래: 『구운몽』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테제

The Future of Signifier: Reading Guunmong through Lacan

비교문학 | 57 | 2012 | 인문학

불안공포 신경증과 이야기치료의 정신분석학적 근거

Angstneurose und die psychoanalytische Grundlage für die narrative Therapie

뷔히너와 현대문학 | 38 | 2012 | 독일어와문학

프로이트의 神에 대한 강박과 종교론: 종교적인 내담자 상담에의 함의

Freud's Obsession with God and Religion: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of Religious Clients

상담학연구 | 11 | 2 | 2010 | 교육학

프로이트의 神에 대한 강박과 종교론: 종교적인 내담자 상담에의 함의

Freud's Obsession with God and Religion: Implications for the Counseling of Religious Clients

상담학연구 | 11 | 2 | 2010 | 교육학

도스또예프스끼의 어머니들

Dostoevsky's Mothers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도스또예프스끼의 어머니들

Dostoevsky's Mothers

노어노문학 | 22 | 1 | 2010 | 러시아어와문학

대중문화에 나타난 종교적 모티브와 TV 드라마 내러티브의 신화 구조

Religious Themes and Mythical Narratives of Korean Television Dramas

한국언론학보 | 54 | 2 | 2010 | 신문방송학

대중문화에 나타난 종교적 모티브와 TV 드라마 내러티브의 신화 구조

Religious Themes and Mythical Narratives of Korean Television Dramas

한국언론학보 | 54 | 2 | 2010 | 신문방송학

무의식 속의 욕망과 좌절의 변증법 -라캉의 주체이론

Das Begehren im Unbewussten und die Dialektik der Frustration. Lacans Subjekttheorie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 27 | 2012 | 독일어와문학

문학작품 읽기를 통한 주체의 형성: 정신분석학적 접근

The Construction of the Subject through Reading Literary Texts: A Psychoanalytic Approach

영미어문학 | 102 | 2012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