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주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B160209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역사지리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292

STNet ID : 1003821

한자 : 溟州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전후

LT (이후명)

 

 

강릉시

北宋代 使行 旅程 行路考 ― 宋 入境以後를 中心으로 ―

北宋代 使行 旅程 行路考

동양사학연구 | 114 | 2011 | 역사학

‘선문대할망’과 그 別稱

'SeonmundaeHalmang' and other names

탐라문화 | 37 | 2010 | 기타인문학

‘선문대할망’과 그 別稱

'SeonmundaeHalmang' and other names

탐라문화 | | 37 | 2010 | 기타인문학

고려전기의 麗宋 교통로와 교역

The Traffic Route and Trade of Goryeo Dynasty and Song Dynasty in the first half of Goryeo Dynasty

한국중세사연구 | 33 | 2012 | 역사학

張保皐 선단과 신라하대 불교조각

Buddist Scupture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Jang Bo-go`s Fleet

선사와 고대 | 32 | 2010 | 역사학

張保皐 선단과 신라하대 불교조각

Buddist Scupture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Jang Bo-go`s Fleet

선사와 고대 | | 32 | 2010 | 역사학

『三國史記』 所載 泥河의 위치 비정

Determining the location of ‘Ni River’ mentioned in SamGuk-SaGi

한국사연구 | 150 | 2010 | 역사학

『三國史記』 所載 泥河의 위치 비정

Determining the location of ‘Ni River’ mentioned in SamGuk-SaGi

한국사연구 | | 150 | 2010 | 역사학

10~13세기 漂流民 送還體制를 통해 본 동아시아 교통권의 구조와 특성

From 10 until 13th century drift one the repatriation setup which pushes structure and quality of the East Asia traffic circle which tries to lead

석당논총 | 50 | 2011 | 기타인문학

『삼국사기』지리지 溟州 영현 棟隄縣의 위치 비정과 의미

A Study of Dongje-hyun of Myoung-ju in Unified Shilla Period

韓國史學報 | 38 | 2010 | 역사학

『삼국사기』지리지 溟州 영현 棟隄縣의 위치 비정과 의미

A Study of Dongje-hyun of Myoung-ju in Unified Shilla Period

韓國史學報 | | 38 | 2010 | 역사학

唐 後期의 明州와 동아시아海商

唐後期の明州と東アジアの海商

동국사학 | 50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