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상규

연구분야 : B130310 사회과학 > 법학 > 사법 > 민법
B130203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형법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299

STNet ID : 1003827

한자 : 社會常規

d02-01 사회제도

관련법률/제도명

형법 제20조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사회상규 위배 [ 社會常規 違背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행위 규칙 [ 行爲 規則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공서양속 [ 公序良俗 ]

hasComponent (구성요소)

 

 

사회 통념

hasComponent (구성요소)

 

 

정당한 행위

hasComponent (구성요소)

 

 

사회 상당성

hasComponent (구성요소)

 

 

문화 규범

hasComponent (구성요소)

 

 

준칙 규범

교원에 의한 체벌행위의 정당성과 그 허용범위

The Justification and Permissible Range of Corporal Punishment in School

형사정책연구 | 22 | 1 | 2011 | 법학

의사의 연명치료중단행위에 대한 형법적 정당화 요건과 구조

The Structure of Justification of the Physician’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법학논총 | 27 | 4 | 2010 | 법학

의사의 연명치료중단행위에 대한 형법적 정당화 요건과 구조

The Structure of Justification of the Physician’s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법학논총 | 27 | 4 | 2010 | 법학

학생체벌의 정당성에 대한 법률적 고찰

A Legal Study on the Legitimacy of Student Corporal Punishment

법학논총 | 25 | 1 | 2012 | 기타법학

2000년대 초기 대법원판례의 동향 -형법총칙 관련 대법원판례를 중심으로-

Trends in the early 2000s, Supreme Court Cases - Supreme Court Cases focused on the relevant general provisions of criminal law -

형사판례연구 | 20 | 2012 | 형사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