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효과

연구분야 : B050401 사회과학 > 경영학 > 인사/조직관리 > 인사관리/노사관계

클래스 : 효과/영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465

STNet ID : 1003965

한자 : 雇傭效果
영어 : employment effect

x03-05-03 효과/영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고용 유발 효과 [ 雇用誘發效果 ]

UF (비우선어)

 

 

고용 창출 효과 [ 雇用創出效果 ]

R1:개념적

RT (관련어)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무역전시산업 [ 貿易展示産業 ]

RT (관련어)

 

 

고용 창출 [ 雇用創出 ]

RT (관련어)

 

e02-05 인프라/구조/범위 인프라/구조/범위

고용 구조 [ 雇傭構造 ]

RT (관련어)

 

 

비정규 고용 [ 非正規雇傭 ]

RT (관련어)

 

d03-04 지수/지표 지수/지표

고용 승수 [ 雇傭乘數 ]

RT (관련어)

 

b01-03 경제/산업활동 경제/산업활동
b01-03 경제/산업활동 /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고용 [ 雇傭 ]

R3:시간적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WTO 허용 보조금 [ --許容補助金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고 부가 가치 서비스 산업 [ 高附加價値--産業 ]

향토산업 육성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 고창군 복분자 천일염의 향토산업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conomical Spread Effect by Promotion of Regional Industrialization Using Input-Output Analysis - Focused on Gochang‘s Rubus Coreanus Solar Salt -

한국도서연구 | 23 | 3 | 2011 | 지역학

설문조사에 기초한 조세정책의 고용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mployment Effects ofVarious Tax Policies Based on Survey Data

응용경제 | 14 | 2 | 2012 | 경제학

퍼지 의사결정 방법론을 이용한 한미 · 한중 FTA가 산업 및 고용에 미치는 효과 비교

The Effects of Korea-US and Korea-China FTA for Industrial growth and Employment in Korea: Using the Fuzzy set theory

무역학회지 | 35 | 2 | 2010 | 무역학

퍼지 의사결정 방법론을 이용한 한미 · 한중 FTA가 산업 및 고용에 미치는 효과 비교

The Effects of Korea-US and Korea-China FTA for Industrial growth and Employment in Korea: Using the Fuzzy set theory

무역학회지 | 35 | 2 | 2010 | 무역학

노사파트너십의 노사관계 효과성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R Outcomes Effect of Labor-Management Partnership

산업관계연구 | 20 | 3 | 2010 | 경영학

노사파트너십의 노사관계 효과성에 관한 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R Outcomes Effect of Labor-Management Partnership

산업관계연구 | 20 | 3 | 2010 | 경영학

근로연계복지정책의 효과와 시간: 미국 복지개혁의 고용효과는 지속되는가?

The Effects of A Workfare Policy and Time : Are the Effects of the US Welfare Reform Sustainable?

보건사회연구 | 30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근로연계복지정책의 효과와 시간: 미국 복지개혁의 고용효과는 지속되는가?

The Effects of A Workfare Policy and Time : Are the Effects of the US Welfare Reform Sustainable?

보건사회연구 | 30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대학의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 독일 대학의 사례 분석

Regionalwirtschaftliche Effekte der Hochschule: Dargestellt am Beispiel der Deutschen Hochschulen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3 | 4 | 2010 | 지리학

대학의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 독일 대학의 사례 분석

Regionalwirtschaftliche Effekte der Hochschule: Dargestellt am Beispiel der Deutschen Hochschulen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3 | 4 | 2010 | 지리학

FDI of EU and USA and Employment Effects in Korea

한국에 대한 EU와 미국의 직접투자와 고용효과

한국경제학보(구 연세경제연구) | 18 | 1 | 2011 | 계량경제/경제통계/비교경제

공공취업지원서비스가 고용성과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job search assistance on employment performance

경제발전연구 | 17 | 2 | 2011 | 경제학

외국인 직접투자가 중국 국내고용에 효과에 관한 고찰

Analysis of effects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China employment market

중국학논총 | 29 | 2010 | 중국문화학

외국인 직접투자가 중국 국내고용에 효과에 관한 고찰

Analysis of effects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China employment market

중국학논총 | | 29 | 2010 | 중국문화학

외국인직접투자의 중국 지역별 고용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DI Inflow into China's Employment

국제경영리뷰 | 15 | 4 | 2011 | 경영학

비정규직법의 고용효과 연구

The Effects of the Acts Protecting Nonstandard Workers on Employment in Korea

노동정책연구 | 10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비정규직법의 고용효과 연구

The Effects of the Acts Protecting Nonstandard Workers on Employment in Korea

노동정책연구 | 10 | 4 | 2010 | 사회과학일반

임금보조정책의 고용 및 임금효과

Wage and Employment Effects of Wage Subsidies

국제경제연구 | 17 | 2 | 2011 | 경제학

비정규직법 시행 3년의 고용 효과

Employment Effect of the Acts on the Protection of Non-regular Workers

경제발전연구 | 17 | 2 | 2011 | 경제학

중소기업 정책자금 고용효과의 지속성 분석

The Employment Effects of Policy Loan on the SMEs in Korea : Sustainability Analysis

중소기업연구 | 34 | 2 | 2012 | 경영학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Supported Employment Program on the Employment Effect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in Korea

지원고용프로그램의 중증장애인 고용효과 분석

장애와 고용 | 22 | 2 | 2012 | 장애인복지

고용효과와 고용승수 사이의 競合的 選擇 관계에 관한 연구 : IO모형과 OO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Effects and Employment Multipliers : Based on the Input-Output and Output-Output Models

경제연구 | 28 | 2 | 2010 | 경제학

고용효과와 고용승수 사이의 競合的 選擇 관계에 관한 연구 : IO모형과 OO모형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Effects and Employment Multipliers : Based on the Input-Output and Output-Output Models

경제연구 | 28 | 2 | 2010 | 경제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