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간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293

STNet ID : 1003822

한자 : 木簡
영어 : Wooden tablets
영어 : Wooden tablet
중국어 : 木简
동의어(UF) : 목첩(木牒)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목독 () [ 木牘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a04-02 재료/부품 재료/부품

간독 () [ 簡牘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문자 문화 () [ 文字文化 ]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묵서 () [ 墨書 ]

2000년대 백제의 신발견 문자자료와 연구동향

The current fluency on the Baekje's Corpus of Characters was found newly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2000년대 백제의 신발견 문자자료와 연구동향

The current fluency on the Baekje's Corpus of Characters was found newly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雁鴨池 木簡과 新羅 宮廷의 日常

Wooden Tablets of Anapji(雁鴨池) and Daily Life at the Palace of Silla

신라문화 | 35 | 2010 | 역사학

雁鴨池 木簡과 新羅 宮廷의 日常

Wooden Tablets of Anapji(雁鴨池) and Daily Life at the Palace of Silla

신라문화 | | 35 | 2010 | 역사학

신라의 신발견 문자자료와 연구동향

Newly Excavated Epigraphic Materials on the Silla Kingdom and the Tendency of Study of Them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신라의 신발견 문자자료와 연구동향

Newly Excavated Epigraphic Materials on the Silla Kingdom and the Tendency of Study of Them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無와 裏面의 역사, 한국 고대의 생활사를 위하여

A History of Nothingness and the Hidden Sides: Studying Ancient Life History

한국고대사연구 | 65 | 2012 | 한국고대사

羅州 伏岩里 출토 木簡 연구의 쟁점과 과제

The Issues and Subjects of the Research on the Wooden Tablets of Bogam-ri, Najoo-si

백제문화 | 45 | 2011 | 한국고대사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금석문 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活用金石文、木简资料的韩国语学界的研究动向和课题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雁鴨池 木簡과 新羅 宮廷의 日常

Wooden Tablets of Anapji(雁鴨池) and Daily Life at the Palace of Silla

신라문화 | 35 | 2010 | 역사학

雁鴨池 木簡과 新羅 宮廷의 日常

Wooden Tablets of Anapji(雁鴨池) and Daily Life at the Palace of Silla

신라문화 | | 35 | 2010 | 역사학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출토문자자료의 출토 및 연구 현황

韩中日东亚三国木简的出土及研究现状

한국고대사연구 | 59 | 2010 | 한국고대사

한·중·일 동아시아 3국의 출토문자자료의 출토 및 연구 현황

韩中日东亚三国木简的出土及研究现状

한국고대사연구 | | 59 | 2010 | 한국고대사

고고자료로서의 목간

考古資料としての木簡

한국고대사연구 | 57 | 2010 | 한국고대사

고고자료로서의 목간

考古資料としての木簡

한국고대사연구 | | 57 | 2010 | 한국고대사

마도 1‧2호선 出水 목간‧죽찰에 기재된 곡물의 성격과 지대수취

The Character of the Grains Written in the Wooden Tags in the Wrecked Ships, Mado 1 and Mado 2

역사와경계 | 84 | 2012 | 역사학

한국 고대 목간문화의 기원에 대하여

On the Origin of Wooden Tablet Culture of Ancient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韓國․中國․日本 출토 論語木簡의 비교 연구

韩、中、日三国出土论语简的比较研究

동양사학연구 | 114 | 2011 | 역사학

우리나라 木簡의 樹種分析과 意味

韓国の木簡の樹種分析と意味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우리나라 木簡의 樹種分析과 意味

韓国の木簡の樹種分析と意味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咸安 城山山城 出土 新羅 荷札의 再檢討

A Reexamine on the Wooden Name List of Tax Supplies excavated at the Sungsan Mountain Fortress

사림 | 41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