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대 진동 시작 시간

연구분야 : A090200 인문학 > 언어학 > 음성학(언어학)

클래스 : 언어/문자
시점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680

STNet ID : 1004114

한자 : 聲帶振動始作時間
영어 : voice onset time
동의어(UF) : VOT
동의어(UF) : 성대 진동 개시 시간

e03-01 언어/문자

언어(학)구분

음운, 음성, 철자

x02-03 시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유성 지연 시간

R1:개념적

isPhenomenonOf (현상의 대상개념)

 

e03-01 언어/문자 언어/문자

발음 [ 發音 ]

RT (관련어)

 

a01-08-01 신체(부분체) 신체(부분체)

성대 [ 聲帶 ]

RT (관련어)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기본주파수 () [ 基本周波數 ]

단어 내 위치에 따른 한국어 폐쇄음의 VOT 연구: 대구지역어 화자를 대상으로

Voice Onset Time Differences in Daegu Korean Stops as a Function of Their Position in Words.

언어과학연구 | 59 | 2011 | 언어학

The Production of Korean Stops and Intonation by English Speakers

영어 화자의 한국어 음운과 억양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Auditory P300 Responses Evoked by Perceptually Different Between-Category CV Stimuli

지각적 차이를 보이는 음소 범주 간 CV 자극들에 대한 P300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7 | 3 | 2012 | 교육학

후행모음의 피치를 고려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인지 실험

Speech perception of Korean plain, aspirated,and tense considering pitch of the following vowel

우리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후행모음의 피치를 고려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인지 실험

Speech perception of Korean plain, aspirated,and tense considering pitch of the following vowel

우리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The Production of Korean Stops and Intonation by English Speakers

영어 화자의 한국어 음운과 억양 연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후행모음의 피치를 고려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인지 실험

Speech perception of Korean plain, aspirated,and tense considering pitch of the following vowel

우리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후행모음의 피치를 고려한 한국어 평음, 경음, 격음의 인지 실험

Speech perception of Korean plain, aspirated,and tense considering pitch of the following vowel

우리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두 폐쇄음의 발성 유형 지각에서 나타나는 방언 간 차이- 서울 방언과 대구 방언의 비교를 바탕으로-

A Dialectu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honation Types in Word-initial Stops: based on comparison between Seoul and Daegu Dialect.

한국어학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어두 폐쇄음의 발성 유형 지각에서 나타나는 방언 간 차이- 서울 방언과 대구 방언의 비교를 바탕으로-

A Dialectual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honation Types in Word-initial Stops: based on comparison between Seoul and Daegu Dialect.

한국어학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본어 음성 연구의 새로운 동향

日本語の音声研究の新しい動向

일본어학연구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일본어 음성 연구의 새로운 동향

日本語の音声研究の新しい動向

일본어학연구 | | 28 | 2010 | 일본어와문학

Word-Initial Stops in Korean and English Monolinguals and Bilinguals

언어연구 | 28 | 3 | 2011 | 언어학

웨이브서퍼를 통한 영어발음학습 실험: 유성파열음을 중심으로

An Experiment on Learning English Pronunciation through WaveSurfer: Focusing on Voiced Plosives

영어학연구 | 18 | 2 | 2012 | 영어와문학

The [voice] system of Korean stops revisited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spirated-lax merger

음성음운형태론연구 | 18 | 2 | 2012 | 언어학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Korean laryngeal contrasts: fMRI evidence

음성음운형태론연구 | 16 | 1 | 2010 | 언어학

Age-relat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Korean laryngeal contrasts: fMRI evidence

음성음운형태론연구 | 16 | 1 | 2010 | 언어학

Typological Adaptation of Japanese Stops in Korean

언어연구 | 28 | 1 | 2011 | 언어학

몽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 연구

A Study on Acoustic Properties of Korean Stops Produced by Mongolian Speakers

어문연구 | 65 | 2010 | 한국어와문학

몽골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폐쇄음의 음향적 특성 연구

A Study on Acoustic Properties of Korean Stops Produced by Mongolian Speakers

어문연구 | 65 |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분지 폐쇄음 발달 양상: 13~20 개월령 한국어 습득 유아에 관한 사례 연구

A Developmental Pattern Observed in the Three-way Laryngeal Contrast - A Case Study of a Korean-speaking Child Aged 13~20 Months

언어 | 36 | 3 | 2011 | 언어학

Prosody in English Stop Representation by Korean Adult Learners of English

영어교육 | 65 | 1 | 2010 | 영어와문학

Prosody in English Stop Representation by Korean Adult Learners of English

영어교육 | 65 | 1 | 2010 | 영어와문학

영어자음의 음성분석을 통한 조음의 유사성과 음성인식의 차이 및 단서 규명을 위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Articulatory Similarities and a Searching Examination of the Cues of Sound Recognition Differences through a Sound Analysis of English Consonants

언어 | 35 | 3 | 2010 | 언어학

영어자음의 음성분석을 통한 조음의 유사성과 음성인식의 차이 및 단서 규명을 위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f Articulatory Similarities and a Searching Examination of the Cues of Sound Recognition Differences through a Sound Analysis of English Consonants

언어 | 35 | 3 | 2010 | 언어학

전남어와 서울어의 폐쇄음 실현

Korean Stops Production in the Cheonnam and the Seoul Dialects

언어학 | 18 | 1 | 2010 | 언어학

전남어와 서울어의 폐쇄음 실현

Korean Stops Production in the Cheonnam and the Seoul Dialects

언어학 | 18 | 1 | 2010 | 언어학

The Interaction between Phonetic Environment and Speaker Sex on VOT Differences

언어과학연구 | 54 | 2010 | 언어학

The Interaction between Phonetic Environment and Speaker Sex on VOT Differences

언어과학연구 | | 54 | 2010 | 언어학

Acoustic Cues for the Korean Stop Consonants Produced by Jeju Speakers

언어과학연구 | 57 | 2011 | 언어학

무성파열음의 VOT와 후행하는 모음의 상관성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OTs of Voiceless Plosives and their Succeeding Vowels.

언어과학연구 | 60 | 2012 | 언어학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speakers' VOT Productions of Stops

언어학 | 19 | 1 | 2011 | 언어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