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축효과

연구분야 : B130100 사회과학 > 법학 > 법학일반

클래스 : 효과/영향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822

STNet ID : 1004218

한자 : 萎縮效果
영어 : chilling effect

x03-05-03 효과/영향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표현의 자유 [ 表現--自由 ]

RT (관련어)

 

 

위축효과법리

저작권의 보호기간 : 문화정책의 시점에서

Copyright term : From the cultural policy perspective

계간 저작권 | 24 | 4 | 2011 | 법학

모욕죄의 보호법익 및 법원의 현행 적용방식에 대한 헌법적 평가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Insult Law and a Constitutional Critique of its Application by Courts

언론과 법 | 10 | 2 | 2011 | 신문방송학

‘삼성X파일’사건의 대법원 판결과 기자들의 인식차이 ― 대전․충남북 신문․방송 기자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porters' Perceptions of the "Samsung X File" Case - With a focus on the Supreme Court's Decision 8839 in 2006 -

언론과 법 | 10 | 2 | 2011 | 신문방송학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인터넷내용심의의 위헌성

Unconstitutionality of Internet Censorship by Korea Communication Standards Commission

법학논총 | 27 | 2 | 2010 | 법학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인터넷내용심의의 위헌성

Unconstitutionality of Internet Censorship by Korea Communication Standards Commission

법학논총 | 27 | 2 | 2010 | 법학

放送通信審議에서 自律規制와 表現의 自由

Self-Regulation and Freedom of Expression in Deliberation on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s

미국헌법연구 | 22 | 3 | 2011 | 헌법

인터넷 선거운동의 주요 쟁점 검토

A Critique of Regulations on Internet Election Campaign

헌법학연구 | 18 | 2 | 2012 | 헌법

합헌적 법률해석의 원칙과 위헌적 법률해석의 통제범위와 기준 - 서울중앙지방법원 2009노677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statutes and the control of the ordinary court's judgements"

헌법학연구 | 18 | 1 | 2012 | 헌법

실명성, 직업상 조직소속 여부, 개인의 정치적 성향이 SNS공간에서 의사표현 위축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Chilling Effect of Anonymity and Organizational Membership in Social Network Service

한국언론학보 | 56 | 4 | 2012 | 신문방송학

일본에서의 조례위헌소송과 합헌적 한정해석의 법리

Constitutional Litigation against Ordinance and Legal Principle of Constitutional Limited Interpretation in Japan

의정연구 | 17 | 3 | 2011 | 정치외교학

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운동에 관한 행정지도와 기본권구제 - 헌재 2008.1.17. 2007헌마700 결정의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법준수촉구조치의 공권력성 인정의 함의 분석을 중심으로 -

Die Statthaftigkeit der Verfassungsbeschwerde gegen die Aufforderung der Korean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zur Einhaltung des Wahlgesetzes - Erweiterung des Begriffs “Grundrechtseingriff” in der Entscheidung des Koreanischen Verfassungsgerichts vom 17 Januar, 2008 2007Hunma700 -

헌법학연구 | 17 | 2 | 2011 | 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