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공간의 이미지 정보획득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mage Information Acquisition of Indoor Spac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1 |
2011 |
디자인
실내공간의 이미지 평가에 나타난 주시시간 특성에 관한 연구 - 실내공간 유형별 정보획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bservation Time Found in Image Evaluation of Interior Space - Focusing on Acquisition of Spatial Information by Interior Space Types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5 |
2011 |
디자인
실내공간의 주시에 나타난 정보획득률과 주시시간 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Rate of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he Observation Time shown at the Observation of Interior Spac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6 |
2011 |
디자인
실내공간에서 주시시간의 경과에 따른 구역별 주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by Observation Area which changes as the observation time passes in Interior Space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1 |
2 |
2012 |
디자인
SNS 이용목적이 온라인 사회적 자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적 연구
An Experiential Study on the Influence of SNS Usage Motivation on On-Line Social Capital
한국자치행정학보 |
26 |
2 |
2012 |
도시/지방행정
실내공간의 유형별 이미지 평가를 통한 정보획득특성에 관한 연구 -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f Data Acquiring Characteristics Through Image Evaluation by Types of Interior Space - Focused on Gender Comparisons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0 |
5 |
2011 |
디자인
정부-국회 간 정보 비대칭 문제의 해소 방안 -한미 FTA 체결 과정을 중심으로-
The Ways to Solve Information Asymmetric Problem between the Executive & Legislative Branches of Government, Focused on Conclusion Process of the Korean-US FTA
의정논총 |
5 |
2 |
2010 |
정치행정
정부-국회 간 정보 비대칭 문제의 해소 방안 -한미 FTA 체결 과정을 중심으로-
The Ways to Solve Information Asymmetric Problem between the Executive & Legislative Branches of Government, Focused on Conclusion Process of the Korean-US FTA
의정논총 |
5 |
2 |
2010 |
정치행정
주시시간 경과에 따른 주시정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hange of Observation Degree by the Passage of Observation Time
기초조형학연구 |
13 |
1 |
2012 |
예술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