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산소성 파워

연구분야 : G100800 예술체육 > 체육 > 운동생리학/처방

클래스 : 능력/힘/에너지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247

한자 : 無酸素性--
영어 : anaerobic power

c01-04 능력/힘/에너지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무산소파워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5 신체운동/행동 신체운동/행동

무산소성 운동 [ 無酸素性運動 ]

affects (영향)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무산소성 능력 [ 無酸素性 能力 ]

3,000 m 상당고도의 저압․저산소 환경에서 4주간의 간헐적인 스프린트 훈련이 무산소성 에너지대사와 운동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4 weeks intermittent sprint training on anaerobic energy metabolites and performance in hypobaric hypoxic condition, equivalent to an altitude of 3,000 m.

운동과학 | 20 | 4 | 2011 | 운동생리학/처방

고등학교 남자 배구선수의 훈련에 따른 체력, 등속성 및 무산소성 파워 능력의 변화

The changes on physical fitness, isokinetic and anaerobic power capacity according to training in high school boy's volleyball player

코칭능력개발지 | 13 | 1 | 2011 | 기타체육

남자 수영선수의 200m 및 400m 기록에 따른 생리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according to 200m and 400m record in male swimmers

코칭능력개발지 | 14 | 3 | 2012 | 기타체육

크레아틴-중탄산나트륨의 복합투여가 고강도 무산소성 운동수행능력, 혈중 크레아틴 및 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bined creatine and sodium bicarbonate supplementation on high intensity anaerobic exercise ability and concentration of plasma creatine and lactate.

운동과학 | 20 | 2 | 2011 | 운동생리학/처방

L-Carnitine 급성투여가 기계체조 선수의 무산소성 파워 및 혈중 염증반응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carnitine acute supplementation on anaerobic power and blood inflammatory makers in artistic gymnasts

코칭능력개발지 | 13 | 1 | 2011 | 기타체육

여자 육상 400M 단거리 우수와 비우수 선수들의 구간별 심박수무산소성파워 및 회복능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Anaerobic Power and Recovery Ability between Superior Athletes and Inferior Athletes

코칭능력개발지 | 13 | 1 | 2011 | 기타체육

Wingate anaerobic test 시 검사자의 Shouting 환경이 무산소성파워 변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outing environment on results during wingate anaerobic power test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 13 | 1 | 2011 | 체육측정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