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상의 친족 및 가족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친족법에서 가족법으로의 전환을 위한 입법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 relative and family in the civil law of Korea —A discussion about the revision which can be changed over from the relative law to the family law—
가족법연구 |
25 |
3 |
2011 |
법학
가족제도의 변호와 친자법 개정의 필요성
Necessity of revising parent and children law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family system
법학논고 |
33 |
2010 |
법학
가족제도의 변호와 친자법 개정의 필요성
Necessity of revising parent and children law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family system
법학논고 |
|
33 |
2010 |
법학
보조생식의료의 법제화를 위한 제언 - 子의 법적 지위를 중심으로 -
A Proposal for Legislation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 Focusing on Legal Status of Children-
법조 |
60 |
5 |
2011 |
법학
미국에서의 미성년후견인의 권한과 책임
Powers and Duties of Guardian of Minor in the United States
가족법연구 |
26 |
2 |
2012 |
법학
이혼 후 공동양육제도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Joint Custody after Divorce
법학연구 |
14 |
2 |
2011 |
법학
이혼시 친권자 및 양육자 지정과 자의 복리
Elterliche Selbsbestimmnung und staatliche Eingriff bei der Entscheidung der elterlichen Sorge nach der Scheidung
외법논집 |
36 |
2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