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언어 습득

연구분야 : A092300 인문학 > 언어학 > 언어교육

클래스 : 교육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437

STNet ID : 1003940

한자 : 第二言語習得
영어 :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영어 : L2 acquisition
기타 : 第2言語習得
약어 : SLA(second language acquisition)
독일어 : Zweitspracherwerb

b01-02 교육활동

목적_o3

CLIL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언어 습득 [ 言語習得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b01-02 교육활동 / b02-04 변천/과정 변천/과정

언어 습득과정 () [ 言語習得過程 ]

hasIssue (이슈/주제)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간섭 현상 () [ 干涉現象 ]

isAffectedBy (영향요인)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학습 동기 () [ 學習動機 ]

isAffectedBy (영향요인)

 

c01-06 환경 환경

학습 환경 [ 學習環境 ]

isPurposeOf (목적의 대상)

 

d04-03 교수/학습법 교수/학습법

입력 강화 [ 入力强化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업테이크 [uptake]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학습자 자율성 [ 學習者自律性 ]

RT_Y (◄관련어)

관련 활동

c03-03 문화/생활 문화/생활

포리너 토크 [foreigner talk]

Categorical Distinctions in SLA: Evidence from Inflectional Morphology in Korean

제2언어에서의 품사습득: 한국어의 굴절형태소의 증거

외국어교육연구 | 25 | 2 | 2011 | 외국어교육학

Transfer-Omission-Fossilization Hypothesis in Adul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응용언어학 | 26 | 2 | 2010 | 언어학

Transfer-Omission-Fossilization Hypothesis in Adul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응용언어학 | 26 | 2 | 2010 | 언어학

An Analysis of the Acquisition of Korean College Students’English Split Antecedence

영어영문학연구 | 54 | 1 | 2012 | 영어와문학

L2 화자의 영어 정관사 습득에 관한 연구 —UG를 통한 보편적 의미 자질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중심으로—

언어학 | 20 | 2 | 2012 | 언어학

한국어 어휘 교육 연구의 방향 모색

The Exploratory Study of Korean Vocabulary Research.

한국어교육 | 22 | 2 | 2011 | 한국어와문학

커뮤니케이션 방략의 명시적 지도가 학습자간의 일본어 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 일본어학습자(JFL)를 대상으로-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略の明示的指導が学習者同士の日本語会話に与える影響 -韓国人日本語学習者(JFL)を対象に-

일본어학연구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커뮤니케이션 방략의 명시적 지도가 학습자간의 일본어 회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 일본어학습자(JFL)를 대상으로-

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略の明示的指導が学習者同士の日本語会話に与える影響 -韓国人日本語学習者(JFL)を対象に-

일본어학연구 | | 29 | 2010 | 일본어와문학

Acquisition of Collocations in L2 Korean: Focusing on [verb + noun] Collocations

L2 한국어에서의 상용어구 습득: [명사 + 동사] 구문중심으로

외국어교육연구 | 26 | 2 | 2012 | 외국어교육학

L1 Lemma Mediation on L2 Conceptual Representation: Semantic Overgeneralization and Conceptual Fossilization

언어과학 | 18 | 2 | 2011 | 언어학

Textual Enhancement and Learner Preference in the Learning of English Articles

언어학 연구 | 17 | 2010 | 기타언어학

Textual Enhancement and Learner Preference in the Learning of English Articles

언어학 연구 | | 17 | 2010 | 기타언어학

Bakhtin and Being Improvisational: The Case of a Korean ESL Child

바흐찐과 즉흥적 대화형 수업: 한국인 ESL 아동 사례 연구

인문학연구 | 40 | 2 | 2012 | 기타인문학

Individual Differences in Attention to Language Form during Text-based Online Chat

언어학 연구 | 20 | 2011 | 기타언어학

The automatic measurement of prosody in English pronunciation test

응용언어학 | 26 | 4 | 2010 | 언어학

The automatic measurement of prosody in English pronunciation test

응용언어학 | 26 | 4 | 2010 | 언어학

A Case Study of a Korean Elementary Child Learning English in the US

미국에서 영어를 배우는 한국 초등학생의 사례 연구

외국어교육연구 | 25 | 1 | 2011 | 외국어교육학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s-ʃ/ by Korean ESL learners

응용언어학 | 26 | 4 | 2010 | 언어학

Speech production and perception of English /s-ʃ/ by Korean ESL learners

응용언어학 | 26 | 4 | 2010 | 언어학

한국어 문장의 주제와 초점 구조 습득 -‘은/는’과 ‘이/가’를 중심으로-

Acquisition of the structures of Korean sentential topic and focus.

한국어교육 | 22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Unaccusativity and Derivational Morphology in a Second Language

응용언어학 | 26 | 2 | 2010 | 언어학

Unaccusativity and Derivational Morphology in a Second Language

응용언어학 | 26 | 2 | 2010 | 언어학

The Effect of Language Immersion on the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Suprasegmentals

응용언어학 | 28 | 1 | 2012 | 언어학

The Initial State of L2 Grammar Revisited: The Case of L2 Grammar of L1 Turkish Learners

Foreign Languages Education | 18 | 2 | 2011 | 언어학

초등학교에서의 영어원어민 교사와의 효과적인 협동수업: 우수학교 사례 중심으로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Team-teaching for English Education in Korea: Characteristics of Excellent Elementary Schools

영어영문학연구 | 53 | 2 | 2011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