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책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390

STNet ID : 1003899

한자 : 貰冊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세책 소설 () [ 貰冊小說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세책본 () [ 貰冊本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세책가 [ 貰册家 ]

朝鮮의 中國古典小說 수용과 전파의 주체들

The Receivers and Propagators of Chinese Classical Novels During the Cho-sun Dynasty

중국소설논총 | 33 | 2011 | 중국어와문학

<완월회맹연>의 이본현황과 서지적 특징

A Study on Different Versions of

어문학 | 111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수관이 부른 노래는 판소리인가

Were the Songs Sung by Go SooGwan Pansori?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춘향전>에 들어 있는 「대장청도도(大將淸道圖)」

Daejangcheongdodo in Chunhyang Jeon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본춘향전』 개작의 몇 가지 문제

On Adaptation of Gobon Chunhyangjeon

고전문학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본춘향전』 개작의 몇 가지 문제

On Adaptation of Gobon Chunhyangjeon

고전문학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소설의 표기방식

Style of Korean Old Novel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세책본 고소설의 성립 연원과 제작 방식에 대하여 -향목동 세책본 <적성의전>(1915)을 중심으로-

The origin and the way of production of lending library -focused on the (1915)-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세책본 고소설의 성립 연원과 제작 방식에 대하여 -향목동 세책본 <적성의전>(1915)을 중심으로-

The origin and the way of production of lending library -focused on the (1915)-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