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채무

연구분야 : B030500 사회과학 > 경제학 > 재정/공공경제

클래스 : 경제경영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552

STNet ID : 1004039

한자 : 國家債務
영어 : government debt

d02-03 경제경영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채무 [ 債務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3-04 경제/경영/무역 경제/경영/무역

부채 [ 負債 ]

N1:종류

hasKind (종류)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정부 부채 [ 政府負債 ]

hasKind (종류)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국가 보증 채무 () [ 國家保證債務 ]

hasKind (종류)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국채 [ 國債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재정 건전성 [ 財政健全性 ]

isStateOf (상태의 대상)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국가 () [ 國家 ]

RT (관련어)

 

 

채무국 [ 債務國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국고 채무 부담 행위

금융위기에 있어서 재정건전성 대책방안

A Monetary Crisis and the Method Proposal of a Financial Soundness Measure

한양법학 | 30 | 2010 | 법해석학

금융위기에 있어서 재정건전성 대책방안

A Monetary Crisis and the Method Proposal of a Financial Soundness Measure

한양법학 | | 30 | 2010 | 법해석학

우리나라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Policy Agenda for Fiscal Healthiness Improvement in Korea

경제연구 | 29 | 2 | 2011 | 경제학

연금회계준칙 제정에 따른 국가회계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overnmental Accounting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Pension Accounting Standards

회계저널 | 21 | 1 | 2012 | 회계학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재정정책의 역할과 과제: 남유럽 재정위기와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한 규범론적 고찰

The Role and Challenge of Fiscal Policy for Overcoming the Economic Crisis: South European Fiscal Crisis and Fiscal Stability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4 | 4 | 2010 | 정책학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재정정책의 역할과 과제: 남유럽 재정위기와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한 규범론적 고찰

The Role and Challenge of Fiscal Policy for Overcoming the Economic Crisis: South European Fiscal Crisis and Fiscal Stability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4 | 4 | 2010 | 정책학

국가 재정건전성의 현황과 개선방안

Policy Implications of Fiscal Soundness in Korea

재정정책논집 | 12 | 3 | 2010 | 경제학

국가 재정건전성의 현황과 개선방안

Policy Implications of Fiscal Soundness in Korea

재정정책논집 | 12 | 3 | 2010 | 경제학

재정 건전성 지표로서의 국가채무 개념의쟁점과 대안모형

Conceptual Issues and Alternative Conceptual Framework of National Debt for the Sustainability of Government Finance

한국행정논집 | 24 | 2 | 2012 | 행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