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존재의 부조리 -그 시적 치유와 초월을 위해-
The Absurdity of the Being: For Its Poetic Cure and Transcendence
어문학 |
|
110 |
2010 |
한국어와문학
욕망과 환상의 관점으로 살펴 본 아처와 이산
Acher and Ethan from the viewpoint of desire and fantasy
현대영미어문학 |
28 |
2 |
2010 |
영어와문학
욕망과 환상의 관점으로 살펴 본 아처와 이산
Acher and Ethan from the viewpoint of desire and fantasy
현대영미어문학 |
28 |
2 |
2010 |
영어와문학
≪兮甲盤≫銘文에 대한 小考
The Study on <> Myeongmun
국제언어문학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兮甲盤≫銘文에 대한 小考
The Study on <> Myeongmun
국제언어문학 |
|
22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한국 실존주의 시에 대한 박영근의 수용과 변용
Park YoungKeun's Reception and Transformation of Korean Existential Poems
한민족문화연구 |
38 |
2011 |
한국어와문학
하이데거와 선불교(禪佛敎) -형이상학 극복의 관점에서의 비교-
Heidegger und Zen-buddhismus- im Hinblick auf die Überwindung der Metaphysik -
철학∙사상∙문화 |
10 |
2010 |
기타인문학
하이데거와 선불교(禪佛敎) -형이상학 극복의 관점에서의 비교-
Heidegger und Zen-buddhismus- im Hinblick auf die Überwindung der Metaphysik -
철학∙사상∙문화 |
|
10 |
2010 |
기타인문학
하이데거 사상에서의 역설과 그 종교철학적 함의
Das Paradox im Denken Heideggers und Ihre Religionsphilosophische Implikation
현대유럽철학연구 |
25 |
2011 |
서양철학
‘존재와 무’를 달리 이해해 보기 -하이데거와 선불교의 비교론에 대한 하나의 생각-
Das Sein und Nichts bei Heidegger - besser verstehen und anders verstehen
철학논집 |
23 |
2010 |
철학
‘존재와 무’를 달리 이해해 보기 -하이데거와 선불교의 비교론에 대한 하나의 생각-
Das Sein und Nichts bei Heidegger - besser verstehen und anders verstehen
철학논집 |
23 |
|
2010 |
철학
김수영 시론과 ‘죽음’ -블랑쇼의 영향을 중심으로-
Kim Soo-young Poetics and ‘death’:Centered on Maurice Blanchot’s Influence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하이데거의 형상과 불안개념을 통해 본 클레(P.Klee)와 데 키리코(De Chirico)의 회화
A Study on Heidegger's Concept of 'Bild(Image)' and 'Anxiety' and P.Klee and De Chirico's Paintings
기초조형학연구 |
12 |
5 |
2011 |
예술일반
조선시대 남자 저고리류 구성 원리 고찰
Construction research of men's Jegory, Hansam, Jeksam in Chosun dynasty
한복문화 |
15 |
1 |
2012 |
의상
물음의 현상학, 무의 존재론: 물음과 하이데거의 존재사유
Phenomenology of Questioning, Ontology of Nothingness : Questioning and Heidegger's Thinking of Being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
简论≪天符经≫的思想内涵
「천부경」의 사상적 함의에 대한 簡論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비평가El Criticón』: 인간 삶에 대한 현대적인 철학
El Criticón: una filosofía moderna acerca de la vida humana
스페인어문학 |
64 |
2012 |
기타스페인문학
교육과 삶의 시적 차원: ‘존재’와 ‘사고’와 ‘거주’
The Poetic Dimension of Education and Living: Being, Thinking, and Dwelling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고종의 부국강병책에 내재된 무(武)의 재해석 ― 광무(光武)와 체양(體養)의 의미 분석을 중심으로
The Martial Arts and Policy of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 Focused on ‘Bright Martial Arts’ as Era Name and ‘Physical Education’ of Royal Rescript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1 |
2011 |
사회학
도덕경의 ‘유’개념에 대한 소고
Study on Daodejing’s ‘You’
동아시아문화연구 |
48 |
2010 |
기타인문학
도덕경의 ‘유’개념에 대한 소고
Study on Daodejing’s ‘You’
동아시아문화연구 |
|
48 |
2010 |
기타인문학
악의 문제와 그 극복을 위한 신학적 고찰
Problem of Evil and Theological Study for Its Overcome
한국조직신학논총 |
28 |
2010 |
조직신학
악의 문제와 그 극복을 위한 신학적 고찰
Problem of Evil and Theological Study for Its Overcome
한국조직신학논총 |
|
28 |
2010 |
조직신학
근대 독일 철학자의 대립적 불교 이해와 수용
Das gegensätzliche Verstehen und die Rezeption des Buddhismus unter den deutschen Denkern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노자의 유무관 고찰
Study on Lao-tzu老子’s ‘You(有)’ and ‘Wu(無)’
철학사상 |
45 |
2012 |
철학
‘무(無)의 몸-되기’를 통한 신학과 과학의 연대(連帶): 신비의 근원과 탈 영토화된 몸 안에서 만나다
Solidarity of the Theology and Science through Becoming: The Body of Nothingness
한국조직신학논총 |
27 |
2010 |
조직신학
‘무(無)의 몸-되기’를 통한 신학과 과학의 연대(連帶): 신비의 근원과 탈 영토화된 몸 안에서 만나다
Solidarity of the Theology and Science through Becoming: The Body of Nothingness
한국조직신학논총 |
|
27 |
2010 |
조직신학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무의 지위에 대한 해석 (2) -「형이상학이란 무엇인가?」에서 존재론적 차이와 무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On the Status of the Nothing in Heidegger’s Thought (Ⅱ) -On the Basis of Interpretation of the Nothing and Ontological Difference in Heidegger’s “What is Metaphysics?”-
현대유럽철학연구 |
27 |
2011 |
서양철학
한국 고대 토착신앙의 담당자
Korea's Representative of the Ancient Indigenous Belief s
신라문화 |
38 |
2011 |
역사학
문학 작품에 나타난 무굿의 치료적 성격 - 김동리의 「을화」, 이윤택의 『오구, 죽음의 형식』을 중심으로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Shamanic Exorcism Appearing in the Literary Works - Focusing on “Eulhwa” and Ogu, Formality of Death -
문학과 종교 |
16 |
3 |
2011 |
기타인문학
『논어』∙『맹자』에 나타난 무(武)의 정신: 방(放)∙정(征)∙벌(伐)의 개념을 중심으로
The Spirit of‘ MOO’in the Analects of Confucius and the commentaries of Mencius: Based on the concepts of Bang(放)∙Jung(征)∙Bual(伐)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2 |
2011 |
동양정치사상
하이데거와 사르트르의 “무”개념
The Concept of the Nothing in the Philosophy of Heidegger and Sartre
철학연구 |
46 |
2012 |
철학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무의 지위에 대한 해석 (1) -『존재와 시간』에서 무가 갖는 세계와 자기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the Status of the Nothing in Heidegger’s Thought -Focusing on the Relation of the Nothing to the World and the Self-
현대유럽철학연구 |
25 |
2011 |
서양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