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비용에 대한 사회정의론적 접근 연구: 공적자금으로서 통일비용과 공정성으로서의 정의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Social Justice Approachto the Unification Cost: Focusing on Public Funds for the Unification Cost and Justice as Fairness
초등도덕교육 |
39 |
2012 |
윤리교육학
창의적 지성을 위한 중학교 철학 교육방법
Teaching philosophy for creative intelligence in Korean public middle schools: teaching models
동서철학연구 |
61 |
2011 |
철학
『여씨춘추』의 道氣二元論적 宇宙論과 그 정치철학적 의미
The Cosmology of the Dualism of Dao-Qi(道氣二元論) in Lu-Shi-Chun-Qiu(『呂氏春秋』) and its Politico-Philosophical Meaning
철학연구 |
94 |
2011 |
철학
롤즈의 공적 이성 개념의 한계와 중첩적 합의 개념의 재조명
Reconstructing Rawlsian idea of public reason and overlapping consensus
철학 |
103 |
2010 |
철학
롤즈의 공적 이성 개념의 한계와 중첩적 합의 개념의 재조명
Reconstructing Rawlsian idea of public reason and overlapping consensus
철학 |
|
103 |
2010 |
철학
포경언(鮑敬言)의 무군론(無君論) 고찰
A study on the Baojingyan’s theory of WuJun(無君)
동아시아문화연구 |
51 |
2012 |
기타인문학
인도네시아의 국가철학과 이에 대한 시대적 해석: 국민윤리 교육을 중심으로
Indonesia's State Ideology and Its Interpretations across Orders: Based on the Analysis of Citizenship Education
국제지역연구 |
14 |
2 |
2010 |
지역학
인도네시아의 국가철학과 이에 대한 시대적 해석: 국민윤리 교육을 중심으로
Indonesia's State Ideology and Its Interpretations across Orders: Based on the Analysis of Citizenship Education
국제지역연구 |
14 |
2 |
2010 |
지역학
공법소송체계와 행정소송의 기능 ― 체계이론과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一
Public Law Litigation System and Function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 On the Perspective of System Theory and Political Philosophy -
공법연구 |
39 |
3 |
2011 |
법학
왈저와 흄의 자연주의 정치철학 -이상주의 정치철학에 대한 두 가지 대응-
Walzer and Hume: Two Ways of Confronting Idealistic Projects
철학사상 |
43 |
2012 |
철학
Eine politikphilosophische Interpretation ueber die ‘Kerzenversammlung’ - Kant gegen Konfuzius -
‘촛불집회’에 관한 정치철학적 고찰 - 칸트와 공자를 중심으로 -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Eine politikphilosophische Interpretation ueber die ‘Kerzenversammlung’ - Kant gegen Konfuzius -
‘촛불집회’에 관한 정치철학적 고찰 - 칸트와 공자를 중심으로 -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플라톤 정치사상에서 철인지배와 법치의 상보적 통합성: ‘좋은 법질서’(eunomia)를 향한 철학적 충동
Inter-supplementary Integration of the Rule of Wise Man and the Rule of Law in Plato’s Political Thought: Philosophical Impulse Toward ‘a Good Legal Order’(eunomia)
법철학연구 |
13 |
3 |
2010 |
법학
플라톤 정치사상에서 철인지배와 법치의 상보적 통합성: ‘좋은 법질서’(eunomia)를 향한 철학적 충동
Inter-supplementary Integration of the Rule of Wise Man and the Rule of Law in Plato’s Political Thought: Philosophical Impulse Toward ‘a Good Legal Order’(eunomia)
법철학연구 |
13 |
3 |
2010 |
법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 윤리와 정치의 결합을 중심으로
Political Philosophy of Aristotle: Based on the binding of Politics and Ethics
Oughtopia (오토피아) |
26 |
1 |
2011 |
기타정치외교학
칸트 정치철학의 현대적 단초들
The Clues to Modernity of Kant's Political Philosophy
칸트연구 |
27 |
2011 |
철학
다문화주의 속 욕망 -이데올로기 비판을 중심으로-
The Desire in the Multiculturalism -concerning the Ideology Critique-
헤겔연구 |
31 |
2012 |
철학
제4장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정치철학을 통해 본 공직윤리 연구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Dasan's Political Philosophy and Public Servant Ethic -the focus on Mokminsimseo-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제4장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정치철학을 통해 본 공직윤리 연구 -『목민심서』를 중심으로-
A study on Dasan's Political Philosophy and Public Servant Ethic -the focus on Mokminsimseo-
민족사상 |
4 |
2 |
2010 |
한국정치사상
플라톤 『향연』의 에뤽시마코스의 연설에서 에로스와 테크네
Erōs and technē in Eryximachus' speech of Plato's Symposium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국제관계론에서 칸트와 헤겔의 전선 - 칸트의 세계시민사회에 관한 헤겔의 비판에 기초하여 -
The battle line between Kant and Hegel in the theory of international relations - on the basis of Hegel's critique on Kant's world civil society -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정치철학과 근대합리주의: 스트라우스(Leo Strauss)와 오크숏(Michael Oakeshott)
Political Philosophy and Modern Rationalism: Strauss and Oakeshott
정치사상연구 |
18 |
1 |
2012 |
정치외교학
정치적 논쟁의 정치절학적 함축: 정당화와 이해의 차이
What Political Philosophy Can Do with Political Confrontation: Difference between Justification and Understanding
지역과 세계 |
3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정치적 논쟁의 정치절학적 함축: 정당화와 이해의 차이
What Political Philosophy Can Do with Political Confrontation: Difference between Justification and Understanding
지역과 세계 |
34 |
1 |
2010 |
기타사회과학
니체 정치철학과 포스트모던 정치철학 - 워렌의 ‘포스트모던 힘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숙고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and Postmodern Political Philosophy - A Critical Reconsideration of M. Warren’s ‘Postmodern Philosophy of Power’
니체연구 |
17 |
2010 |
철학
니체 정치철학과 포스트모던 정치철학 - 워렌의 ‘포스트모던 힘의 철학’에 대한 비판적 숙고
Nietzsche’s Political Philosophy and Postmodern Political Philosophy - A Critical Reconsideration of M. Warren’s ‘Postmodern Philosophy of Power’
니체연구 |
|
17 |
2010 |
철학
자연의 휴머니티에 관한 소고
Reflections on Humanity of the Nature
시대와 철학 |
22 |
2 |
2011 |
철학