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란형 토기

연구분야 : A020600 인문학 > 역사학 > 고고학

클래스 : 물품/제품/생산품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6978

STNet ID : 1004345

한자 : 長卵形土器

a04-01 물품/제품/생산품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형태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토기 () [ 土器 ]

R1:개념적

RT (관련어)

 

 

경질무문토기 () [ 硬質無文土器 ]

RT (관련어)

 

a04-06 도구/수단 도구/수단

시루 () [증(甑)]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타날문토기 () [ 打捺文土器 ]

RT (관련어)

 

a04-01 물품/제품/생산품 물품/제품/생산품

심발형 토기 () [ 深鉢形土器 ]

漢城百濟의 時間的 上限과 下限

The Chronological Study on Hanseong Period of Baekje

백제연구 | 53 | 2011 | 역사학

주거자료를 통해 본 호남지역 원삼국시대 지역성

The regionality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Honam area through the house data

한국상고사학보 | 74 | 74 | 2011 | 역사학

백제 한성기 취사용기에 대한 검토 - 심발형토기와 장란형토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oking vessel of Baekje Hanseong period

문화재 | 44 | 4 | 2011 | 역사학

한반도 취사문화가 일본 古墳시대에 미친 영향과 수용과정 –북부규슈 및 긴키지역을 중심으로–

Diffusion And Spread Process Of Cooking Culture Of Korean Peninsular –focused on northern Kyushu and Kinki region in Japan–

한국상고사학보 | 76 | 76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